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형이상학 입문
유대칠 지음 / 부크크(bookk)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 그대로, ‘일반‘, ‘형이상학‘, ‘입문‘.

오직 ˝‘있는 것‘(ens)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 하나만 붙잡고 81쪽 끝까지 긴장감을 잃지 않고 잘 풀어 써 주셨다.

재미있다. 중세철학은 정말 매력이 넘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반 형이상학 입문
유대칠 지음 / 부크크(bookk)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Bingo!

칸트는 쥐뿔도 모르지만, 이분 말씀을 듣고 보니,
김상봉 교수님과 한국칸트학회 쪽 말씀에 조금 더 수긍이 간다.

백종현 교수님과의 번역 논쟁 관련 기사는
[기고] 김상봉 “백종현 번역어 심각한 문제 있었다”, 한겨레 (2018. 6.)
https://m.hani.co.kr/arti/culture/religion/850160.html
와 그에 연관된 시리즈 기사 총 8개 참조.

교수님들끼리는 서로 감정도 상하고 하셨겠지만, 그런 치열한 논쟁 덕분에 우리의 이해를 깊게 만들 수 있(었)다고 생각하고 싶다.

칸트는 ‘대상‘이 아니라, ‘대상들 일반에 대한 우리의 선험적(a priori) 개념’들을 탐구하는 모든 인식을 ‘선험론적인 것’(transzendental)이라 한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칸트는 스콜라 철학자들의 그것과 다르다.

비록 스콜라 철학자들이 사용한 라틴어 transcendentalis와 칸트가 사용한 독일어 transzendental가 비슷하다 하여도 한국어로는 서로 그 번역어가 달라야 한다. 스콜라 철학자들은 ‘초월 범주’ 혹은 ‘초월적 특성’이라 하는 것이 바르다. 그러나 칸트는 객관적 대상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객관적 대상의 초월적 속성에 대한 것도 당연히 아니게 된다. 스콜라 철학자들의 초월 범주는 의식 외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인식 대상, 즉 존재론적으로 유의미하게 존재하는 바로 그 객관적 대상의 초월적 특성에 대한 것이다. 그러니 칸트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 P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반 형이상학 입문
유대칠 지음 / 부크크(bookk)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쓰는 것이 안면도 없는 분께 실례되는 일이 아닌지 모르겠다.

2016년 말쯤부터 ‘중세 보편논쟁‘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그렇지만 여력이 없어서 책만 계속 사 쟁여두고 따로 시간 내어 공부하지는 못했다).

그러다 보니 알고리즘 신의 주선으로 어떻게 자연스럽게(?) 이분을 알게 된 것 같다.

작년에 강대석 교수님을 보내드렸건만, 이분이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意志의 形而上學: 토마스 아퀴나스와 意志 自發性 문제˝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으신 것을 보니, 박사과정을 밟으시던 중에 철학과가 없어졌다고 말씀하시는 그 지방대가 대구가톨릭대학교인 것 같다.
http://m.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09752d2ba0c04f5e&keyword=%EC%9C%A0%EB%8C%80%EC%B9%A0

찾아보니 ‘중세철학‘, ‘지중해지역연구‘에 학술논문을 꾸준히 내고 계신다. 작년에 법사상사 공부하다가 알게 된 스콜라 철학자, 수아레즈를 다룬 논문도 쓰셨다.
˝유럽 근대 형이상학 교과서의 성립에 있어 포르투갈 스페인 스콜라 철학자의 기여 -폰세카, 페레리우스 그리고 수아레즈와 함께 후기 중세 형이상학에서 근대 형이상학으로의 이행-˝, 지중해지역연구 22(3), 202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19554

충남 홍성에 있을 때 마을학회 일소공도를 몰래(?) 팔로우했는데, 『마을』 6, 7, 8호에도 참여하셨구나. 여러모로 반갑다.

눈팅만 계속하다가 철학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시는 데 어려움이 크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삶에 여유가 있으면 이분께 라틴어도 배우고 하면 좋을 텐데, 일단은 쓰신 책부터 읽어봐야지 싶어서 이 책부터 사보았다. 재미있다. 다른 책들도 사볼 생각이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토마스철학학교 https://facebook.com/ThomasPhilosophiaSchola 와
그 부설 오캄연구소 https://ockhamtextus.tistory.com
등을 팔로우해보시면 되겠다.

속속들이 알지는 못해도, 다른 어떤 누구로부터도 배우거나 구할 수 없는 귀한 지식을 가진 여러 선생님들께서,
당장 먹고사는 문제 때문에 연구하고 생산하는 일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계신 이 상황이 참 안타깝고 야속하다.
우리 공동체의 실력과 품격을 한 단계 높이기 위해, 이 구조적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까.

세상에 참 많은 빚을 지고 사는 것 같다.
저는 앞으로도 주로 잠행할 테지만,
모두 힘내시고, 마음으로 고개 숙여 감사드립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4-25 0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국내 전통 형이상학 책들의 불친절함을 생각하면, “일반형이상학입문”은 보기 드문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중들 사이에서 유학장님이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습니다.
 
핸즈온 머신러닝 - 사이킷런, 케라스, 텐서플로 2를 활용한 머신러닝, 딥러닝 완벽 실무, 2판
오렐리앙 제롱 지음, 박해선 옮김 / 한빛미디어 / 202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원래도 훌륭한 책인데,

옮긴이의 정성스러움에 눈물이 날 지경.

독자와 소통까지 만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이거 도우 : 파스타 셰프
삼성출판사 편집부 지음 / / 2021년 3월
평점 :


북플에서는 ‘읽었어요‘ 밖에 고를 수가 없네...

뭐, 이것도 텍스트라면 텍스트인가? 말 그대로 물질성을 가진?

알라딘 중고매장에 아이를 데리고 갔다가 ‘뭐에 쓰는 물건인고?‘ 아이 눈에 들어왔는데, 크리스마스 선물로 사준 이후로 아주 국수 뽑는 장인이 되어 있다(나는 덕분에 큰 점수를 땄다).

도우가 몇 종류 안 들어있고 양도 적어, 결국 도우를 계속 사다 줄 수밖에 없다. ‘잠금 효과‘ 같은 건가? 다만, 다른 회사 도우라 해서 호환이 안 되거나 하지는 않는다.

아무튼 아기자기한 것이 재미있다. 어른도 갖고 놀다 보면, 심혈을 기울여 진심으로 만들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