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 연습 : 내 아이를 바라는 대로 키우는
신규진 지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14년 2월
평점 :

내 아이를 바라는 대로 키우는
부모연습
신규진 지음
아름다운사람들
점점 아이가 커갈수록 참 부모가 되는게 쉽지 않구나 느끼게 됩니다
20대후반 정말 부모란 책임감에 대해 알지못하고
그렇게 첫아이를 낳아 키우면서 시행착오도 많이하고
스스로 반성도 많이하고 과연 좋은부모가 되어
내아이를 바르게 잘 키울 수 있을까 고민도 많이하고
지금도 그러한 고민은 끝이 없지만 ㅋ
아이가 커가면서 같이 자라난다란 생각이 드는건 왜일까요??
요즘은 오히려 아들에게 배우고 있다란 생각마저 들때가 많아지네요
늦게 둘째를 봐서 그아이가 커가는걸 보며 큰아이때를 떠올리며
내아이를 바라는 대로 키우고 싶은 욕심에서 이제는 이해하고
함께 대화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작년에 참 심히도 사춘기를 경험한 큰아이
물론 잠잠함이 다시 폭발해 질풍노도의 본격적인 관문안에 들어가겠지만
아마 그시기에 이책을 만나게 된게 참 행운이란 생각마저 듭니다
책제목부터 끌렸어요 부모연습~!!!
부모 좋은부모가 되고 싶고 내아이가 존경할만한
잘 이끌어주는 부모가 되고싶은건 다들 한마음이 아닐까란 생각합니다
하지만 쉽지 않고 매일 겪는 육아 살림 주어진 생활속에서 소홀해지기도
혹은 부모욕심에 아이를 다그치고 때로는 끝없는 잔소리에
아이를 잡고 있게 되는걸 보면 정말 부모되기 그냥 되는건 절대 아닌거 같아요
실제15년간 4000여 차례의 상담결과로 얻는 작가의 노하우가 집약된 책
아이들의 마음을 간접적으로 나마 읽어볼 수있고 그안에서
아이들이 바라는 부모상을 대략 그려볼 수 있어 참 유익한 시간이였어요
읽는데 왜 이리 공감이 되는지 사실 제 어린시절도 특히나 사춘기시절은
잊고 싶은 추억들이 많아 그때가 떠오르며 그답습을
혹여 내 아이를 통해 하고 있었던건 아닌가 돌아보는 시간도 되더라구요

홍일대병설 경성고등학교의 상담교사이자
Wee클래스 운영 책임 교사이며 과학교사인 신규진 저자의 이력에서 알수있듯
실제 아이들과의 상담사례를 통해 집필된 전작
<바라지 않아야 바라는 대로 큰다>책을 읽고 너무 공감했던 순간이 떠올랐어요
그래서 더욱 <부모연습>책이 끌렸던거 같아요
사실 봇물처럼 터져나오는 육아서시장안에서
실제 현실성을 가지고 바로 실천하며 돌아볼 수 있는 육아서가 과연 몇이나 될까요???
가끔은 자괴감이 들고 때로는 육아서를 읽고나면
역시 나는 좋은부모가 아니야란 생각에 허탈감이 들때도 있었는데요
이분의 책은 아하 조금의 생각 변화가 필요했구나
그래 따스한 시선 내아이를 진정으로 사랑하고 있다란걸 믿음을 잊지말자 결론에 도달하면
근본적인 해결점들을 찾아나갈 수 있어 현실성이 강한 육아서임을 느끼게 되실 꺼예요

역시나 실제 아이들의 상담사례들과 접목되어 아이들의 느끼는 고민들
그안에서 그렇게 무던히도 마찰이 심해 내아이 앞에서 모르게 신랑과 말다툼을 했던
지난 2-3년이 떠오르니 정말 미안하더라구요
어느날 아들이 던진 말에 저희 부부가 충격을 받았던기억
아하 그런 느낌이였겠구나 느낀 순간들이 이책을 읽으며 다시 기억을 떠올리게 하더군요
어쩔줄 몰라하던 순간이였다며 왠지 도망가고 싶었다던 아이의 심리 상황....
그리 다툼이 많지도 않았는데 무던히도 힘든시기 왜이리 다툼이 많았던지.....
바라는게 커가고 사랑이 식어가며 익숙해진 탓이겠죠
부부관계에 대해 부부싸움 그안에 느끼는 아이들이 생각들을 읽고나면
정말 아이들 앞에서 작은 말다툼도 되도록이면 피해야겠구나 느끼게 되실꺼예요
기본은 부부간 무조건 존중 ㅋㅋ
그럼이라 반문하실 분들은 책을 통해 확인하시길바라구요
육아이기 이전 내아이를 바라보기 이전 중요한건
자신과 부부관계에 대해 고찰할 시간들이 필요하다란걸 다시금 배우게 됩니다
부모란 이름아래 우리아이들을 소유물로 생각하고 막대했던건 아니였는지.....
지금당장 눈앞에 보이는 결과물에 아이를 다그치며 벼랑끝으로 내몰진 않았는지
기다려주고 가장 중요한 내아이를 믿고 있다란 신뢰감이 얼마나 중요한지
현실적접근과 아이들의 맘을 읽어내려가며 다시금 다짐해봅니다
내아이를 바라는 대로 키우는 부모연습 말이죠
<아이들은 공부 잘하는 아이보다 부모와 친밀하게 지내는 아이를 더 많이 부러워한다.
아울러 공부 잘하는 아이가 부러운 경우에도 부모에게 구박받지 않을 테니까
부모에게 떳떳할 수 이 있으니까 하는 심리가 상당히 반영되어 있다
아이가 가진 재산 중에 가장 큰 것은 부모라는 존재인데,
그 존재가 자신을 조건없이 고귀하게 사랑해주기를 아이들은 간절히 바라고 있다.>
(본문 page 248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