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6펜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8
서머셋 몸 지음, 송무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은 무엇을 위해 사나요?여성에 대한 편견이 가득한 묘사로 1점 마이너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5-23 17: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직 안 읽어봤는데 내용이 궁금합니다.

책한엄마 2016-05-23 17:44   좋아요 0 | URL
서평 썼어요.좀 더 다듬어서 올려 볼게요.^^

cyrus 2016-05-23 17:45   좋아요 1 | URL
제가 알라딘 가입하면서 <달과 6펜스> 서평을 많이 봤어요. 그런데 정작 책을 읽을 시도를 하지 않았습니다. ㅎㅎㅎ

책한엄마 2016-05-23 18:54   좋아요 0 | URL
시도해주세요.^^한 번 읽어볼만한 작품이에요.
 
[블루레이] 암살 : 한정판 - 콘티 포토북(88p)
최동훈 감독, 이정재 외 출연 / KD미디어(케이디미디어)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대한 독립운동을 위해 없어진 나라를 위해 일하는 사람들.
이들이 없었다면 우리나라는 분명히 일본 속국에서 미국 속국이 됐을 것이다.(이게 더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더 많을 테지만)
이들의 대척점에 있는 강인국.
이는 국가보다 나 자신이 먼저인 사람이다.
심지어 자신 아내가 대한민국을 위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가차 없이 죽여버린다.
그뿐인가 암살 요원 중 한 명인 안옥윤의 언니이자 자신 딸을 무참하게 죽여버린다.
언니는 동생 옥윤을 만나고 얘기한다.
나 독립운동 좋아해. 그런데 난 지금이 좋아. 아빠 좋은 사람이야. 나한테는.
이 영화를 보면서 나는 묵직한 질문을 갖게 됐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물론 자신이 죽을 것을 알면서 불구덩이에 뛰어드는 임시정부 사람들.
국가가 없어지든 말든 내 한 몸 안위만 중요한 사람들.
이들은 무엇이 다른 것일까?

한 사람의 배신을 통해 깨닫는 한가지 대답이 있다.
사람은 생각하기 이전에 먹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동물이다.
동물처럼 때리면 주눅 들고 자신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며 절대복종하는 모습.
먹고 먹히는 삶이 당연한 삶.
동물적 삶 위의 고차원적 인간 삶을 추구하다 죽음 앞에서 더 살고 싶다는 구차한 욕망이
자신을 동물로 만든다.
약육강식.
이렇게 삶의 기준이 바뀌어버린다.
강인국이 그렇고 배신자가 그렇다.

슬픈 사실은 동물 이전에 사람으로서 살기 위해 목숨을 내놓았던 대부분 독립투사들은 공산주의자가 된다.
배신자들은 은근슬쩍 남한에서 자신이 갖은 위치에서 계속 일을 한다.
이성을 너무 믿었던 공산주의는 붕괴된다.

마지막 배신자를 암살하는 데 성공하는 옥윤.
왜 배신을 하게 됐냐는 옥윤 물음에 그는 이렇게 답한다.
일본이 이렇게 빨리 물러날 줄 몰랐어.
먹고살기 위해 동물로 변했던 그.

이 영화를 보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이타적인 사람들은 이상향이 너무 높다. 그렇다고 우리가 동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동물이 되어버린, 동물로 살기로 한 사람들에 대해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지 않을까?
그래야만 에드워드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얘기한 역사에서 진보가 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열사께 존경과 감사를 이 글을 통해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튼튼해질 시간이야 뿡뿡 방귀대장 뿡뿡이 그림 사운드북
남정희 글, 고동임 그림 / 애플비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생활습관 기르기 좋은 책입니다.스스로 잘 읽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굴에 동굴에 손가락 인형책 7
사라 질링엄 글, 로레나 시미노비치 그림 / 한솔수북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손가락 인형이 있어 재미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못에 연못에 손가락 인형책 1
사라 질링엄 글, 로레나 시미노비치 그림 / 한솔수북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인형이 있어 동시같이 즐겁게 스스로 읽으며 놀아요.(물론 글씨는 모르고 상상하며 이야기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