우울한데 술은 먹기 싫은 날. 뭐 대충 늘어지고 부대끼는 그런 날.

나는 서가에서 [수학의 정석]을 꺼내 아무 페이지나 펼쳐
유제 몇 개를 풀어보곤 한다.

더 흥이 나는 날에는 스튜어트 미분적분학 교과서를 펴들고

숫자와 기호들의 한 판 난장을 구경하거나
몇 줄 끼어들곤 한다.

 

나이들어서 수학공부를 좀 했다. 일종의 지적 한량짓이다.

그 긴딘힌 약사는 이렇다.

http://blog.aladin.co.kr/alkez/4771445


나는 고전 수학의 가치 중립성이나 합의된 규범과 정리(定理)를 좋아한다.

엄격히 말하면 인간의 선험적 편견이 배제된

어떤 진공적 영역에 대한 호기심이다.

이종필 박사의 이 책의 원형이 몇년전 한겨레 온라인에
연재됐을 때 열렬한 독자였다.

하지만 먹고 살기 바빠 중도에 연재를 놓쳤었다.


 

그래도 수학 바보들과 newbie들이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의 '유도식'을 이해하고 편미분 방정식을 제 손으로

풀어보기 위해 모인다는 이야기는 근사했다.


이렇게 책으로 묶여 나와 다시 보니 새롭다.

재미있다.
읽을거리에 더 이상의 상찬이 필요할까.

우리가 수학의 언어와 관점으로 세계를 바라볼 때 얻게되는

가장 큰 이점은 숫자 그 너머의 어떤 진리,

텍스트로 분칠되거나 역관계로 왜곡되지 않은
어떤 질서, 리듬, 규칙 등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바보들이 회중으로 모여 아인슈타인을 공구하는
이 이야기에도 그 진리가 녹아있다.

 

E=MC2에 숨겨진 비밀을 찾아
편미분 방정식의 세계로 원정 떠나는
장삼이사들의 무용담....

 

고교 레벨에서 충분히 따라 갈만하다. (정상적으로 수학공부를 했다면 :(

이 책 하나로 상대성 이론을 이해할 수는 없지만

문 하나 쯤은 연 셈이다.

 

편미분방정식의 아름다움, 아니 사물의 질서, 시간의 영원성를 바라보는

어떤 관점 하나를 얻을지도 모르겠다.

 

아니 무엇보다 우리가 배웠던 수학이 우리 삶에서 어떻게

빛나는 잣대와 나침반으로 쓰이는지를 깨닫는 일이 큰 공부일지도.


일독을 권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slmo 2015-07-07 17: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니, 오래간만에 들어오셔서 제대로 지름신이십니다, ㅋ~.
저처럼 산수 계산 못하고 숫자에 두드러기 돋는 사람도 읽어볼만 할까요?@@

알케 2015-07-08 01:17   좋아요 0 | URL
난이도 안높아요. 숫자를 안따라가도 충분히 재미있습니다.
저는 이런 대중 심포지움 같은 걸 기획 다큐로 한번 가볼까 생각 중이예요.
 


내가 그녀의 소설 중에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외딴 방>이다.

나는 동네에서 같이 자란 가난한 집의 누이들이 먼 서울로 새벽기차를 타고 떠나

공장살이 간 이야기를 직접 몸으로 보고 들으며 자랐다.

그래서.<외딴 방>을 읽노라면 동네 내 친구 누나들 이야기를 읽는 것 같았다.

읽으며 몇 번 눈과 목이 아팠다.

아마 <외딴 방>을 서너 번 읽었을 것이다.

나는 특히 작중 화자와 그녀의 큰 오빠 사이에.흐르는 감정선을

좋아했다. 가난한 집의 맏이. 큰 오빠.

신경숙의 표절 이야기가 뜨겁다.

아침에 밥먹는데 아내가 물었다.

˝당신.신작가 좋아하잖아?˝

좋아한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아내가 더 듣고 싶었을 어떤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왜?

난 옳다 그르다 부연하지 않았을까.

좀 전에 저녁 먹으며 소주 한 병 마시고

사무실로 걸어오며 다시 나에게 물어봤다.

왜?

나는 짠했다.

필사로 작법을 배워야 했던 그녀가.

이게 내 대답이다.


표절이 맞다.

나도 A와 B를 다시 읽었다.

레토릭도 모티브도 표절이라 해도 변명이 필요없겠더라.

그러나 나까지 종주먹을 들이대며

조리돌림에 끼고 싶지는 않다.

문단 권력이니 출판 갑질이니 작가의 윤리성 뭐 이런 문제는

모르겠다.

나는 그녀가 솔직히 자인하고 독자들에게 사과하기를 바란다.

그건 작가 이전에 공동체 한 구성원으로서 져야 할 책임이다.

그리고 나서 그녀가 다시 글쓰기를 바란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랭키 2015-06-24 0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처음엔 화가 나더니, 오늘 인터뷰 보니까 안쓰럽더군요.
왜 이렇게밖에 못하니.. 하면서요.
선배, 저는 깊은 슬픔 읽고는 신작가 책 더 안 읽었어요.
그 소설이 저를 좀 화나게 했었어요.
그후 읽은 건 이상문학상전집에서 본 부석사가 다인데, 여전히 그랬어요.

알케 2015-06-24 21:45   좋아요 0 | URL
뭐 ..나는 초장에 꽂혀서 몇 년 보고 안 읽은지 한참 됐다.

바보같이 버버거리지 말고 깨끗하게 털지...

sslmo 2015-06-24 16: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그런 생각을 해요.
과연 나는 내 자신에게,
내 자신의 과거의, 또는 현재의 글에 감정에 대해서 전혀 표절이 없이 떳떳한가?

그 예로 책 한권, 영화 한편, 텔레비젼 드라마 한 프로를 내가 선택하여 보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거대한 어떤 힘에 의해서 지배당하고 조정당하고 있는 것이니까요.

어차피 우리는 보이는, 보이지 않는 필사와 표절이 횡행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고,
중요한 것은,
표절도, 종주먹이나 조리돌림도, 문단권력이나 출판갑질이 아니라,
소설가란 사람의 일을 쓰는 사람이니까,
그녀의 마음을,
변명이 아닌 진심을, 보고 싶은 거죠.


알케 2015-06-24 21:46   좋아요 1 | URL
동감입니다. 버벅대지 말고 깨끗하게 털고 가지 말입니다.

쉼표 많이 쓰는 사람에 대해 편견이 생겨요.
 

네이버의 어떤 댓글


촌철살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삼성병원 원장은 공무원이 아닌 민간인입니다.

2. 대한민국은 왕정국가가 아닌 민주공화국입니다.

3. 문제의 원인을 민간 병원에서 제공하였다 하여도 그 과실은 절차와 법령에 따라

    법적으로 제재하여야 할 것이지 공주님에게 사과하고 용서를 빌 문제가 아닙니다.

4. 행정부의 수반인 공주님이 먼저 국민에게 사과하셔야 합니다.

5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라고 일시적으로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권력을 가지고

    저렇게 여왕놀이를 하시면 안됩니다.

6. 대체 이 혐오스런 그림을 연출한 청와대 홍보 스태프들은 말 그대로 돌대가리들.

   악명높은 독재자 부친의 재현인가. 카피캣인가. 오마쥬인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트라슈 2015-06-18 0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정은 현지지도 장면 같아요

Jeanne_Hebuterne 2015-06-18 05: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쩐지 점퍼 디자인과 색깔마저....

글샘 2015-06-18 08: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인간이 저 점퍼 입는 때는 국가가 재난사태입니다. ㅠㅜ
넘 자주 입는 거 같은...

다락방 2015-06-18 08: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어제 뉴스에서 이장면 보고 진짜 어처구니가 없었는데 말입니다. 하아-
 

ㄹ혜체 표준 어법

 작문 연습 -1

역병이 도는 시절에 이것이다 하고 정신을 차리고 나아가면 우리의 목표를 뒤에 다 두고 분산시키는 정신력의 책동을 해낼 수 있다는 우리의 다짐이 그런 마음을 우주에 간절히 빌면 그런 마음을 가질 수 있다는 맏음이다. 

 

작문 연습-2

이것이 메르스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감기라고 차라리 믿는 것도 병세를 이기는 의지의 에너지를 늘리는데 같지 못하더라도 믿음을 가지셔야 한다고 생각한다.

 

* 아무 생각없이 마치 auto wrighting하는 영매처럼

  말하고 쓰고 해야하는 것이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