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상의 인문학 - 넓게 읽고 깊이 생각하기
장석주 지음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내가 좋아하는 장르가 두 개 있다. 문학과 인문학... 책을 좋아한다고하지만 아직까지는 재미를 위주로 해서 책을 읽고 있는 편이고 그래서 자연스럽게 소설류에 손이 많이 가고 읽고 있다. 허나 인문학 서적을 자주 접하고 읽다보니 나도 모르게 인문학에 빠져 들었고 이제는 인문학 서적을 찾아서 읽을 정도로 인문학이란 장르에 매료되어 있는 독자다.
인문학을 좋아한다고하지만 아직은 초보수준에 머물러 있는 나의 독서습관... 가끔씩 책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사람들의 글을 보면서 나는 한참 멀었구나 싶은 생각을 할 때가 많았다. 어떻게 저렇게까지 책을 사랑하고 책과 함께 지낼 수 있을까 싶다가도 그런 모습이 부럽기도하고 배우고 싶기도 하다.
'일상의 인문학'은 진정한 책 읽기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책 전체가 저자 장석주님의 서평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엇보다 장석주님은 시인, 소설가, 문학비평가 등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계신 분이신데 방대한 독서량에 우선 놀랐다. 더군다나 해마다 1,000여 권의 책을 구입하고 매일매일 읽을 정도로 다독하시고 계신다는 것에 놀라움도 잠시 평범한 나 같은 사람은 책을 읽다보면 생각은 하지만 깊이 있는 생각까지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저자는 책을 많이 읽는 것을 넘어 사유에 이르러야 진정한 독서인이 되는 것이란 이야기에 나도 모르게 뜨끔해지기도 했다.
나를 비롯해서 평범한 독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장르의 책에만 유달리 집착하고 읽는 경향이 있다. '일상의 인문학' 책을 읽다보면 저자 장석주님은 참으로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책과 관련된 일을 하시고 글을 쓰시는 분이시라 그럴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책 사랑이 무엇이고 책을 읽는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자꾸만 느끼게 해주어 나의 독서습관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된다.
저자가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시점에 이슈가 되고 있는 것과 생각해 보아야 할 것, 문제들에 대한 이야기를 부담스럽지 않으면서도 편안하게 읽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하나의 책에 대한 서평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고 더불어 함께 읽으면 좋은 책들까지 알려주고 있어 마음에 드는 책에 대한 정보는 물론이고 더 깊이 있게 들어가 알고 싶다면 찾아서 읽을 수 있게 도와주고 있어 아무래도 관련 도서를 찾는데 늘 헤매는 나같은 경우는 많은 도움이 되는 부분이다.
갈수록 독서 인구가 줄어들고 있어 걱정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공부하는 머리는 세계 최고라는 평을 듣고 있지만 정작 삶을 풍요롭게 하고 생활을 윤택하게 해 주는데 필요한 독서는 일 년에 0.8권으로 165위?인가 후진국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미래를 이끌어 갈 인재들에게 독서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독서량이 많은 나라들은 공부보다는 우선 책을 먼저 읽는 습관부터 제대로 들이는 것부터 시작한다고 하는데 우리의 현실은 좋은 대학, 좋은 직장에 모든 것을 걸로 매달리는 경향이 너무나 짙다. 독서 인구의 증가를 위해서는 우선 책과 친해지고 책을 즐겁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일상의 인문학' 저자가 알려주는 책을 깊이 있게 읽고 사유하는 방법을 통해 인문학이 주는 재미를 한층 더 알게 되었으며 삶을 윤택하게 만들 수 있음을 느끼게 된다. 인문학이 딱딱하다고 느꼈던 독자나 인문학에 대해 알고 싶은 독자라면 이 책을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