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를 오고가는 길에 보았던 영화 5편 중 하나.
한국에서 개봉할 때, 관심이 있던 것은 아니라서 그냥 스쳐지나갔는데 비행기 영화란에 있기에 보게되었다.
이병헌과 박정민이 연기를 잘 했고 재미있는 부분도 있었지만, 약간의 신파가 있어 예측 가능했고 지루했다.
작년에 비행기에서 보았던 아빠와 딸은 재미있게 봤는데, 이건 좀 아쉬움.
딱히 할 말이 없는 영화지만 기록용으로 강제로 쓰는 후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극 줄리엣과 줄리엣

2018. 7. 4. ~ 15.

창작집단 LAS

줄리엣 몬테규 - 한송희, 줄리엣 캐플렛 - 김희연,
티볼트 캐플렛 - 이강우, 로미오 몬태규 - 조용경, 캐플렛 조영규, 네릿서 - 김하리, 승려 - 장세환

산울림 소극장

 

 

6월에는 한 달 내내 공연을 보지 못 했다.
내가 내 돈을 주고 공연을 보기 시작했을 무렵부터 이렇게 오랫동안 공연을 보지 못 한적은 극히 드문데 그리 되었다.
하와이에 다녀온 것도 있지만, 그 앞뒤로 계속 정신없이 시간이 흘러간다.

지난 3월 산울림 고전극장 신작 중 하나로 공연되었던 창작집단 LAS의 <줄리엣과 줄리엣>이 재공연 되었다.
재공연이 되면 다시 한 번 보고싶었기에 예매를 하였고, 내가 예매를 하고나서 거의 직후 모든 티켓이 매진되었다.
정말 좋은 공연이라서 매진이 되었다는 것이 기뻤지만, 내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도 이 공연을 꼭 보라고 이야기해주고 싶었는데 그럴 새도 없이 티켓이 매진되어 아쉬웠다.

줄리엣 몬테규도 줄리엣 캐플릿도 모두 아름다웠고 용감했다.
두 주인공이 이성애자였을 때, 첫 만남 이후 로미오가 담을 넘어 줄리엣의 집으로 찾아가고 두 명이 사랑을 고백하고 이야기 하는 신에서 아직 어리고 어린 두 명의 사람의 철없는 행동으로 비춰질 때도 있었다.
줄리엣과 줄리엣의 같은 신에서 그리고 그 이후로 서로 사랑을 이야기 하고 결혼을 하자고 할 때, 두 명은 많은 고민을 했었다.
가족에게도 미처 말을 하지 못 했으면서 섣부르게 결혼을 이야기하는 자신을 책망하기도 했고, 동성애를 금기시하고 동성애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면 사람을 추방하는 베로나를 떠나 안전하게 살기 위해 방법을 찾으려 했다.

2번째 보는 연극임에도 캐플릿의 남성이 말하는 "동성애는 병이고 고쳐야 한다."는 발언이나 몬테규의 로미오가 누나를 지키기 위해 하는 거짓말에 여전히 화가 났다. 그리고 주변의 많은 사람이 울음을 터트렸다.

극이 죽음으로 치달을 때는 머리가 아팠고 힘들었다. 줄리엣과 줄리엣에게 행복한 순간은 너무 짧았다.

이 극의 대본집이 나온다면 반드시 사겠다. - 그러니까 빨리 대본집 내주세요.

그리고 (관계자가 읽지 않겠지만) 창작집단 LAS에서 셰익스피어의 희극(이왕이면 '십이야'나 '한여름 밤의 꿈')을 LGBTQAI 버전으로 만들어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의 삶이 비극이기보다 희극이기를. 슬픔과 우울보다는 웃음과 행복이기를 바라면서.
- 원작 로미오와 줄리엣을 희극으로 보는 경향도 있다고 한다. 사랑하는 두 연인이 끝에는 함께였기에. 하지만 죽음으로 함께함이 어떻게 희극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극 라틴 아메리카 콰르텟

2018. 7. 6. - 15.

문필 - 김다흰, 트래블러 장 - 박동욱, 김한민 - 전석호, 배영진 - 임승범

CKL스테이지

 

연우 무대의 신작. 라틴 아메리카 콰르텟.
인디아, 터키, 히말라야를 거쳐 이제는 라틴 아메리카다.
- 개인적으로는 터키 블루스를 제일 좋아한다.

그 넓은 라틴 아메리카를 여행하며 이야기를 만드느라 고생했겠다는 생각과 함께,
각자의 아픔을 서로에게 모두 이야기하지 않았고, 우리는 함께 여행하지 않았다고 말을 하지만
결국 이과수 폭포에서 마지막을 함께하는 4명의 사람이 서글퍼 보였다.
이과수 폭포에서 떨어지는 사람을 죽일듯한 물줄기가 문필, 트래블러장, 강한민, 배영진의 아픔을 씻어내주지는 못했겠지만,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시간이 영혼의 슬픔을 삼켜내는 시간이 되었기를 바랬다.

문필이 그랬다. 내가 그 사람 안에서 너무 커져서 죽였다고.
중반 이후에 이런 대사도 하였다. '이런, 큰일이다. 그 사람을 많이 좋아해서' - 정확하지는 않다.
사람을 많이 좋아해서 큰일이다. 이런, 큰일이다.
사람을 좋아해서 큰일이었던 문필. 락스타가 되고 싶었던 문필은 감정을 최대한 드러내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나도 말하고 싶다. '이런, 큰일이다.'

연우무대에서 합이 잘 맞는 4명의 사람의 공연이어서 즐거워 보였다.

연우무대의 공연을 볼 때마다 이런 형식을 공연을 여성 배우가 주연으로, 이왕이면 모든 캐릭터가 여성으로 나오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떤 트라우마를 극복할 때, 그 내용이 강간이나 낙태가 아닌 다른 내용의 트라우마가 나오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 꼭 여성의 트라우마는 성적인 것이나 모성애로 귀결시키려 하지 않길 바란다.

그리고 스페인과 하와이같이 내가 갔던 곳이 무대화되면 좋겠다.
- 연극화되었던 4곳의 여행지 중 터키가 제일 좋았던 이유는 내가 터키를 가봤다는 이유도 한몫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와이 여행을 갔을 때 영화가 개봉한터라, 영화 후기가 호평과 혹평이 섞여있던터라 1~2주일 동안 이 영화를 볼까말까 걱정했었다.
몇몇 사람이 꼭 보라고, 재미있다고, 2번 보라고 추천을 하여 별과 함께 보러갔다.
- 그리고 별에게 맥주를 못 줌.

오션스 11의 여성 버전으로 몇몇 사람들이 이야기했던 혹평과 다르게 나는 재미있게보았다.
- 혹평의 내용 중에 여성 버전으로 바뀌니 원래 오션스 시리즈에 있었던 케미가 반감되었다고 한 내용이 있었는데, 오션스 11을 본 사람으로써 12와 13이 아닌 11도 원래는 별로였음.
- 12랑 13이 되니까 발전했던 부분이 11을 미화시키는 요소가 되었다고 생각함.

제일 매력적인 캐릭터는 '루'(케이트 블란쳇). - 눈빛이, 눈이 예뻤다.
예상외로 어리버리했던 캐릭터는 '로즈'(헬레나 본햄 카터). - 좀 더 카리스마 있는 캐릭터일 것 같았는데 어리버리였다.
'다프네'(앤 해서웨이)는 그냥 예쁘다.ㅋㅋㅋㅋㅋㅋ

케이퍼 무비로 그리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로 좋았다.
2번 볼 생각은 없으나, 여기에 나왔던 사람 그대로 오션스 9과 오션스 10이 나온다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영화를 기다렸다. '개들의 섬'.
개봉한다고 꽤 오래전부터 이야기가 나왔던 것 같은데 말이다.

개를 사랑한 소년. 소년을 사랑한 개.
이 문구만 보면 개와 소년의 낭만적인 우정 이야기인 것 같지만 - 아니라고 할 수 없지만.
영화를 보면서 혐오와 공포가 낳을 수 있는 비극을 또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단순히 '개'라는 종으로만 표현되었지만 특정 동물에 대한 혐오뿐만 아니라 이 세상에 대한 모든 차별과 혐오를 이야기하고 차별과 혐오를 대중에게 주입하기 위해 미디어를 사용하며 해결책을 제시하는 사람을 발언권에서 제외하는 억압이 화가 났다.

아타리와 스파츠가 다시 만날 때, 스파츠가 아타리에게 묻는다. '목소리가 들리십니까?'
이 대사가 나에게 단순히 스파츠가 아타리에게 실질적인 '목소리가 들리는지'에 대한 물음으로 다가오지않았다.
목소리가 들린다. 나를 생각하는 당신의 감정이 들린다.
아타리와 스파츠는 같은 언어로 말을 하지 않지만 서로의 말을 듣고 대화를 했다.
단순히 목소리만을 듣지 않았다. 서로를 생각하고 느꼈다.

다시 한 번 보고 싶은 영화였고, 아트북을 사서 읽고 싶어지는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