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한자에 꽤 익숙한 편입니다.학창시절엔 친구들이 과제물의 표지에 한자로 제목을 써달라고 내게 부탁하기도 했지요.서예를 배운 건 아니지만 펜글씨로 한자를 쓰는 것 정도야 괜찮게 한 편이라 그런 부탁 쯤은 들어주었습니다.하지만 한문을 안다고 우쭐대거나 하지는 않았는데 그건 내가 특별히 겸손하거나 한 사람이었기 때문이 아니었습니다.한문을 잘 안다는 이유로 전통이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남에게 훈계나 늘어놓는 사람들이 싫어서였기 때문입니다.
아마 시골에서 살아본 사람들은 몰락한 양반입네 하면서 동네에서 거들먹거리던 몇 몇 나이든 한량들을 기억할 겁니다.이들의 특징은 가족부양능력이 없는 주제에 콧대는 높아서 걸핏하면 가문의 영광 운운 하면서 잔소리를 늘어놓는 것입니다.가끔 멋드러진 붓글씨 솜씨를 자랑하면서 한시를 쓰기도 하고 좀 더 나아가 난을 치기도 합니다.그러다가 "요즘 것들은 서양 것에만 마음을 빼앗겨 우리 것을 소홀히 한다" 는 둥..."한문을 모르니 우리 전통을 모른다"는 둥 우국지사 같은 말도 합니다.하지만 동네에선 그냥 그러려니 하고 참아줍니다.처자식을 먹여살리지도 못하면서 자존심만 남은 그 처지에 동정하는 사람도 있고...
어린 시절이긴 했지만 같은 남자로써 그런 영감님들이 맘에 들지 않았습니다.이상하게 그런 이들이 한학을 배웠다는 이유로 한문 실력은 좋았지요.내놓을 것은 왕년에 뼈대 있는 가문이었다는 것과 가끔 한학실력을 과시하는 것 뿐...그래서 한문실력을 과시하면서 낡은 인습적 도덕을 장광설처럼 늘어놓은 이들이 싫었습니다.나는 한문을 공부해도 저런 좁쌀영감은 되지 말아야겠다고 어렸을 때부터 굳게 맹세했지요.그래서 한자나 한문 외에도 오래전 60년대의 번역본을 구해 읽으면서 아직은 꼬부랑말이나 번역투 문체가 많지 않던 시절의 우리말을 익히기도 했습니다.
때로는 몰락한 양반가문의 자존심이 큰 화를 불러오기도 합니다.출판사 후마니타스 대표인 박상훈 씨가 겪은 집안의 비극이 그 예입니다.박 씨는 6형제의 막내인데, 제일 큰 형은 아버지가 첫 결혼으로 맞은 여인의 아들이었습니다.배다른 형이었지요.박 씨의 할아버지는 경제적으론 무능했고 내세울 수 있는 것은 양반가문의 혈통이란 것과, 전통적인 한학교육을 받아 한문에 능하다는 것 뿐이었습니다.무능한 남편을 만나 시집온 할머니도 역시 양반가문에 시집왔다는 것 말고는 내세울 것이 없었다고 합니다.그래서 그 두 분은 자신들의 초라한 삶에 대한 보상을 과거시대에나 어울리는 위신과 혈통에 매달려 찾으려 했지요.
그런데 그 배다른 큰 형은 떡방앗간을 운영하면서 가정경제를 책임졌던 박상훈 씨의 친어머니(그 형에겐 새엄마)를 돕기 위해 식모로 들어왔던 한 여성을 좋아해 그녀와 결혼하기로 결심했다고 합니다.하지만 뼈대있는 가문임을 강조한 조부모는 식모와 결혼하다니 말도 안된다며 결사반대했고, 이에 비관한 그 큰 형은 농약을 마시고 자살하고 말았습니다.박상훈 씨는 그 큰 형의 비극적인 죽음을 생각할 때마다 시대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이 얼마나 큰 상처를 줄 수 있는지 생각하면서 스스로를 되돌아 보게 된다고 했습니다.
한문교육을 강조하면서 인습적인 도덕교육과 연결하려는 사람들이 꽤 많습니다.어린이나 청소년들을 길들이기 위한 굴레로 활용하려는 속셈을 가진 이들도 있습니다.나는 그런 덫에 빠지지 않으려고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사상을 공부하면서도 새로운 사회과학적인 분석틀을 사용한 저서들을 읽으면서 최신학설을 익히는 데도 힘을 기울였습니다.덕분에 대륙이나 일본 사회주의 계열, 혹은 구미의 학자들의 저서까지 읽게 되었지요.하지만 무엇보다도 한문을 안다는 이유로, 또 다른 사람보다는 동양의 역사나 사상을 안다는 이유로, 낡은 인습적 도덕을 강조하거나, 오만한 모습을 보이는 사람이 되지 않은 것이 다행입니다.자부심은 좋지만 그것이 지나쳐서 남에게 오만하게 대하거나 상처를 주거나 할 권리는 그 누구도 없는 것입니다.그가 양반가문의 후예이건, 한학실력이 좋은 사람이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