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네버랜드 신드롬
코로나이후 불안정한 사회에 어릴적 좋아하던 취미나 나이를 먹지 않고 싶은 영원한 피터팬이 사는 곳을 열망하는 현상에서 비롯,자기중심 주장, 자기취향 지나친 몰두로 이어짐
*어른아이를 자처하는 이들을 위해 키덜트 상품이 주류화(포켓몬빵,다이소 공주 목걸이등)
*생애주기가 장기로 이어지며 (청소년-청년-중년-장년-노년 )변화가 나타남
*평균적인 삶의 모습 실종, 사회적 나이의 개념이 흐려짐(학업,취업,결혼,출산 시기의 다변화)
제안
캐릭터에 대한 과도한 집착으로 인한 중독, 지나친 자기중심, 사회전체의 유아화등의 부작용 초래로 이어지는
균형점 필요
A.선제적 대응 기술
요구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펜데믹의 여파와 기술의 발달로 기존 치료중심의 의학->예방중심 으로 변화가 기술영역으로 확장
*기존 니즈를 파악한 후 기술 적용
*고객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미리 파악후 대처하는 기술을 제품이나 환경에 적용
(창밖의 공기나 미세먼지 같은 실외 환경을 고려한 신내환경을 미리 조정해주는 맞춤조정)
(스마트폰과 자동차 소프트웨어를 연동해 운전자의 컨디션에 따른 경고나 예측수행하는 기술)
제안
소비자 자신도 모르는 욕구를 먼저 파악후 제공하기 위한 상상력과 경쟁은 필요
B.공간력
팬데믹의 여파로 오프라인 공간의 중요성은 떨어지고 온라인 공간만 부각의 강조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가지는 연결성을 알려준다.
*기업들은 매장의 크기를 상황에 맞게 축소 확장 고객과의 소통의 장으로 활용
(작게 만든 성수동 이케아랩, 매장에서 본 옷을 바로 주문하는 ZARA매장등)
*매장의 영향력을 가상세계로의 확장
(아마존스타일: 나만의 맞춤이미지를 온라인으로 제공받아 직접 피팅가능, 치플레:오르파인에서 하던 할로윈이벤트를 메타버스와 연계하여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가능할수 있게 연결 확장)
*단순히 물건을 가져다 놓고 판매하는 공간이 아닌 공간자체의 효율적인 마케팅을 이용하여 새로운 고객 유치가능하게 함
모두가 어렵다고 하는 이 해를 저자는 플랜 B,C를 함깨 마련한다는 지혜로 경제적 지정학적 위기에 대비해 다양한 대처방안을
제시하며 지혜를 발휘하는 한해가 되기를 희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