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보면서 기분 좋은 희열과 어둡고 깊은 한숨이 함께 공존하기는 쉽지 않다. 영화 위대한 쇼맨을 보면서 그리고 보고 나와서 집으로 오는 길에도 집에 도착해서도 한참을 고민했다. 리뷰를 어떻게 써야할지 힘들었다.

영화 위대한 쇼맨을 보면서 기분이 좋았던 이유는 1. 영화가 재미있었고, 2. 음악이 좋아서였다.
이 두 가지를 제외한다면 위대한 쇼맨은 '나에게는' 좋은 영화가 아니었다.

어둡고 깊은 한숨의 이면에는 차별의 벽을 없앤다는 미명하여 오히려 차별을 하고 있는 휴 잭맨의 캐릭터 때문이었고, 그 차별의 대상이 되는 소수자를 보는 시선이 아직도 변하지 않았다고 느껴졌기 때문이다. 이 영화는 소수자를 차별하지 않고, 소수자도 당당하게 사회로 나온다는 것을 다수의 시선으로 쓴 폭력적인 영화라고 느껴졌다.

그 이유는 P. T. 바넘이 사업을 시작하면서 살아있는 신기한 무언가를 찾는데 그 대상이 장애인이나 흑인이었다는 것이다.
노래를 엄청 잘 했던 레티의 경우는 잘 모르겠지만 바넘의 무대 위에 선 사람 중에는 왜소증이나 알비노, 샴 쌍둥이도 있었다. 그 때 당시의 장애인을 보는 시각은 신기한 구경거리 그 이상이 아니었음을 알려주기도 하는 장면이었다. 더 불편했던 것은 그 시각의 일부가 아직까지 남아있다는 것, 그리고 구경거리가 되고 싶지 않은 사람을 강제로 사회로 끌어내 돈을 벌거나 오히려 극 말미에는 뭔가 스스로 원해서 그 자리에 선다는 이야기를 하였는데 정확하게 설명하기 힘든 불편함이 있었다.
바넘이 극장을 잃고 난 후에 술집에서 술을 마실 때 단원들이 그를 찾아가 우리를 사회로 나올 수 있게 해주었고 이 사람들이 우리의 가족이다 이런 소리를 하는데... 그것도 불편했다.
- 도와줘요 장추련...
오히려 This is me를 부르고 난 후에 각자 사회에서 일을 하며 살았다면 비현실적이지만 덜 차별이라고 느꼈을까?

소수자를 무대에 세우는 것과 별개로 '내가 정확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불편함은 바로 동물에 대한 것이었다.
영화 끝에 천막 서커스를 진행할 때 나오는 코끼리를 보고나서 정말 화가 났다.
영화에서 코끼리를 보는 순간 코끼리를 서커스 무대 위에 세우기 위하여 새끼 코끼리가 보는 앞에서 어미 코끼리는 물론 코끼리 무리를 몰살 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코끼리가 어렸을 때부터 쇼를 위해 맞으며 자라는 영상이 떠올랐다.
- 실제로 많은 쇼에 사용되는 코끼리가 이런 식으로 잡혀 고통스러운 훈련을 받는다.

게다가 바넘이 눈이 오는 한겨울에 코끼리를 타고 극장에 가는 장면을 보았을 때는 영화 제작자와 연출가가 생각이 있는지 없는지 의문이 들 정도였다.
코끼리는 아시아나 아프리카에 살고 열대, 아열대 기후에서 사는 동물인데 한겨울에 코끼리를 타고 다니는 영상이 어린이가 볼 수 있는 전체관람가 영화에 나오면 어린이들은 아무 생각 없이 그래도 괜찮다고 생각할 것 아닌가. 한겨울에 코끼리가 나다니게 하는 것은 동물학대란 말이다.

좋은 노래가 나오는 영화에 인권 의식과 동물권 의식은 바닥 그 근처에 있음을 알고 정말 통탄했다.

정말 이 영화를 보고 난 후기에는 영화가 재미있다, 좋다, 용기, 사랑 이런 이야기를 쓰며 좋은 리뷰가 한 가득인데...
난 이 영화가 나쁘다고 생각한다. 매우 좋은 음악이 나오는 영화인 것은 맞지만, 소수자의 인권과 동물권을 생각하지 못 한 영화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3살에 처음 만나 친구가 되었던 칠월과 안생.
서로 정말 다르고 그 다름때문에 질투를 했지만, 결국은 친구였고 가족이었고 자매나 쌍둥이 같았던 두 사람.

정말 관람하기 어려운 영화였다.
대학로, 명동, 종로, 신촌아트레온, 여의도, 영등포, 상암 등등등등
CGV에서 하는 곳은 많았고 집과 가까운 곳도 많았지만 문제는 상영시간!
조조 아니면 아예 밤 9시가 넘어서 시작하는 곳도 많았고 어떤 상영관은 26시에 영화 시작.
어쩌라는 거냐?

영화를 보면서 처음에는 누가 안생이고 누가 칠월인지 구분이 힘들었다.
자유분방하고 10대 때부터 일을 하던 사람은 안생이었고, 학교를 가서 공부를 하던 사람은 칠월이었는데 왜 구분하기 힘들었을까? 단순히 피로 때문은 아니었던 것 같은데... 그 둘은 나에게 비슷해보였다.

딱 한 번 다르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었다.
안생과 칠월이 처음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함께 떠난 여행의 식당에서. 안생은 거래를 해서 음식을 먹으려고 하였고 칠월은 돈을 내려고 하였다.
안생이 살던 인생은 거래로만 존재했던걸까?
칠월은 안생의 방식을 '빌붙는 것'이라고 표현했지만, 그게 정말로 '빌붙는 것'이었을까?
안생이 살면서 제안했던 거래 내용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빌붙다'라는 단어로만 정의할 수 있었을까?
칠월은? 칠월이 돈이 있으니 낸다고 하였을 때, 안생은 계산적이라고 하였다.
안생과 칠월은 닮았지만 그렇게 달랐다.

단순히 안생은 부모님이 안 계시고 정착하지 않은 삶을 살았고, 칠월은 한 곳에 정착하는 삶을 살아서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안생은 거래를 제안하는데 능통했고, 칠월은 돈을 지불하는게 익숙했다.

두 여성이 모두 좋아했던 가명이 별 쓸데없는 비중의 남성이어서 좋았다. 가명의 역할이 아예 없다고 할 수는 없었지만 그래도 여성중심의 극을 방해할만큼 많이 나오지는 않았다. - 그럼에도 가명의 존재는 딱히 안 나오는게 더 좋지 않았을까 생각하는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상암CGV에서 관람. 두 번째로 보는 헝가리 영화.

처음 봤던 헝가리 영화 화이트 갓은 차갑고 무거운 분위기였지만 동물의 권리와 차별를 생각하며 감정이입이 되었는데 이 영화는 힘들었다.

차갑고 무겁고 건조한 분위기.
꿈은 무의식의 발현이라고 하는데, 당췌 알 수 없는 두 명의 사슴 꿈.

심리학자가 정서적, 심리적으로 꿈을 분석하는게 옳은지는 모르겠으나 남의 무의식을 알 수는 있는걸까?

사람은 같은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여도 자라온 환경, 공부한 전공, 평소에 관심있는 주제, 자주 읽는 책이나 TV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습득하고 사용하고 이해하는 언어가 다르다.
꿈에서 나오는 상징 역시 그렇다. 나는 같은 나라에서 같은 언어를 사용하더라고 하나의 꿈에 나온 상징의 의미가 다를 것이라 생각하는데 성별도 나이도 살아온 환경도 다른 두 명의 사람이 같은 꿈을 꾸었을 때, 그게 외로움의 발현이나 사랑에 빠지고 싶다고 해석할 수 없지 않을까?

도축장이라는 장소를 화면에서 사실은 듯 사실이 아닌 것처럼 느껴진 점은 새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극 톡톡

2017. 10. 20. - 2018. 1. 28.

2017. 11. 25. 관람

TOM 2관

 2017. 11. 25. 오후 6시 공연 Today Cast
프레드 - 서진철, 뱅샹 - 김대종, 블랑슈 - 유지수, 마리 - 정선아, 릴리 - 문진아, 밥- 김지휘

 

 

아빠의 생신을 맞아 대학로에서 연극을 봤다.
- 재작년에는 샤롯데씨어터에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작년에는 샤롯데씨어터에서 아이다.

올해에는 연극 톡톡이다. 연극 자체는 재미있게 보았다.

단지 연기를 할 때, 평소에 자주 접하지 못 하는 사람을 캐릭터화하다 보니 어떤 특징을 극대화하여 연기하는 느낌이었다. 연극 연기 특성상 캐릭터를 극대화하는 게 필요하지만 부자연스러운 부분이 눈에 띄었달까?

밥과 릴리의 경우 그 부자연스러움이 너무 강해서 어색해 보였다.
- 예를 들자면 릴리는 동어반향증이지 행동까지 반복할 필요는 없는데, 왜 동어반향을 하면서 행동반향까지 하는지 의문? 원래 그런가요?

프레드는 어떤 목적이 있었다지만, 밥이 왜 그룹 치료 이야기를 꺼낸 것은 뜬금없다.
오히려 프레드와 밥의 관계가 있었다면 '어색'하거나 뜬금없지는 않았을 텐데, 굳이 밥이 그룹 치료를 꺼낼 이유는 없지 않았을까.
- 프레드는 그룹 치료를 꺼내야만 하는 이유가 있었다.

병원을 찾은 사람 모두 강박증(남의 생각이든 내 생각이든)이 있었지만, 굳이 강박증을 고쳐야 할 이유는 모르겠다. 내가 불편한 게 아니라 남의 시선 때문이라면 굳이 고칠 필요는 없지 않을까?

지난 9월 빌바오에 갔을 때 톡톡 공연이 예정이 되어 있었다. 하지만 공연을 보지 못했던 이유는 내가 톡톡의 빌바오 공연이 시작하기 이틀 전에 서울로 귀국했다.
근데 봐도 스페인어로 공연을 하니 1도 못 알아봤을 거라는 생각이 되었다. - 말이 너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콜라보M

2017. 11. 9. - 11.

2017. 11. 9. 관람

피아니스트 김태형, 배우 김석훈, 메조 소프라노 김정미,
플라멩코 댄서 롤라 장, 플라멩코 댄서 카를로스 J

세종문화회관 세종M씨어터

세종문화회관에서 처음으로 뮤지컬이나 연극이 아닌 다른 종류의 공연을 보았다.

다른 장르의 공연을 하나로 합치는 콜라보M.

3일 동안 각기 다른 공연이 진행되는데, 첫째 날은 피아노+성악+플라멩코+나래이션의 조합이었다.

성악과 플라멩코를 거의 보지 않는 습성 탓에 공연은 낯설었다.

낯선 공연을 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