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70가지 - <씨네21> 주성철 기자의 영화감상법
주성철 지음 / 소울메이트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영화를 종합예술이라고 표현한다. 예술분야의 수많은 부수적인 요소들이 합쳐져 만들어진다. 영화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는 감독의 역량, 연기 잘 하는 배우도 중요하지만 시나리오, 조명, 사운드 트랙 등등 다양한 요소들이 잘 어우러져야 한다. 그냥 즐기는 영화에서 좀 더 재밌고 행복한 영화를 즐기기 위해서 조금 더 알고 본다면 많은 것이 달라진다.
보고 싶은 영화가 나오면 사람들의 평가도 보고 영화에 대해 찾아보기도 한다. 저자 주성철 기자님이 이야기 했듯이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것에 많이 공감하기에 영화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정도는 알고 관람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영화를 보는 일반인들은 대부분 좋아하는 배우, 감독, 장르, 취향에 의해 선택을 한다. 물론 나도 여기에 속한다. 영화를 즐기는 방법은 다양하다. 제대로 즐기고 영화를 보기 위해서는 책을 통해 영화가 가진 다양한 이야기에 귀를 열어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물론 별다른 생각 없이 자신이 선택한 영화를 즐겁게 즐기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다양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지만 관심이 가는 부분이 많다. 영화계의 커다란 획을 그른 작품, 감독들에 대해 한 번도 깊이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시간이 지나도 명작으로 남을 작품들을 찾아서 볼 정도로 열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회가 된다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작품들이 있다.
이제는 배우뿐만 아니라 감독들까지 세계에서 인정받는 분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박찬옥 감독의 올드보이를 통해 우리나라 영화계는 커다란 전환점을 받았다. 2003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면서 영화애호가들 사이에서 한류 바람을 일으켰다. 올드보이에 나온 최민식이란 선 굳은 연기 잘하는 배우가 있다는 것도 자랑스럽지만 티켓 파워는 물론이고 지금 시대를 대표하는 배우로 송강호, 하정우를 꼽은 저자의 생각에 나 역시도 전적으로 동의한다. 마릴린 몬로에 대한 이야기 역시 공감도 한다. 감독에게 믿을 만한 배우가 있다는 것은 커다란 힘이다. 영화를 보는 관객 역시 저 배우가 나오면 믿고 보아도 된다는 믿음을 주는 배우가 있는 것 또한 영화를 선택하는 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되고 믿고서 영화를 볼 수 있다. 그런 배우들이 많아지면 우리나라 영화가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지금은 한두 명의 주인공을 내세우는 영화보다는 멀티 캐스팅을 통해 티켓 파워를 보여준다.
우리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아름다운 배우들이 있다. 얼마 전에 유채영이란 가수가 위암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같은 병으로 먼저 떠난 연예인들을 돌아보는 프로그램을 보았다. 개인적으로 좋아했던 장진영이란 배우의 빠른 죽음이 너무나 안타까운데 이은주란 배우가 가진 색깔도 개성이 있기에 두 배우의 역할, 이미지를 대신할 수 있는 배우들이 나타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공감하게 된다. 보아야 할 영화고 개인적으로 좋았던 '화영연화'에 나온 양조위란 배우는 연기를 잘하기에 좋아하는 배우였는데 그의 인간성에 다시 한 번 놀라게 된다. 오래도록 사귄 연인 유가령에게 닥힌 불행을 이해하고 그녀를 평생의 반려자로 맞은 그의 인간성은 남녀의 사랑, 믿음에 대한 마음을 새삼 돌아보고 배우게 된다.
내가 보고 좋았던 영화는 다른 사람에게 알리게 된다. 대작들도 좋지만 마니아층을 타켓으로 만든 B급 영화들에도 관심이 있다. 평소에 영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도 없이 감독, 배우, 장르를 보고 선택했던 영화에서 벗어나 새로운 장르, 높은 평가를 받은 작품들도 한 번씩 찾아서 볼 생각이다.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70가지를 통해서 영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만나서 즐거웠다. 내가 좋아하는 배우들이 출연한 대표작도 알게 되었고 전혀 몰랐던 푸른 눈의 독일인 신부이며 영화를 사랑한 임인덕 신부님이 우리나라 영화계에 얼마나 커다란 영향을 끼쳤는지 알게 되어 유익했다.
좋은 영화가 가진 힘은 대단하다. 단지 몇 천원으로 행복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가 영화관람이다. 좋은 영화를 보며 행복함을 느낄 수 있는 즐거운 시간... 매달 두세 편의 영화는 기본적으로 보는 편인데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도 관심을 가질 생각이다. 9개로 분류되어 영화에 대한 풀어 낸 이야기가 영화를 배우고 영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