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이트의 여동생
고체 스밀레프스키 지음, 문희경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정신과 의사로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프로이트... 내가 알고 있는 프로이트에 대한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범위 내에 있다. 그만큼 심리학, 정신분석학, 철학 같은 학문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 잘 알지 못한다. 고체 스밀레프스키 작가님의 '프로이트의 여동생'은 사실을 바탕으로 쓰여진 이야기라고 한다. 그 동안 프로이트의 여동생에 대한 이야기는 예전에 짧게 나온 이야기를 얼핏 읽었던 것이 전부인데 프로이트와 누이들을 둘러 싼 이야기가 궁금해진다.
스토리는 프로이트의 여러 명의 누이들 중 유달리 그를 따르던 여동생 '아돌피나'의 관점에서 풀어놓은 이야기다. 그녀는 오빠 프로이트의 관계, 자매들의 이야기는 물론이고 어린 시절에 엄마에게 들은 충격적인 이야기가 평생 마음에 새겨진다. 엄마의 애증을 받고 자란 아돌피나의 외로움과 슬픔, 여기에 아돌피나가 성장하면서 만나게 되는 여러 인물들과의 이야기가 아돌피나 자신의 입을 통해 들려주고 있어 훨씬 더 전쟁이 가진 아픔과 고통, 독일 나치에 의해 자행된 유대인 대학살.... 홀로코스트가 좀 더 현실감 있게 다가온다.
독일 나치군에 의해 생명의 위험을 느끼는 사람들은 비엔나를 떠나기 위해 비자를 받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우린다. 프로이트의 네 자매 역시 마찬가지다. 자신들의 힘으로는 도저히 탈출이 힘들자 사회적으로 명망 높은 오빠 프로이트를 찾아가 부탁을 하지만 그는 안심하라며 거절한다. 허나 얼마 있어 프로이트는 비엔나를 떠나기로 한다. 그것도 아내는 물론이고 아내의 친정 식구들과 가정부를 비롯한 개까지... 아돌피나의 마음이 얼마나 아플지 짐작이 간다. 더군다나 눈이 보이지 않는 피울리나가 딸을 만나고 싶은 마지막 마음까지 무시한 오빠였기에.... 오빠가 가족들이 떠나고 남겨진 아돌피나와 누이들은 결국 임시수용소로 가게 되는데...
남달리 몸이 아팠던 아돌피나가 엄마에게 느껴야 하는 정을 처음부터 차단당하며 오빠 프로이트를 통해 위안을 받았다고 느껴진다. 오빠의 방을 찾아 그를 통해 다양한 작품들과의 만남이 이루어지지만 예상치 못한 충격적인 장면을 목격한 이후 오빠와의 관계도 서먹해지며 멀리하게 된다. 이런 관계가 돌파구가 되어 준 것은 아돌피나가 그림을 그리고 싶어 하면서다. 그림을 배우면서 알게 된 첫사랑 라이너와 프로이트와도 친밀한 관계로 발전하는 사라와 만나게 된다. 사라를 통해서 자립적이고 여성들의 생각을 변화시키려는 혁신적인 여성 구스타프 클림트의 누이 클라라와도 만나게 된다.
프로이트의 결혼과 관련해 친구 사라를 잃고 옛사랑과의 재회와 배신, 그리고 아돌피나에게 남겨진 사랑의 흔적... 허나 이마저도 자신의 생각과 상관없이 프로이트의 권유로 잃게 되면서 아돌피나는 결국 괴테 박사가 운영하는 정신병원에 들어가게 된다.
사실에 입각하여 쓰여진 소설이다 보니 같은 여자로서 아돌피나란 인물이 무척이나 아프게 다가온다. 온전히 사랑을 주어야 하는 엄마의 차가운 말과 행동을 감수하고 따르던 오빠에게 버림 받는다. 여기에 사랑하는 사람은 물론이고 친구들까지 차례로 잃거나 떠나게 되며 그녀는 온 몸으로 그 모든 것을 감내해야하는 상황에 빠진 것이다.

책의 중간중간에 나오는 뒤러의 '멜랑콜리아'란 판화다. 이 판화를 보며 아돌피나는 '살아야 하나, 죽어야 하나?'라는 질문은 나에게 나의 존재를 묻는 질문이 되었다. 나는 내 안의 어둠이 던지는 그 질문을 거울을 피해 다니듯이 피하고 싶다.
판화 속 건물은 곧 그녀의 삶, 어떻게 살고 무엇을 짓든 겨룩 완성되지 못한 채 헛되이 끝나고 말 그녀의 삶을 의미한다. -p141-

술술 읽히는 흡입력 있는 스토리지만 읽는 내내 한 인간의 인생이 이토록 고독하며 안타깝고 철학적일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사람이란 게 어쩔 수 없이 자신의 입장에서 생각하게 된다. 처음부분에 프로이트는 아돌피나의 청을 들었을 때 솔직히 심각할 정도로 위험을 느끼지 못했을 수도 있다. 허나 친구들이 떠나라고 말했을 때 한 번 더 생각하고 누이들을 떠올렸다면 그녀들의 삶은 다른 식으로 흘러갔을까 생각해 보면 마음이 안 좋다. 죽음을 눈앞에 둔 프로이트의 사과를 인간이기에 악의가 아닌 친절에 대한 게으름으로 표현한 아돌피나의 말에 아~ 저런 상황에서 저런 말을 할 수 있는지... 새삼 놀라게 되며 그녀의 깊은 인간에 대한 생각을 읽을 수 있었다.
이해하기 쉬운 책은 아니지만 충분히 재밌고 즐겁게 읽을 수 있은 책이다. 개인의 삶이 암울한 시대와 만나 고통스럽게 흘러갈 수밖에 없는 상황... 무거운 소재의 이야기지만 내 삶에 대한 철학적 고민을 해보게 만든다. 신예 작가의 작품이라고 느껴지지 않는 작품이라 다음 작품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