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기욤 뮈소 지음, 양영란 옮김 / 밝은세상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막장은 안 들어가는게 훨씬 좋을뻔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일
기욤 뮈소 지음, 양영란 옮김 / 밝은세상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 기욤 뮈소를 좋아하지 않는다.

기욤 뮈소, 파울로 코엘료, 베르나르 베르베르 이 세 명을 한국인이 먹여살리는 3대 작가이자

내가 별로 안 좋아하는 3대 작가이다.

그런데도 기욤 뮈소의 신작 '내일'을 읽은 이유는 샀기 때문이다.

 

아는 동생이 기욤 뮈소를 좋아한다고 해서 '천사의 부름'이후 '7년후'와 이 책 '내일'을 선물해주었다.

내 돈 주고 안 읽고 보내기는 싫어서 세 권 모두 정독하고 보냈다. 쓸데없는 독서 욕심인거다.

처음으로 읽은 '천사의 부름'은 오~ 완전 좋아 까지는 절대 아니지만

이 책을 바탕으로 영화를 만든다면 꽤 재미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고

더 나아가 뮤지컬로 만든다면 꼭 한 번은 봐야지라는 생각을 했다.

책으로서 좋은 것 보다는 뭔가 영화화 뮤지컬화를 잘 한다면 정말 재미있는 작품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아직까지 그 어떤 영화화/뮤지컬 제작화 이야기가 없는게 아쉬울 따름이다.

 

'7년후'는 별로였다. 그냥 심심풀이 땅콩도 못 할 정도?

뭐라 특이할만하게 생각나는 것도 없고 그냥 부모가 이혼해서 애들이 힘들겠구나 정도였다.

 

'내일'은.... '7년후'보다는 좋지만 '천사의부름'보다는 별로인

이 기운찬 막장과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유행하는 타임슬립의 기운은 무엇인가?

라는 생각이 들게하는 책이었다.

동시에 이 작가가 한국 팬이 많아서 한국 드라마를 시청한 수 영감을 얻은게 아닌가? 라는 생각도 30초정도 했었다. 그럴일은 없겠지만

 

거의 1년에 한 권씩 신작을 쏟아내는게 어려울 것이라 생각한다.

소설을 한 권도 안 써봤지만 그 정도는 알 수 있다.

아무리 내가 싫어하는 작가라지만 한국인이 먹여살릴 정동의 작가라면

그 작가가 쓴 책이 대중적으로 재미있다는 것은 사실일거다. 그냥 내 스타일이 아닐 뿐이지.

근데 이 책에서 맘에 안 드는 것은 천사의 부름처럼 최신식이고 현대적인 무언가(천사의 부름에서는 핸드폰이었다)가 소재로 등장한 것도 아니고

한국처럼 막 나간건 아닐지라도 막장이 끼어들어간 게 참 싫었다.

 

가볍게 읽기에는 참 좋다. 근데 거기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 인사이드 [dts] - [할인행사]
롤랑 수소 리히터 감독, 라이언 필립 외 출연 / 씨넥서스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막장드라마는 어디에나 있구나라는 현실과 후회하는 일을 하지 말자는 생각이 든 영화. 공포/스릴러라고 쓰여있지만 그거 신경쓰지 않고 보는게 더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 인사이드 [dts] - [할인행사]
롤랑 수소 리히터 감독, 라이언 필립 외 출연 / 씨넥서스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로에서 연극 퍼즐을 보고 연극의 영화 원작인 아이인사이드를 보았다.

기본적인 스토리는 비슷하다.

 

한 남성이 교통사고를 당해 병원에 실려왔는데, 2000년과 2002년 사이의 2년의 기억이 없다는 것.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 주인공은 2000년과 2002년을 타임슬립해서 넘나들어 자신의 기억을 맞춘다는 것.

2000년에 일어났던 일이 2002년에 결과가 된다는 것.

이 와중에 형이 죽었고, 주인공은 죽은 형의 약혼자와 사랑에 빠졌었고(과거형), 2002년에 아내가 있는데 이 아내는 돈 때문에 주인공이랑 결혼했다는 한국 드라마에서 익숙한 풍경...은 막장이 한국의 전유물이 아니다라는 반증일 뿐인가?

 

타임슬립이 요즘 유행이기는 하지만 사실 옛날부터 각종 영화/드라마/소설의 소재나 주제였으니, 뭐 그거에 대해 할 말은 없다.

 

연극과 영화의 다른 점이라면 이 주인공이 "왜 미래를 바꾸려고 하는지!" 그 이유인 것 같다.

연극에서는 미래를 바꾸려는 이유가 2000년이 행위의 결과로 인행 2002년에 꼬여버린 내 인생을 돌려놔! 였다면,

영화에서는 한 순간에 실수로 형의 여자와 사랑에 빠지고 등등등 때문에 틀어져버린 형제애를 돌리고 싶어서. 라고 설명 할 수 있겠다.

 

영화가 너무 보여준 것이 많았던 건지, 연극이 무대라는 틀 위에서 설명이 부족했던 건지는 모르겠다만

마지막에 주인공이 죽을 때 영화의 설명이 더 확실했다면,

연극은 그 애매모호함 때문에 관객의 멘탈을 안드로메다를 보내버린 한 편

극이 좀 더 스릴러스러워졌다고 말 할 수 있겠다.

몇몇 관객은 이게 뭔 내용이냐며 혼란스러워했지만...

 

연극이든 영화든 보고 느낀건 이게 뭔 일이든 미래는 바꿀 수 없으니

후회하는 일을 하지 말던가 후회하지 말자!

어차피 벌어진 인생 돌릴수도 없는건데 뭐.

이미 후회했다면 앞으로 잘 살면 되는 거고.(말은 쉽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장 낮은 곳에서 가장 보잘 것 없이 - 르포기자 귄터 발라프의 인권 사각지대 잠입 취재기
귄터 발라프 지음, 서정일 옮김 / 알마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몇십년전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 한국에서 일어나는 일이라 생각하고 천천히 끝까지 읽어야 하는 책이다. 한국도 변화할 수 있을거라 기대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