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에 대하여 - 한권의시 15
K.지브란 / 태학당 / 2000년 1월
평점 :
절판


  "It is the first sip from the cup filled by the goddess with the nectar of Life. It is the dividing line between Doubt that beguiles the spirit and saddens the heart, and Certitude that floods the inner self with joy. It is the beginning of the song of Life and the first act in the drama of the Ideal Man. It is the bond that unites the strangeness of the past with the brightness of the future; the link between the silence of the feelings and their song. It is a word uttered by four lips proclaiming the heart a throne, Love a King, and fidelity a crown. It is the gentle touch of the delicate fingers of the breeze on the lips of the rose-uttering a long sigh of relief and a sweet moan.


  It is the beginning of that magic vibration that carries the lovers from the world of weights and measures into the world of dreams and revelations.


  It is the union of two fragrant flowers; and the mingling of their fragrance toward the creation of a third soul. As the first glance is like a seed sown by the goddess in the field of the human heart, so the first kiss is the first flower at the tip of the branch of the Tree of Lif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도인으로 사는 기쁨 - 믿는 기쁨 사는 기쁨 04
프랑수아 바리용 지음, 심민화 옮김 / 생활성서사 / 2000년 8월
평점 :
절판


바리용 신부님의 <믿는 기쁨, 사는 기쁨> 시리즈(전 4권) 마지막 권.

의문과 고민에 대한 납득할 만한 해답 내지 지침이랄까 하는 것을 제공해주었던 철학적이고 이지적인 신앙서. 추천. 4권 다....

"내가 기뻐하는 단식은 바로 이런 것이다. 억울하게 묶인 이를 풀어 주고 멍에 줄을 끌러 주는 것, 억압받는 이들을 자유롭게 내보내고 모든 멍에를 부수어 버리는 것이다.

네 양식을 굶주린 이와 함께 나누고, 가련하게 떠돌며 고생하는 이들을 네 집에 맞아들이는 것, 헐벗은 사람을 보면 덮어 주고 네 혈육을 모르는 체하지 않는 것이다(이사야 58, 6-7)."

"하느님을 사랑한다고 하면서 자기 형제를 미워하는 사람은 거짓말쟁이입니다(1요한 4, 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인자를 만든 참모들
이철희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에 끌리셨다면, 읽어볼 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벌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
토마스 불핀치 지음, 이윤기 옮김 / 창해 / 2000년 12월
평점 :
품절


햇빛에 바래면 역사가 되고, 달빛에 물들면 신화가 된다 했던가요(이병주, 『산하』). 서양 문명의 두 기둥을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라고 할 때 '그리스 로마 신화'는 그 중에서도 헬레니즘의 기저를 이룹니다. 따라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이해는 서양의 사고와 문화에 접근하기 위한 입구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윤기 선생님의 '그리스 로마 신화'야 워낙 정평이 나있으니 길게 말씀드리지 않아도 되겠지요. 충실한 해설과 풍부한 원색 도판이 서로를 돕습니다. 분량이 상당히 방대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기니
버지니아 울프 지음, 태혜숙 옮김 / 홍진북스(중명출판사)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편지 형식의 에세이. 태혜숙 교수님께서 번역하셨고, 이후출판사에서 재출간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