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은 세상을 내다보는 창문이며, 세계와 사람을 연결하는 매체입니다. 우리는 매체가 보여주는 것만 보고, 보여주지 않는 것은 볼 수 없습니다.이것이 매체의 본질입니다. 사진도 동일합니다. 사진기자가 보는 그 앵글로 사진은 촬영되고, 그 사진이 독자에게 전달되므로, 독자는 사진기자가 보는 것만 볼 수밖에 없습니다. 매체의 존재를 인지하면 세상 너머에 다른 세상이 존재함을 알게 됩니다.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 사진 저널리즘

사진작가는 사진을 작품으로 설명하고, 언론인은 사진을 ‘관점 있는 매체‘로 정의합니다. 매체(媒體)는 매개하는 물체입니다. 소리는 공기매체를 통해 전달되고, 글은 종이매체로 작가에서 독자로 전달됩니다. 매체는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다리와 같습니다. 중매결혼을 할 중매장이가 매체입니다.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로 뛴 현장기자 10년의 땀을 담다

3. 교육강사 장창훈 약력

- 서울교육방송 보도국장
- 시인(월간문학세계 등단)
-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영상미디어위원장
- 제14회 한국을 빛낸 21세기 한국인상
- 책 2000권 출간
-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작가(월간)
- 구글 도서 인기무료 다운로드 1위 작가
- 국제문화교류봉사협회 대표
- 학교현장 토론대회 진행자
- 한자 쉽게 나누기(베스트셀러) 저자
- 중3 겨울방학때 대학이 결정된다.저자

- P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서

1. 꿈과 땀을 가진 학생들에게

2. 청소년 기자 교실 프로그램

3. 교육 강사 장창훈 약력

4. 사진 저널리즘

5. 사실확인의 저널리즘

6. 생기부 독수리 5형제

7. 즐거운 봉사, 놀면서 봉사하는 법

8. 자소서 글쓰기 첨삭 비법
- P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소개

해당 도서는 서울교육방송 청소년 기자 교실의 운영 계획을 담고 있습니다. 청소년 기자 교실은 장창훈 보도국장이직접 모든 강좌를 책임지고 교육하고, 매주 토요일 2시간씩 10주 동안 진행되는 기자캠프입니다. 수료시 서울교육방송 학생기자증이 발급되고, 학교 대표기자로 임명됩니다. 교육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습니다.

1교시. 기사, 어떻게 쓸 것인가?(기자의 글쓰기 관점)

2교시. 기사, 무엇을 찍을 것인가?(사진 촬영법)

3교시. 기사, 무엇을 쓸 것인가?(사실 확인의 저널리즘)

4교시. 영상, 어떻게 촬영할까?(1분 다큐 제작법)

5교시. 기자 글쓰기 심화과정(중요 한자 100개 쉽게 배우기)

6교시.교육특강, 생기부의 비밀(학생종합전형 제대로 알기)

7교시. 현장탐방, 국회 및 국회의원(서울시 의회로 대체 가능)

8교시. 현장 탐방, 대학 탐방 취재(자소서 글쓰기로 대체 가능)

9교시. 현장 탐방, 대사관 탐방 취재(연예인 인터뷰로 대체 가능)

10교시. 학생기자단 출판기념회(전자책) 및 수료증

해당 도서에는 각 교육에 대한 중요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 P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