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도사 수선, 한양의 물장수가 되다 ㅣ 징검다리 역사책 8
정창권 지음, 유설화 그림 / 사계절 / 2015년 5월
평점 :

물도사 수선,한양의 물장수가 되다
글 정창권
그림 유설화
사계절
물에 담긴 역사를 통해 조선시대 후기부터
지금의 식수문화가 정착되기까지의 이야기를 재미있는 동화형식으로 만나봤어요
아들이 참 재미있어 하더라구요
실존인물에 작가의 상상력을 가미해 한층 사실감과 재미있는 물의 역사를 만나볼 수 있었던 책이였는데요

조선시대 후기 과천의 한 농가 머슴이 샘물을 마시며 살아가며
물의 맛을 감별해해는 특별한 능력을 가지면서 이야기는 흥미진진 전개되는데요
오우~~~동의보감에도 물맛을 33가지로 나눌만큼
우리삶과 밀접한 물은 참 다양한 맛을 지니고 있구나 새삼 느끼게 되더라구요
물도사 수선이 자신의 특별한 능력을 펼쳐내려 한양으로 올라와
좋은물 맛있는 물을 공유하고자 지게를 짊어진 삶을 선택하며
그시대의 물지게꾼 북청물장수의 모습으로 투영되어
시대상을 풀어낼때는 아하 새롭더라구요
물이란 주제로 역사를 읽어보는 것 자체가 역사를 배우는 또다른 재미라고 할까요???
한가지 주제로 얽히고 섥힌 역사속여행은 그래서 참 재미있고 흥미로워요~!!
따로 물이란 부분으로 만나보지 않아 신선했구요
실존 인물의 삶속에서 어렵고 힘든 시절의 물을 길어나르며 생활하던 다양한 삶의 방식과
일제시대를 가늠하며 그렇게 자라져가는 물장수의 모습에선 안타까움도 서리구요



이야기 중간중간 실제 역사적 이야기들을 풀어주고 있어 한층 사실적이죠
"먼저 물의 맛과 냄새로 알 수 있습니다.
좋은 물은 달고 시원하며 냄새가 없는 법이거든요.
또 물의 무게로도 알 수 있습니다. 좋은 물은 무겁고,
나쁜 물은 가볍지요.
그래서 옛날에 오래 살았던 황희, 김수동, 상진 같은 재상들도
늘 물의 무게를 재어 무거운 물임을 확인하고 마셨다고 합니다."
(본문 33page中에서)
우리민족과 물이 주는 가치가 새삼스럽고 놀랍죠
읽다보면 수돗물로 국한된 지금의 수도시절을 다시 돌아보게 되기도 하더라구요
물론 편리성과 호열자감염으로 죽어나가다보니 위생상 필요한 부분들이고
현대발달에 필수불가결하지만 그로인해 물의 일관된 맛을 느끼는
요즘 세대에겐 안타까운 여운으로 남기도 하더군요
역사 속에서 보는 물의 생존권싸움도 참 안타까운 역사현장이였던거 같아요
북청물장수를 상대로 경성수상조합의 횡포와 만행 물이란 존재는 늘 있는데
그것에 주인행세를 하고 때로는 함부로 하고 있는건 아닌가란 생각두요
(또한 국가가 힘이 없으니 고스란히 그 횡포를 감내해야했던 국민들의 고충도 엿볼 수 있었어요ㅠ.ㅠ)
앞으로도 흐를꺼고 미래에도 늘 함께할 물이란 존재에 대해 참 의미있는 독서시간이 될꺼란 생각을 해요
읽고나서 아이도 물맛을 보더라구요 어떤게 달고 시원한 맛일까???
상상해보고 물의 무게에 대해서도 궁금해하구요 ㅋ
또한 과거 물장수의 새로운 모습으로 바뀐 정수기나 생수의 변천과정도 눈여겨보며
1924년 시인 김동환 작가의 <북청물장수>란 시의 의미를 되새겨보기도 했던 시간이였답니다^^
-저는 위책을 소개하면서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한 솔직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