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 seed-time or harvest, of the reapers bending over the com, or the grape gathers threading through the vines, of the grass in the orchchard made white with broken blossoms or strewn with fallen fruit: of these we know nothing and can know nothing.
- P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paralysing immobility of a life every circumstance of which is regulated after an unchangeable pattern, so that we eat and drink and lie down and pray, or kneel at least for prayer, according to the inflexible laws of an iron formula: this immobile quality, that makes each dreadful day in the very minutest detail like its brother, seems to communicate itself to those external forces the very essence of whose existence is ceaseless change.
- P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e Profundis

by Oscar Wilde

. . . Suffering is one very long moment. We cannot divide it by seasons. We can only record its moods, and chronicle their return. With us time itself does not progress. It revolves. It seems to circle round one centre of pain.

- P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저자 소개

오스카 와일드(Oscar Fingal O‘Flahertie Wills Wilde,1854년 10월 16일~1900년 11월 30일)는 아일랜드의 극작가, 소설가, 시인입니다. 날카롭고 약삭빠른 재치로 유명하며, 빅토리아 시대에 가장 성공한 극작가였습니다.


- P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작품 소개

<<심연으로부터>>는 오스카 와일드가 감옥에서 동성의 연인 앨프레드 더글러스에게 보낸 편지입니다. 비평가 리처드 엘먼은 이 편지를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긴 러브레터"라고 평했습니다. 와일드는 전반부에서 와일드를 외설 혐의로 기소되게 만든 그들의 관계와 사치스러운 생활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후반부에서는 지나온 삶에 대해 성찰하고 예술에 대한 신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와일드는 출소를 앞둔 1897년 1월과 3월 사이에 이 편지를 썼는데, 와일드는 감시와 노역, 고독감으로 고통 받고 있었습니다. 교도소장 넬슨은 편지 쓰기가 노역보다 치료 효과가 좋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와일드는 오로지 치료 효과를 위해서만 편지 쓰기가 허락되었고 긴 편지는 허락되지 않은았는데, 와일드가 쓴 긴 편지는 출소 하면서 받을 수 있었습니다.
- P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