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이 의미 부여 - 시베리아 횡단 열차에서 찾은 진짜 내 모습 일상이 시리즈 4
황혜리 지음 / 책읽는고양이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에세이라고 믿어지지 않을만큼 얇고 사진이 없는 책이다.
그런데 아기자기하고 재밌다.
시베리아 횡단 열차를 단시간 코스로 왕복한 이야기안에
소소한 열차에서의 에피소드 일상을 담아냈다.

예전 장기간 코스였던 4박 5일 밴쿠버-토론토구간이 생각나게 한다.머리도 샤워도 못하고 식빵으로 허기를 달래야했지만 함께 했던 친구들이 있어 그마저도 즐겁고 그리워졌다.

지은이도 음식으로 나눠먹으며 말이 통하진 않지만 교감으로 함께 했던 이 열차 구간이 따스함으로 전해져 왔다.

스비에따는 사촌 동생과 나를 차례대로 한 번씩안아주었다. 그러고는 내 손을 다시 한 번 꼭 잡고만지작거렸다. 그 순간 정말 따뜻했던 것은 덧버선을 신고 있던 내 두 발이었는데, 이상하게 나의 두눈이 더 뜨거워지는 듯했다.
스비에따는 우리를 보고 ‘열차 안에서 자신의 하루를 완성시켜준 사람‘ 이라고 했다. 내 하루를 잘살아냈나 하는 의문이 들 때마다 자책하게 되는 날들도 많았는데, 다른 사람의 하루를 완성해줬다는그 말이 참으로 벅차게 들려왔다.
우리는 다시 각자의 일상으로 돌아갈 것이었다.
나도 이 여행을 마치고 나면, 다시 익숙한 공간에서,
익숙한 사람들과 또 보통 만치를 살아가려 안간힘을 쓸 것이다. 다만, 이곳에서는 발끝 만치의 안간힘 없이도 이렇게 멋진 존재가 될 수 있었다니, 내가참 대단한 사람이 된 것 같은 느낌이다.
언젠가 스비에따가 준 덧버선은 헤지고 보풀들이 먼지 조각이 되어도, 이 기억 하나만은 결코 사라지지 않고 더욱 단단히 나를 지탱해줄 것 같다. - P1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빅 숏 Big Short - 패닉 이후, 시장의 승리자들은 무엇을 보는가
마이클 루이스 지음, 이미정 옮김 / 비즈니스맵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투자자들과 은행가들 모두의 탐욕이 그 원인이라고 했다. 내 의견은 그보다훨씬 복잡했다. 월가에서 탐욕은 당연한 것이었고, 심지어는 의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문제는 탐욕을 부추기는 인센티브 시스템이었다.
도박과 투자는 한 끗 차이로 그 경계가 모호하다. 가장 건전한 투자는 명백한 베팅의 성격을 띠고 - 약간 더 많이 벌려고 기대하다가 돈을 모두 잃음 - , 가장 대담한 투기는 확실한 투자의 성격을 띤다 -이자와 함께 원금을 돌려받음 -. ‘투자‘ 의 가장 확실한 정의는 자신에게 유리한 확률로 도박하는 것 일지도 모른다. - P3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느릿느릿 복작복작 - 포르투갈 오래된 집에 삽니다
라정진 지음 / 효형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티모르에서 일을 하다 만난 포루투갈 남자와
결혼하게 되어 새 삶을 남유럽 알베토라는 조그만 시골마을에서
느끼는 점들을 소소하게 경험한 일이다.
우리에겐 생소한 포르투칼 음식, 문화, 역사를 짧막하게 소개 하며
무엇보다 소소한 시골사람들의 사는 모습 풍경 즐거움을 보여준다.
중간중간 일러스트와 사진이 나와 아기자기한 글들과 그림들로
쉬엄쉬엄 읽을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자서전
고레에다 히로카즈 지음, 이지수 옮김 / 바다출판사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이 감독의 작품을 만났던건 바닷마을 다이어리였다.
그때만 해도 일반 상업영화에 익숙해져 있어서인지 의도한 느낌을
다 이해하기 어렵다는 정도.그럼에도 신선했다.꾸미지 않고 그대로 느끼게 해주는 점에서 ..그런데 이 분의 영화는 다룬 영화들도 같은 이야기를 하는 느낌이라 영화를 보면서고 미화되지 않고 현실속에서
그대로 전달하는 감정이다.
그 후 여러가지 작품들을 찾아보았다.제일 마지막으로 보게 된 영화는 "아무도 모른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 외에 다른 작품들도 곧 보게 될것 같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를 만들면서 제목 그대로 느꼈던 이야기.

"아무도 모른다"를 찍으며 느꼈던 이야기중에서

거기서 사는 듯이 아이들의 일상을 그리는 것.그 풍경을 그들 곁에서 가만히 바라보는 것. 그들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 이를 통해 그들의 말을 독백(모놀로그)이 아닌 대화(다이얼로그)로 만드는 것. 그들 눈에 우리의 모습이 투영되어 보이는것. 제가 원했던 건 이러했습니다. - P1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둔의 즐거움 - 나를 성장시키는 혼자 웅크리는 시간의 힘
신기율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의 대한 이야기들을 풀어낸다.특히 위로의 시간이 필요할때에
다양한 상황들에 위안을 받는 시간이나 장소가 꼭 필요하다고 한다.

아랫글들을 보면서 나는 어떤가를 생각해 본다.역시 난 몸으로 풀어야 하는것 같다.

우리는 각자 자신만의 마음 출구가 있다. 울적하고 힘든 마음이 들 때 운동을 하면서 마음을 다독이는 사람이 있고,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으면서 마음이 좋아지는 사람도 있다. 이렇게 마음을 푸는 방식이 모두 다른 것은 마음의 출구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마음 출구가 손인 사람은 손을 움직여야 감정이 해소된다. 글을 쓰거나 바느질을 하고 그림을 그리면 울적한 기분이 해소된다. 출구가 입인 사람은 소리를 내야 한다. 친한 친구를 만나 수다를 떨거나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르며 기분을 풀고 마음을 치유해야 한다. 출구가 몸인 사람은 몸을 움직여야 한다.운동을 하거나 여행을 떠나고 청소를 하면 울적한 마음이 괜찮아진다. -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