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오랫동안 그녀를 꿈꾸었다
티에리 코엔 지음, 박명숙 옮김 / 밝은세상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프랑스 작가하면 기욤 뮈소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아무래도 그의 책을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영향 탓이다. 운명적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세련되게 잘 포장해서 우리 앞에 내놓는 작가란 생각을 갖고 있었고 그런 그의 작품은 항상 나의 감성과 잘 맞아 떨어지는 면이 있어 기욤 뮈소의 책을 찾아서 읽었는데 처음 접하는 작가 티에리 코엔의 작품 '나는 오랫동안 그녀를 꿈꾸었다'를 읽으면서 비슷하면서도 다른 감성을 느껴 재밌게 읽었다.
사랑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운명적 상대에 대한 로망이 있다. 나역시 결혼전에는 이런 환상에 빠져 첫 눈에 뽕 가는 운명적 상대가 나타날거란 생각이 있었는데 지금의 남편을 만나 첫 눈에 반하는 느낌은 없어도 시간이 흐르면서 서로에게 익숙해지는 친밀도에 의해 결혼을 하게 되었지만 첫 눈에 매료되는 사랑을 한 사람들의 이야기나 책을 보면 어떤 느낌일까? 상상을 하게 된다.
'나는 오랫동안 그녀를 꿈꾸었다'의 남자주인공 요나는 10대 시절 꿈 속에 나타난 여자와 첫사랑에 빠진다. 그녀에 대한 환상은 성인이 되고 여성들과 사랑을 빠지는 그에게 있어 항상 걸림돌로 자리잡게 된다. 부모님의 갑작스런 사고와 운둔 생활 중에 다시 꿈속에 나타난 여인을 통해 자신이 되고 싶었던 작가로서 기반이 될 뛰어난 작품을 쓰게 된다. 한순간에 얻어진 인기에 힘입어 두번째 소설을 썼지만 이 작품은 작가인 요나 자신은 물론이고 평론가나 대중들에게 있어서 인정받지 못하고 만다. 다시 글을 쓸 감각마저 잊어버리고 생활하던 중 생활고를 느껴 신비스런 느낌을 주는 서점에 취직하게 되고 우연히 꿈 속의 여인 리오르를 만난다.
운명적 상대인 요나와 리오를 둘러싼 우연과 필연이 교차되어 그들은 서로에게 다가설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되지만 서로가 가진 상처와 기대가 달라 자꾸만 삐그덕 거리게 된다. 한 눈에 자신의 운명적 상대를 알아 볼 수 있다고 믿는 남자와 살아오면서 사랑이란 이름으로 남자들로부터 받은 상처로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여자가 서로에게 다가서기에는 한 사람은 정직하지 못해서 다른 사람은 좋아하는 상대에 대한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행동으로 인해 자꾸만 관계는 꼬여간다.
사람들의 인연은 운명처럼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리오르가 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개인 간호사로 일하게 된 집에서 또래의 여인으로 인해 요나가 쓴 소설을 처음 접하게 되고 얼굴도 모르는 작가에게 호감과 관심이 뒤섞인 마음을 보내게 된다. 허나 리오르의 진심을 담은 메일은 정작 작가였던 자신보다 리오르 앞에 있는 자신을 봐주고 사랑해주기를 바라는 요나의 마음이 충돌하면서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두 사람의 만남을 이어주고 요나에게 선행을 베푸는 세라나.. 아니 도나텔라로 인해 사랑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활활 타오르는 열정적인 모습의 사랑은 아니지만 잔잔하면서도 순수한 사랑을 꿈꾸고 느끼게 해주는 이야기라 오히려 더 좋았다. 사랑은 완벽한 상대를 만나는 것이 아니라 완벽하지 못한 두 남녀가 만나 완벽해지기 위해 노력해 가는 과정이 사랑이라는 말을 어디선가 들었다. 요나와 리오르 역시 서로가 운명적 상대로 만나기 전에 실수하고 상처도 받는다. 허나 그로인해 그들은 더 완벽한 사랑을 만들어가지 않을까 싶다.
부드럽게 감성을 자극하는 책이다. 사랑의 모습이 무엇인지... 우리에게 왜 사랑이 중요한지 다시한번 느끼게 해 주는 책이다. 저자 티에리 코엔의 다른 작품들 역시 이미 작품성은 인정받았다는 알게 되었는데 입소문을 통해 알려진 그의 첫번째 소설 '살았더라면'은 어떤 책인지... '널 떠나지 않았더라면'은 얼마나 신선한 내용일지 기대를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