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 빵의 위로
구현정 지음 / 예담 / 2013년 1월
평점 :

빵을 너무나 좋아한다. 좋아하는 정도를 넘어서 대부분의 한국인이면 밥심으로 산다는 말을 할 정도로 밥을 먹어야만 힘이 난다고들 한다. 허나 나는 하루종일 밥톨 하나 입에 넣지 않아도 전혀 밥 생각이 나지 않는다. 나에게 밥은 곧 빵이란 공식으로 성립되어 있다고 할 정도로 밥은 거의 먹지 않아도 하루도 거르지 않고 한끼 이상 두끼 정도는 빵으로 해결한다. 빵을 좋아하는 나에게 빵에 대한 이야기로 책을 가득 채운 '유럽, 빵의 위로'는 나에게 더 반갑고 즐겁게 다가 온 책이다.
솔직히 책을 읽으면서 저자 구현정씨가 많이 부러웠다. 밥보다 빵을 좋아하지 않던 저자가 남편을 따라 독일에서 4년이란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빵을 좋아하게 되는 과정이나 생활, 이웃나라로 떠난 여행이야기는 평소에 여행을 좋아하고 항상 동경하고 있기에 더 부러운 감정이 들었는지 모르겠다. 워냑에 무뚝뚝한 것을 알고 결혼을 했지만 여태 내 생일도 가끔씩 까먹을 정도로 무심한 것은 물론이고 밀가루를 먹으면 소화가 덜 된다는 이유만으로 삼시 세끼 밥과 반찬을 준비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스물스물 짜증이 생길때도 있었고 간단히 한 끼 정도는 그냥 넘어가거나 해결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대한민국 토종 옆지기와 살다보니 이미 익숙해졌다고해도 여전히 마음 한 켠에 아쉬움과 서운함이 자리잡고 있는데 좋아하는 빵으로 아침을 여는 그녀의 일상이 살짝 부럽게 느껴졌다.

이렇게 다양한 와플 토핑이 있는 줄 몰랐다.
우리나라 와플보다 덜 달면서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와플의 세계

프랑스로 떠난 남자친구가 보내주는 마카롱을 나누어 준 그녀의 회사동료...
거리와 비례해서 멀어지는 마음을 담은 이야기는 조금 안타깝게 느껴지기도 했다.
같은 빵이라도 북쪽과 남쪽이 다른가 보다. 부르는 이름도 다르고 맛도 다른 빵이 있다는 것이 의외였다. 아이를 낳아 본 사람이기에 아이를 낳고나면 여자들이 느끼는 힘든 감정을 알고 있다. 독일에는 우리나라처럼 산모가 먹는 미역국 같은 음식을 먹는 것이 아니라 율리아란 이름의 아기를 낳고 저자는 독일식 산후 조리 음식으로 만난 빵 '보로트' 베를린에서 살 때 시큼한 맛에 쾌쾌한 냄새에 익숙해지지 못했던 그녀가 아이를 낳고서 비로써 다양한 보로트를 접하면서 천연 발효 곡물이 주는 풍부한 영양과 에너지를 온전히 느끼게 되었다고 한다. 그녀에게는 미역국보다 더 힐링이 되는 음식으로 다가왔다는 글을 읽으며 보로트란 빵 맛이 무척 궁금해졌다.

저자가 살았던 독일에서 만나는 다양한 빵뿐만아니라 이웃나라의 빵에 대한 이야기 역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다양한 빵, 케잌, 쿠키와 함께 사람들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면서도 작가들과 책에 대해서도 이야기 한다. 프로방스 여행 후 팽 오 쇼콜라를 찾으며 마크 레비의 '그림자 도둑', 내가 좋아하는 작가 에쿠니 가오리 부부의 이야기와 그녀의 책 속에 등장한 문장, 백일 된 그녀의 아이 율리아의 백일상에 놓인 케이크 프린츠레겐텐 토르테를 통해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 속 한 대목을 들려주고 있다.
한식이 건강식이란 인식이 강하게 있어 백색가루인 밀가루로 만든 빵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안좋은 식품이란 인식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강하게 갖고 있다. 허나 요즘은 건강을 생각한 다양한 빵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천연곡물을 이용하고 설탕을 최대한 자제한 건강한 빵.... 아무래도 오늘 점심은 빵을 먹어야할거 같다. 보통은 간편히 먹기에 편한 쨈을 바르거나 햄이나 치즈, 오이를 넣어 먹기도 하지만 양상추와 파프리카, 피클 등을 이용해 한 끼 식사로 영양면에서 전혀 손색이 없는 빵을 만들어 먹어 볼 생각이다.

다양한 빵에 대한 이야기를 시간 가는줄 모르고 읽었다. 빵과 맥주를 같이 먹고 마시는 독일인의 음식 문화를 비롯해 친구의 결혼식에 등장한 엄청 큰 케이크와 초콜릿을 좋아하는 그녀를 위해 남은 케이크를 싸주는 이야기와인 애호가인 남편과 함께 마시는 와인 등등 이야기는 굉장히 낭만적이고 분위기 있게 느껴졌다. 다양한 체험을 쉽게 접하기 힘든 이야기라 더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부분도 있었으며 빵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이 책을 읽으면 빵의 매력에 빠지고 빵을 먹고 싶어할거란 생각이 든다. 빵과 함께 한 행복하고 유쾌한 시간으로 배고플 때나 지금처럼 점심시간을 막 지난 시간에 허기질 때 간식이 땡길 때 이 책은 멀리해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