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우레처럼 다시 올 것이다 - 엄원태 시집 창비시선 363
엄원태 지음 / 창비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원태 선생님의 네 번째 시집. 직전의 『물방울 무덤』(창비, 2007)과는 시선과 시각이 다소 달라진 느낌이다. 서늘하다.

  "시는 단지 '말해지는' 것이 아니라, 시인이 제 몸을 잃어가면서 마련하는 풍경"이라고 하는 양경언 평론가의 해설이 마음을 붙잡는다.


  지금 여기 (90쪽)


  우연 아닌 삶이 또 있을까마는

  단순한 방문객으로 살기엔

  내 눈은 너무 많은 것을 보았고

  몸의 감각 지나치게 예민하여

  괴로움 또한 적지 않았다

  나를 가둔 방은 춥거나 더웠으며

  음식은 식었거나 딱딱하게 굳어 있었다

  어떤 날은 국물에서 바퀴벌레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 여기의 단 한번뿐인 이 삶은

  대체로 살아볼 만한 것이었으니,

  태초에 별들 사리를 흐르는 음악같은 것이 있어

  그 무시무종의 음률을 따라

  나는 왔고 또 돌아가리란 걸 겨우 이해하고 나니

  오고 감 또한 본래 없는 것이라 한다


  이 무상(無常)을 견딜 방편이란

  오로지 내가 당신을 껴안는 것

  도리없이 끌어안는* 것이니

  지금 여기 이 삶은

  너와 나라는 우주가 덩어리째 유정**하여

  서로 끌어안아 얽히고설킨 하나였고 하나님이었다는

  그 근원을 향해 가고 가는

  도정(道程)에 다름 아닐지니

  이 초라한 간이역***일지언정

  잠시 머물렀다 가는 것

  또한 그리 나쁘지 않으리라


*, *** 심보의 「지금 여기」에서.

** 문인수의 시 「달북」에서.

  

  2013년에 나온 시집인데, 다음의 시는 2016년 판 바슐라르라 해도 좋을 듯 싶다.


  아름다운 얼굴 - 촛불 앞에서 (90쪽)


  이 반투명의 흰 몸뚱어리는 오래된 기억의 숲을 거느린다. 몸의 미립자들은 숲의 낡은 목책(木柵)을 부수고 일시에 어둠을 터뜨릴 듯 몰려나온다. 갇혀 있던 희고 작은 애벌레들이 꼬물대며 길 위로 쏟아지는 심상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촛불은 혁명이다.

 

  그대의 흰 얼굴과 짙은 눈썹은 가장 견고한 신념의 한 양식을 보여준다. 그것은 동성애적 연정을 불러일으키기까지 한다. 그대는 자신의 열정을 온전히 자신에게로 되돌려놓음으로써 무화(無化)될 수 있는 자세를 보여준다는 차원에서, 지사(志士)이다.

 

  이것은 삶의 태도에 관한 문제이기도 하다. 아니, 존재한다는 엄연한 사실 자체에 대한 지극한 이해의 한 모습이다. 그 집중력! 그대가 나를 꼼짝 못하게 하는 부분이다. 오로지 소멸을 지향하는 집중력이야말로 존재의 근원적인 에너지라는 이 역설을, 고요히, 그러나 전심전력 타오르는 촛불에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 스피킹 기적의 7법칙 - 예일대 유학생들이 뽑은 20년 연속 최고의 강의
윌리엄 A. 반스 지음, 허유진 옮김 / 로그인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간단한 듯하지만, 평소에는 주의하여 생각해보지 못하였던 문장 구성의 다른 습관.

  책의 내용이 감역자에 의해 '한국화'되어 있고, 후루룩 금방 읽을 수 있다.


  <영어식 사고를 위한 십계명> (19쪽)


  1. 말을 할 땐 글로 쓰인 영어의 이미지를 잊어라.

  2. 영어 말하기의 최소단위는 '단어'가 아니라 '의미단위'이다.

  3. 유창하게 말하고 싶으면 연음을 이해하라.

  4. 영화감독처럼 문장을 만들어라.

  5. 문법보다 올릴 때 확실하게 올리고 내릴 때 확실하게 내리는 멜로디가 중요하다.

  6. 특별한 의미 없는 맞장구는 부자연스럽고 지루하다.

  7. 이정표 언어의 위력은 강력하다. 이정표 언어로 상대방을 안내하라.

  8. 전화 통화 시 꼭 필요한 3단계를 명심하라!

  9. 영어 말하기에 유능해지는 기본 공식인 <I think X, because Y, For example Z>를 익혀라.

 10. 성공을 부르는 자기소개법을 터득하라.


  79쪽에 <영어 커뮤니케이션에 가장 흔히 쓰이는 동사 250개> 표가 있고, 드라마 <The West WIng>을 추천하는 내용도 있다(2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Economist (주간 영국판): 2017년 08월 05일 - 영어, 매주 발행
The Economist 지음 / The Economist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 그림과 표제가 다 했다(하드캐리했다).

  역사적 의미(?)는 그리 크지 않았던 평범한 호.


  1. Gary Becker를 다룬 'Six Big Ideas' 시리즈의 두 번째 편 "Human Capital: The Peoples' Champion (52)"은 다소 실망스러웠고(http://blog.aladin.co.kr/SilentPaul/9537205 참조),


  2. 아이비리그 대학들의 아시아인들에 대한 역차별을 다룬 "College Admissions: POTUS v. Harvard (25)"는 읽어둘 만.


  3. "Kenya's election: The Rematch (33)"는 전혀 접한 바 없었던 케냐 정치의 상황을 잘 개관해주고 있어 유익했다.


  4. 자동차 보유나 기름(연료)보다는 실제로 희소한 자원인 '출퇴근 시간 등 막히는 시간대의 도로(space on busy roads at busy times)'에 대하여 과세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Transport: The Price of Jam (45)"은 대단히 흥미롭고, 또 설득력이 있다. 특히 위치데이터 등 빅데이터의 축적과 결합하여 참고할 만한 주장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호에서 꼭 골라 읽어야 할 기사.


  5. 제목 그대로인 "(Buttonwood) Money for Nothing: Comparing National and Corporate Balance-Sheets (55)"는 미국립경제연구소(NBER)의 최근 보고서인 Patrick Bolton, Haizhou Huang, "The Capital Structure of Nations", NBER Working Paper No. 23612 (2017. 7.)에 관한 기사이다. 생각하여 볼만하다.


  6. 유럽의 긴 여름 휴가(그럼에도 불구한 높은 생산성)를 다룬 "European Productivity: Le Long Layoff (50)"도 갈무리해둘 만하고, 이라크 전쟁 파병 당시와 브렉시트 국면의 영국 정치 상황을 비교한 "(Bagehot) A History Lesson (44)"도 재미있게 읽힌다. 후자는 이코노미스트지의 논조를 잘 보여주는 글이다.


  7. "DNA and Insurance: The Gene is Out of the Bottle (58)"은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이 보험제도에 미치는 이중적 영향을 다루고 있고, "Natural History: Crucibles of Cosmopolitan Creation (62)"는 다음 책들에 대한 소개를 통하여 '멸종(Extinction)'에 새로운 시각을 던져준다(멸종 이면의 끊임없는 신종 생성과 다양화. 즉, 진화가 직선적 진보가 아닌 다양성의 증가인 것처럼 멸종도 그러한 다양성 증가의 한 국면일 뿐, 직선적 퇴보만은 아니다). "Expenditure among the Affluent: How to Spend It (64)"도 'The Sum of Small Things: A Theory of the Aspirational Calss' 책 소개인데, 과시적 소비와 비과시적 소비의 구별을 통해 본 '신 유한계급론'이라 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The Economist, "Gary Becker and Human Capital : The Peoples' Champion" (Aug 5th-Aug 11th, 2017), 52


 


  Gary Becker의 인적 자본 이론은, 국내에서는 극히 불충분하게 소개된 그의 작업들 중에도 거의 희박하게 알려진 연구에 속한다(위키피디아 영문판에서도 서술의 비중에 비추어 볼 때 사정이 크게 다르지는 않다). 그러나 이코노미스트의 특집 기사는 베커의 범죄, 가족, 차별, 마약 등에 관한 다른 연구들을 그의 인적 자본 이론의 연장선에서 소개하고 있다. 평균수명의 연장, 기술혁신 속도 증가라는 맥락에서 그의 연구를 진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행동경제학의 최신 연구 성과도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Gary Becker


 1)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alysi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70, No. 5 (962), 9


 2) 

 


 3)



 4)



 5)




3. Arthur Cecil Pigou




덧. 지난 호 Ronald Coase 편 기사에 비하여 인용된 문헌이 적다(http://blog.aladin.co.kr/SilentPaul/9504968 참조). 집필자가 내용을 이해, 소화한 정도도 다소 떨어지는 느낌. 야심찬 기획의 화려한 서막이 용두사미로 그치는 것은 아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작된 미래 ⓔ - 코딩과 소프트웨어로 새로운 세상을 만나다
EBS <코딩, 소프트웨어 시대>, <링크, 소프트웨어 세상> 제작팀 / 가나출판사 / 2017년 2월
평점 :
절판


전반적으로 슬쩍 훑어보기에는 나쁘지 않다. 방송 컨텐츠 특유의 미덕이 분명 있다. 깊이 공부할 생각은 없지만 분위기는 알고 싶은 이에게 추천하기에는 적당한 책이라 할 수 있다. 논문, 책 등 출처 표시를 정확히 하려 애쓴 흔적이 엿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