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 가요 엄마
김주영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5월
평점 :
'엄마' 이 단어가 이렇게 좋을 줄 몰랐다. 내가 커서 결혼하고 아이를 낳아 키우다보니 철 없을때... 지금도 철이 들었다고 할 수 없지만... 엄마에게 한 행동들이 죄송스럽고 갈수록 엄마에 대한 애정이 두터워지는 것을 느낀다.
'잘가요 엄마 '는 저자 김주영 작가님의 자전적 이야기가 많이 들어간 작품이라고 알고 있다. 자신과 엄마와의 관계에서 오는 이야기는 저자 자신의 이야기로 어머니로 인해 힘든 시절을 겪었다고 느꼈던 김주영 작가님이 어머니의 염을 직접하면서 그동안 마음속에 쌓여 있던 어머니에 대한 악좋은 감정들이 눈녹듯 사라짐을 느껴졌다고 한다.
여행을 떠난 아내와 성인이 되어 집을 떠난 자식들로 인해 혼자 집에 있던 남자에게 새벽에 전화가 온다. 남자는 직감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짐작하고 평생 엄마 옆에서 생활하고 있는 배다른 아우에게 짜증 섞인 화를 낸다. 남자는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엄마의 시신과 직접적인 대면을 외면하려고 한다. 남자는 아우의 속 깊은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손으로 염을 하기 시작한다.
남자는 아우를 통해 엄마가 한줌의 먼지로 사라질 장소를 선택한 곳이 자신의 유년시절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안다. 평생 죄 지은듯 살아오신 엄마의 모습을 외면했던 남자는 비로써 엄마를 용서하고 그리워하고 사랑하고 있음을 뼈지리게 느끼게 되고 슬픈 추억이 있는 어릴적 장소와 함께 엄마를 떠올린다.
할아버지의 뜻에 따라 오빠의 징용을 피하기 위해 여동생인 엄마의 희생이 따르게 된다. 어릴적 남자에겐 엄마가 전부였지만 여자 힘으로 살기엔 사는 것이 너무 힘들고 거기에 할아버지의 뜻과 자신의 희생과는 상관없이 징용 간 오빠와 같은 모습의 남자와 또 다시 살림을 차리는 엄마... 어릴적 남자는 이런 엄마의 모습을 이해하지도 용납하려고도 하지 않았다. 오로지 자신에게 유일한 존재인 엄마를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는 자체가 싫었기 때문이다.
고맙고 안쓰러운 존재가 아니라 외면하고 싶고 모른체 살고 싶었던 엄마라는 존재를 남자는 마주한다. 엄마보다 살가웠던 삼촌네 애숙이 누나와 자신의 뜻대로 함부로 대했던 정태와의 관계 역시 남자에겐 아픈 추억이다.
아흔 네살이면 장수하셨다고 말해야 옳다. 허나 책속의 엄마는 자신으로 힘든 삶을 살았을 아들에게 미안해서 결코 드러내 놓고 말 한마디 하지 못하는 엄마다. 아들 역시 엄마에 대한 원망으로 엄마의 진짜 속마음을 들여다 볼 생각조차 하지 못했고 아들로서 한번도 자리를 지킨 적이 없다. 자신의 곁에 있는 아들보다 멀리 있는 자식을 그리워하는 엄마... 엄마에게는 열손가락 중 남자가 유달리 아픈 손가락이였음이 틀림 없다.
읽는동안 가슴 찡한 아픔과 그리움이 느껴지는 책이다. 평생을 등 한번 제대로 펴지 못할 정도로 힘든 삶을 살았지만 한번도 삶의 행복을 느껴 보고 못한 엄마의 모습이 떠올라 코 끝이 찡해졌다.
난 친정엄마가 사시는 집과 가까이 살고 있지만 살가운 딸이 아니라서 엄마를 속상하게 만들때가 있다. 얼마 전부터 어깨가 많이 아프시다고 했는데 병원에 잘 가시는지 여쭈어보지도 못했다. 오늘 낮에는 엄마에게 전화해 밥이라도 같이 먹으며 소소한 이야기를 나누어야겠다. 엄마 항상 사랑해요. 오래도록 곁에 있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