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3월
평점 :
기존의 내가 알고 있던 노비에 대해 갖고 있었던 상식들을 뒤엎는 책을 만났다. TV 사극을 통해서 우리는 무수히 많은 노비들의 모습을 보아왔다. 허나 그들의 모습은 하나같이 양반들에게 소속되어 대를 이어 봉사하는 그야말로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는 삶이 전부였다. 지배층의 소속되지 않은 노비의 생활은 상상도 할 수 없었는데 '조선 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노비들을 통해 우리의 역사적 인식을 새롭게 가질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였다.
다른 시대보다 적었다고하지만 조선시대도 인구의 3분의 1일 노비였다는 것은 그야말로 노비가 얼마나 많았는지 새삼 느끼게 된다. 누군가에게 소속되지 않으면 일자리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은 결국 노비로서의 삶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 안타까웠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먹고 사는 것을 접고서 책을 통해 기쁨을 얻는 삶을 사는 사람들도 있고, 부를 축척하는 사람들도 있었다니... 우리에게는 조금은 낯선 노비의 모습을 보게 된다.
흥미롭게 느껴진 것 중에 하나가 여자 노비는 양인과 결혼하여 자식을 얻으면 여자 노비를 소유한 소유주가 권리를 갖게 되지만 남자 노비와 양인 여자가 만나 아이를 낳으면 그 자식은 소유하지 못한다는 것이 흥미롭게 느껴지는 반면 여자들에게 더 큰 형벌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허균의 형이 여자 노비를 후처로 맞이 하고 싶어도 그녀의 소유주가 그들 사이에 자식을 낳아도 결코 자신이 소유할 수 없다는 것에 극구 반대를 했다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고 천한 신분의 노비지만 어린 노비가 보여주는 영특함을 알아 본 당시의 재상은 그를 기꺼이 공부를 시켜주고 부자인 사람에게 양자로 보내준다. 어린노비는 양자로서 신분이 바뀌어서 대과 급제를 통해서 정계에 진출한다. 끝까지 자신의 신분을 숨겨도 되는 그는 자신에게 은혜를 베풀어준 옛 주인인 재상의 가세가 기울렀다는 것을 알고 기꺼이 자신의 신분을 노출하며 옛 주인집에 관직을 요청하는 지경에 이른다. 당연히 조정에서는 커다란 이슈가 되었을 것이다. 커다란 위험을 부릎쓰고 자신의 신분을 털어 놓은 그(반석평)은 당시 여진족과의 대치상황으로 인해 무사히 위기를 넘겼으며 그의 옛주인 집도 관직을 얻었다고 한다. 은혜를 입은 것을 결코 잊지 않은 한 사람의 용기 있는 고백이 자신은 물론이고 은혜를 베풀어준 집안에도 도움이 되는 것을 보며 좋은 결과로 마무리 되었지만 그를 향한 조정 대신들의 곱지 않은 시선은 충분히 짐작하게 된다.
노비와 달리 양반 집안에 소속되지 않는 머슴이란 신분과의 구분도 확실히 알게 되었으며 가장 귀한 신분으로 태어났지만 가장 천한 노비의 신분까지 추락했다가 결국 자식은 궁에 자신은 비구니로서 삶을 살다가 삼십대에 목숨을 잃은 경혜공주의 이야기는 같은 여자로서 너무나 마음이 아프게 느껴졌다.
공노비, 사노비에 속하는 다양한 노비들에 대한 이야기 중에 사극에서 흔히 나오는 많은 여성들이 노비의 신분으로 남성들의 연회 장소에 나오는 것을 보게 된다. 그들은 관청에 속해 있는 공노비로서 이들 중에는 한성 최고의 기생인 성산월의 미모에 대한 이야기는 재미도 재미지만 그녀의 미모가 얼마나 뛰어났는지 충분히 짐작하게 한다. 이외에도 노비의 신분이지만 자신이 굳이 노역을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자신을 대신할 누군가가 대신 일을 하거나 돈을 지불하면 자신이 좋아하는 공부를 할 수 있었다. 더불어 능력만 되면 재물까지도 소유할 수 있다.
무엇보다 안타깝고 마음이 아팠던 것은 노비들은 결코 주인에게 반항 한번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고 주인이 행하는 온갖 악행에 무방비 상태로 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노비를 설령 죽여도 고의성이 없다는 판단이라 여겨지면 죄를 묻지 않았다니.... 기특권층에 붙어 사리사욕을 일삼았던 무리들이 판을 치던 조선시대에 이러한 일들이 얼마나 많았을지 생각만 해도 가슴이 아프다. 조선시대 여자의 칠거지악 중에 하나라고 알려진 투기를 대놓고 일삼은 여자의 이야기는 섬뜩하기까지하다. 조선왕조가 지탱하고 있던 제도와 긴박한 주변 정세의 영향, 여기에 조선 최대의 민중반란인 동학농민전쟁으로 인해서 사실상 노비제도는 사라지고 만다.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은 집 안에 족보만 있으면 자신들의 조상이 양반이라고 생각하고 살아왔다. 허나 세사람 중 한 명이 노비였을 정도로 노비는 우리나라 많았음에도 한번도 제대로 조명된 적이 없었다. 극히 일부 사극에서 노비란 신분을 가진 사람의 이야기가 각색되어 나오는 정도였는데 '조선 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역사적으로 제대로 조명받지 못한 노비들의 삶에 대해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