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해방 - 개정완역판
피터 싱어 지음, 김성한 옮김 / 연암서가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차별에 대해 제대로 생각하고 실천해야 한다. 그리고 여태까지 생각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은 종차별주의에 대해 생각하고 종차별에 대항하려 노력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 해방 - 개정완역판
피터 싱어 지음, 김성한 옮김 / 연암서가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을 다 읽었다. 내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다.

전반적으로 종차별주의에 이야기를 하면서, 어떤 것이 종차별주의인지 종차별에 대항하려면 어떻게 생각하고 움직여야 하는지, 왜 우리는 종차별에 대항하는지에 대해 쓴 책

이 책이 1970년대에 나왔다는 것에서 우리가 다른 종을 배려하는 역사가 그리 짧았던가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인종차별이나 여성차별, 장애나 국적, 성소수라는 정체성 때문에 많은 사람이 차별을 받고 그러한 차별이 아직 없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종차별이라는 것이 1970년대라는 이른 시기에 대두되었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만(이 긴 문장은 결국 인간의 역사란 차별과 그에대한 투쟁의 역사라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단란인가?)

 

사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은 다른 생명을 먹음으로서 살아간다.(식물은 조금 다르지만)

인간도 무언가를 먹어야 살 수 있다. 먹을 수 있는 그 무언가는 식물이거나 피가 흐르는 동물이다.

살기위해 먹어야 한다는 것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

그리고 몸을 가리기 위하여 옷을 입어야 한다는 것을 부정하고 싶지 않고,

같은 의미로 인간의 몸에 바르는 화장품이나 각종 의학의 발전을 위하여 어떤 실험을 진행해야 하는 것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런데 그 방법과 실행과정이 매우 잔인하고 살아있는 생명에게 크나큰 해를 가해서 싫다는 거다.

 

사실 이 책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사실을 이미 예전부터 알고 있었다.

단지 종차별주의에 대해 제대로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것이 나의 맹점이었다.

종차별주의라는 건 인종차별과 같은거다. 성차별과 장애로 인한 차별, 성소수성에 대한 차별과도 같은 거다.

한 마디로 범죄라는 것이다.

원숭이라는 종이 인간과 다른 종이라는 이유로 원숭이한테 애초에 쓸데없는 과학 실험을 해야할 이유는 없는거고,

소, 닭, 돼지가 우리에게 먹히기 위해 태어나고 사는 것이 아니라는거다.

 

늑대도 고기를 먹는다. 하지만 자신이 먹을 고기를 단체로 사육하지 않고, 더 맛있는 것을 먹기 위해 다른 동물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지 못 하게 막지도 않는다.(필수영양소를 섭취하지 못 하게 하는 것은 진짜 쀍 짓이라고 말하고 싶다.)

 

난. 전부터 생각했고 이 책을 읽으면서, 읽고나서도 생각하는 것이지만 인간이라는 존재가 절대자는 아니라는 것이다. 지구상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근데 인간이라는 종이 전지전능하고 매우 똑똑하다고 생각하고

그러기에 다른 동물과 식물과 지구상의 모든 것을 이용해처먹어도 된다는 생각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게 뭔가?

배가 고프면 먹어야 한다. 고기라는 것이 인간의 몸에 필요한 성분이고 이왕 먹을거 맛있게 먹어야 하지만,

사실 현대는 필요하니까 이왕이면 좀 더 맛있게 먹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하여 먹는 것 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것도 마찬가지이다. 추워서 옷을 입는 것이 아니라

물론 좀 더 예쁜 옷을 입고 싶은 욕구가 있는 것은 당연하지만 예쁜 것을 입기 위하여 다른 동물에게 고통을 선사하는 것은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예쁨을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길이 가죽제품이나 등등 동물을 이용한 제품이 아니어도 돼는 상황에서.

 

우리는 전반적인 차별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여태까지 생각하지 않았던 종차별주의라는 것에서 제대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미지 크기가 너무 작아져 버렸다...;;;

아무튼.!

작년에 아주 잘 봤던 뮤지컬 블랙메리포핀스가 올해 다시 돌아왔다.

2차 세계대전 전 독일 실제로 진행되었던 인간정신실험(?)을 모티브로 만든 뮤지컬인데

작년에 보고 몇 번 더 봐야지 생각하고 있다가... 그냥 한번만 보고 말았다능...아하하하하하

 

뮤지컬 내용을 구구절절 다 쓰게되면 마지막 반전도 써버리게 될 것 같아서 그럴수는 없지만

심리추리인지 심리스릴러를 표방하였지만

그 뒤에 숨어있는 사람마다의 슬픔, 고통을 삼키는 방법과

소중한 사람을 지키키 위한 노력도 볼 수 있다.

 

라고 쓰지만 사실 작년에 봤던거라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다만 마지막에 불행과 동행하겠다는 한 것만은 기억이 난다.

 

올해 두번은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라지지 않는 노래 푸른도서관 30
배봉기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라지지 않는 노래... 사라져버린 언어, 문화, 정체성... 한 번 읽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라지지 않는 노래 푸른도서관 30
배봉기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형제여, 그대을 환영한다.

 

형제여, 난 그대를 해칠 생각이 없다.

 

이스터 섬의 원주민 설화 중 제비갈매기족과 회색 늑대족의 첫 대화.

환영하는 쪽과 해칠 생각이 없는 쪽의 대비가

아메리카대륙의 원주민과 원주민을 처음 찾았던 백인이 생각나는 대목이다.

 

액자식 구성에서 액자 밖의 이야기와 액자 안의 이야기가 다르면서도 묘하게 같은 내용이 나오는 데 이 책도 마찬가지였다.

액자 밖의 백인과 원주민의 관계, 액자 안의 회색 늑대족과 제비갈매기족의 관계.

액자 안에서는 해결이 된 갈등이 액자 밖에서는 결국 해결되지 못 한 내용.

노예, 차별에 의한 차이, 갈등 같은 내용들......

 

회색늑대족이 살았던 평원과 숲의 방식은 투쟁과 탈취였다.

지금의 세계와 얼마나 비슷한지.

이익이 되면 합심하지만 이익이 없어지면 배신한다.

강하고 능력이 있으면 같이 가지만, 약하고 힘이 없으면 바로 버리는 사회.

 

제비갈매기족이 사는 섬의 방식은 나눔과 배려였다.

나누고 배려하고, 욕심을 부리지 않고 필요한 만큼 사냥하고 채취했다.

필요한 양보다 많이 구하려고 하면 벌을 받는 사회.

조건없이 물건을 나누고 호의를 베푸는.

백인이 도착하기 전의 아메리카 부족 사회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각자의 부족에 다른 생각을 가지 사람이 있었다.

회색늑대족에는 "많은 생각"이 있었다.

평원과 숲이 방식에서 살 때에서 약한 자를 생각했고, 섬의 방식을 보고는 강함을 지향하지 말고 서로 나누고 살자고 말하다가 죽어버린 "많은 생각"

제비갈매기족에는 "정신 차리고 걸어"가 있었다.

욕심을 내어 다랑이를 잡으려다 회색늑대족을 만나고, 결국 그들의 편에서 동족(?)을 배신한.

 

증오와 분노의 시대에서 한 인물 덕에 섬은 평화를 되찾았지만 결국 백인이 증오와 분노의 늪으로 끌고간 이스터섬

 

단순히 이스터 섬의 비극이 아닌, 아직 투쟁과 탈취의 방식에서 증오와 분노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의 비극을 담고 있는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