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 딕 - 전면 개역판
허먼 멜빌 지음, 김석희 옮김 / 작가정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비 딕>은 읽기 쉬운 책은 아니다. 한 번 읽고는 쉽게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적어도 세 번은 읽어야 책의 의미를 어렴풋이라도 알게 된다. '모비 딕'이 어떤 존재인지, '에이허브 선장'의 복수는 무엇을 뜻하는지, '이슈메일'이 살아남은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말이다.

<모비 딕>은 대왕 향유고래 '모비 딕'에게 다리를 한 쪽을 잃은 '에이허브' 선장의 광기 어린 복수에 대한 책이다. 고래잡이 배에서 살아남은 선원 '이슈메일'의 전지적인 시점으로 소설이 전개된다.

소설 속에서 흰 고래, <모비 딕>은 어떤 존재일까? 그는 뱃사람들에게 있어 신적인 존재다. 전설처럼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정복하고 싶지만 정복할 수 없는, 두렵고 신비한 존재다. 이 존재에게 반기를 드는 인물이 바로 '에이허브' 선장이다. 선장도 선장 나름의 이야기가 있다. 선장의 다리 한 쪽을 모비 딕이 앗아갔기 때문이다. 선장은 그에게 복수(모비 딕을 죽이는 것)를 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이 생겨야 한다. 선장의 다리 한 쪽을 없애버린 '모비 딕'은 선장의 생각처럼 정말 '못된 고래', '없어져야 하는 고래'인 것일까? 고래잡이 배에게서 살아남고자 발버둥치다 이와 같은 일이 생겼다. 모비 딕은 선장에게 해를 끼치고자 선장의 다리 한 쪽을 없애버린 것이 아니다. 말 그대로 자연의 섭리에 따라 살아남고자 행동했는데, 이와 같은 일이 생겼다. 반면 선장은 어떤가. 일단 고래잡이를 하는 것부터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는 것이며, 굳이 모비 딕을 찾아 죽이겠다 하는 것도 '자연'스럽지는 못하다.

이와 같은 것들을 미루어볼 때 모비 딕은 '자연', 즉 신과 같은 존재로 볼 수 있다. 때문에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며 '모비 딕'을 '신'으로 생각하며, '에이허브'를 '신에 대적하는 인간'으로 생각하며 읽었다. 두려움에 맞선 에이허브 선장, 그 복수의 끝은 구원일까, 파멸일까?

가장 먼저, '고래'를 바라보는 에이허브 선장과 이슈메일의 시선에 대해 말해보겠다. 에이허브 선장은 고래를 자신이 함락시켜야 하는 존재로 바라보지만 이슈메일은 고래를 숭고하고 아름다운 존재로 바라본다. 그가 고래잡이 배에 들어간 것도 '고래에 대해 깊이 알고 싶어서'였다. 하지만, 이 둘의 시선은 '두려움'으로 교차된다.

에이허브 선장은 고래에게 복수를 하겠노라 말하지만 그 말의 기저에는 두려움이 깔려있다. 고래가 자신의 다리 한 쪽을 없애버렸기 때문이다. 그는 그 두려움을 가슴에 품고 복수를 다짐한다. 이슈메일은 고래를 숭배하는 동시에 두려워한다. 고래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동물일 것이라 말하며 그 크기가 주는 중압감을 표현한다. 이슈메일도, 선원 대부분도 모비 딕에게 복수할 것이라는 에이허브의 끝을 예감하고 있었다. 때문에 선장을 계속 말려보지만 광기 어린 에이허브 선장만이 끝까지 이기겠다 말한다.

이 부분을 보며 다시 생각해보았다. 그는 정말 자신이 고래를 이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을까. 아닐 것 같다. 지더라도 있는 힘을 다해 복수를 해보리라 다짐했으리라. 또 그는 그 복수의 끝이 진정 구원이라 생각했을까? 그랬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모비 딕과의 처절한 싸움에서 에이허브 선장이 이겼다 해도 그는 죽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삶의 목표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광기에 젖어 신에게 반기를 든 복수는 그를 파멸로 이끌었다. 이것이 바로 신에 대적한 인간의 최후다.

2010년 나온 <모비 딕> 개역판이 13년만에 나왔다. 800쪽에 육박하는만큼, 책의 구성이 아주 촘촘하고 꼼꼼하다. 작가 연보, 고래잡이 선의 명칭, 등장인물 소개 등이 함께 실려있다. <모비 딕>을 사랑하는 독자라면 한 권 쯤 가지고 있으면 좋을 책이다.

당신은 <모비 딕>을 읽으며 모비 딕이 어떤 존재라고 생각했는가. 단순히 복수의 대상인 고래라고 봤을 수도 있고, 자연으로 봤을 수도 있고, 신으로 봤을 수도 있다. 모비 딕을 읽으며 그 상징에 대해 사유해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안해, 괜찮아 빨간 벽돌 유치원 2
김영진 지음 / 길벗어린이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안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와 ‘괜찮아‘라고 말할 수 있는 포용력에 대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안해, 괜찮아 빨간 벽돌 유치원 2
김영진 지음 / 길벗어린이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길벗어린이와 <미안해, 괜찮아>
길벗어린이 서포터즈 벗뜨리 1기의 3월 활동도서는 3월 신간인 <미안해, 괜찮아>였어요. 유치원에 다니기 시작한 타요와 펭이. 새치기를 시작으로 둘은 작은 갈등을 겪기 시작하는데요. 서로를 자꾸만 건들고 좋지 않은 말을 해요. 이 둘에게 필요한 말은 무엇일까요?

2. '미안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
'괜찮아'라고 말할 수 있는 포용력
사실 그리 어려운 말이 아닌데도 막상 입 밖에 내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그 말. 미안해. 저는 '미안해'라는 말을 뱉기까지 중요한 것은 '용기'라고 생각해요. 내가 먼저 손을 내밀고 이 관계를 이어가고 싶다 표현하는 것이니까요.
사과를 들었다면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그 사람도 많은 용기를 내서 내게 손을 내민 것일테니 그것을 안아주려는 마음도 필요해요. 우리는 이것을 포용력이라 말합니다. 표현으로는 '괜찮아'가 되겠죠.

3. <미안해, 괜찮아> 속 마법 같은 단어
그림책 <미안해, 괜찮아>는 바로 이 말에 대한 책이에요. 서로에게 느끼는 서운함을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를 찬찬히 설명해줍니다. 책에서는 '미안해'와 '괜찮아'를 마법같은 단어라고 불러요. 정말 그렇죠. '미안해와 괜찮아를 말하는 것은 관계에서 아주 중요하니까요. 그 말을 제때 하면 엉킨 실타래도 쉽게 풀수 있답니다.

4. <미안해, 괜찮아> 줄거리
타요와 펭이는 유치원에 다녀요.
그런데 요즘, 펭이는 타요가 마음에 들지 않아요.
타요가 펭이 앞으로 새치기를 하고 놀던 장난감을 빼앗았기 때문이죠.
기분이 나빴던 펭이는 다음부터 타요에게 똑같이 행동하기 시작합니다.
둘 다 기분이 상하고 서운한 감정이 깊어가죠.
과연 둘은 다시 짱친이 될 수 있을까요?

엄마가 그럴 때 쓰는 마법의 말을 알려 줄까? 엄마도 가끔 쓰는 마법이야. '미안해', '괜찮아' 이 말이면 금세 다시 친하게 지낼 수 있어. 아마 예전보다 더 친해질 거야. '미안해'가 조금 더 좋은 말이니까 네가 먼저 하면 어떨까?
- <미안해, 괜찮아> 中

5. 특징
① 등장인물 소개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면지를 잘 활용했다는 거예요. 면지에 <빨간벽돌유치원 시리즈>의 등장인물 소개가 적혀 있어요! 이게 시리즈물의 묘미죠.ㅎㅎ 시리즈물의 덕후들을 만들기 위해서는 세계관이 꼭 필요한데요. 이렇게 등장인물을 소개하며 해당 세계관을 공고히 하고 있어요. 너무 귀여웠답니다. ₍♡•͈ᴗ•͈♡₎
② 디테일이 살아있는 그림

자잘한 디테일들이 살아있어요. 주인공은 타요와 펭이지만, <빨간벽돌유치원 시리즈>의 등장인물들이 모두 등장하거든요. 만화처럼 컷이 다양하게 나뉘어 있어 등장인물을 폭 넓게 담아내고 있습니다. 장 활용을 알차게 잘한 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림의 주재료는 수채와인 것 같고,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것 같아요.

6. 추천
'미안해' 라는 말을 들었을 때의 감정을 떠올려보세요. 화가 너무 나다가도, 미안해라는 말 한 마디면 전부 사그라드는 신기한 경험을 우리 모두 한 번쯤은 해봤을 거예요.
어른들도 잘 하지 못하는 말. 미안해. 어릴 때부터 이 말을 스스럼 없이 말할 수 있게 된다면 커서도 그럴 수 있을 것 같아요. 미안하다는 것이 자존심 싸움이 아니란 것을 알게 될테니까요. 이 책은 사회성이 빠르게 발달하는 유치원생 ~ 초등학교 진학 직전의 아이들에게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아지똥 민들레 그림책 1
권정생 글, 정승각 그림 / 길벗어린이 / 199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아지똥>은 자신을 내어 남을 도와주는 눈물 겨운 사랑의 모습을 담고 있어요. 낮은 곳에 있으며 따뜻한 영혼을 가진 존재의 이야기를 아이들은 오래 기억하게 될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아지똥 민들레 그림책 1
권정생 글, 정승각 그림 / 길벗어린이 / 199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길벗어린이, <강아지똥>
길벗어린이 서포터즈 벗뜨리 1기의 첫 책은 <강아지똥>이에요. 그림책 러버들 중에서는 이 책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책이죠. <강아지똥>은 길벗어린이의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인 작품이에요. 벗뜨리 1기의 책으로 너무나 잘 어울렸던 <강아지똥> 리뷰를 시작합니다. : )

2. 작가 소개
권정생
1937년 9월 10일 ~ 2007년 5월 17일
<강아지똥>의 작가는 권정생 선생님이에요. 권정생 선생님은 평화주의자이자 반전주의자셨죠. 그의 그림책 또한 따뜻하고 아름다운 메시지를 전합니다. 권정생 선생님은 <강아지똥>으로 제1회 기독교아동문학상을 받으며 동화작가 활동을 시작했어요.

3. 줄거리 소개
"난 더러운 똥인데, 어떻게 착하게 살 수 있을까? 아무 짝에도 쓸 수 없을 텐데..."
돌이네 강아지가 똥을 누었어요.
모두가 강아지똥을 보고 더럽다며 피하고 무시해요.
참새도, 흙덩이도, 닭들도, 병아리들도요.
강아지똥은 생각하죠. 나도 쓸모 있는 존재가 되고 싶다고요.

"네 몸뚱이를 고스란히 녹여 내 몸 속으로 들어와야 해. 그래야만 별처럼 고운 꽃이 핀단다"
봄비가 내렸어요.
강아지똥 옆에 파란 민들레 싹이 피었죠.
민들레는 별처럼 고운 꽃을 피운대요. 그러기 위해서는
강아지똥이 필요하다고 말하죠.

강아지똥은 너무 기뻐하며 민들레를 힘껏 껴안았어요.
사흘동안 내린 비는 강아지똥의 몸을 잘게 부수었고,
땅속으로 스며들었죠.
그 봄, 민들레는 아름다운 꽃을 피웠어요.

4. 특징
"우리 어린이들에게 우리 문화와 정서가 담긴 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우리 어린이들에게 길벗어린이의 BI가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바로 위의 문장이랍니다. 길벗어린이는 우리나라의 문화와 정서가 담긴 책을 펴내는 출판사예요. 그걸 아주 잘 보여주는 책이 <강아지똥>입니다. <강아지똥>을 읽을 때마다 뭉클한 감정이 물결처럼 밀려온 이유를 이재복 평론가님이 적어주신 글을 통해서 정확히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세상 가장 낮은 곳으로 내려가, 비록 어둡고 추운 곳이지만 그 곳에도 왕자나 공주 못지 않게 따뜻한 영혼을 간직한 수많은 존재들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아이들에게 보여준 것입니다."
-이재복 선생님의 평론 中

<강아지똥>과 같은 운명을 살아온 우리 민족. 그 낮은 곳에서도 따뜻한 영혼으로 서로 도우며 꿋꿋하게 꽃을 피워낸 사람들. 민들레는 어떤 곳에서든 악착같이 잘 자라는 꽃이라고 하죠. 버림 받고 나쁜 말을 들어도 자신의 몸을 내어주며 끝끝내 민들레 꽃을 피운 강아지똥처럼, 우리 겨례도 그러했습니다. 수많은 역경 속에서도 이 나라를 잃지 않고 끝내 강국으로 성장했으니까요. <강아지똥>이 많은 사람들에게 지금까지도 사랑을 받는 이유는 아마 이 떄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5. 추천
"어릴 때 읽는 그림책은 커서도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그림책은 매우 큰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벗뜨리 자기소개서에 이런 말을 적었어요. 저는 어릴 때부터 길벗어린이의 책을 읽으며 자랐고, 그때 읽은 그림책들은 지금까지도 제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만큼 어릴 때 읽은 책이 중요하다는 것이겠죠. <강아지똥>은 자신을 내어 남을 도와주는 눈물 겨운 사랑의 모습을 담고 있어요. 낮은 곳에 있으며 따뜻한 영혼을 가진 존재의 이야기를 아이들은 오래 기억하게 될 거예요. 제가 어릴 때 <강아지똥>을 읽은 것을 또렷이 기억하는 것처럼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