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정엽 기능과 관련하여 매우 흥미로운 것은 바로 명상의 활동입니다.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의 리처드 데이비슨Richard Davidson 교수는 오랫동안 명상과 뇌의 관련성을 연구해 왔는데요. 특히 달라이라마와 같이 수련과 수행으로 단련되어 있는 티베트 승려들의 뇌 활동성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데이비슨 교수는 약 12년 동안 승려들을 대상으로 명상을 수행할 때 변화하는 뇌의 상태를연구했습니다. 그 결과, 승려들이 명상을 통해서 무념무상의 상태에 접어들게 되면 두정엽의 기능이 크게 떨어지는 동시에 뇌 활동도비활성화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명상을 오래 해온 승려일수록 이러한 현상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명상 수행이 뇌의 활동성을 바꿔놓아 외부의 정보를 차단시키면서 자신의 존재감마저사라지게 하는 상태, 즉 무아지경의 상태에 이르는 것이지요. - P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모는 자신의 의도만 기억하고
아이는 부모의 태도만 기억한다"

우리 아이 정서를 결정짓는 골든 타임
기분이 육아가 되지 않는 3단계 핵심 솔루션

아이들은 자신의 상태나 기분, 감정 등을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 아이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부모의 양육이 심각한 문제로 드러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아이에 대한 사랑과 기대가 너무 크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의도적으로 자녀에게 나쁜 영향을 주고 싶은 부모는 없습니다.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앞서 선택한 무리한 양육 방식이 부작용을 불러일으켰을 뿐입니다. 어린 시절에 형성된 애착과 정서적 안정, 인성과 사회성은 나이가 들어도 변하지 않습니다. 6세 이전에 아이의 발달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에 따른 원칙과 기준을 세워야 하는 이유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많이 담는다고 해서
마음이 넉넉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아무리 담고 채운다고 해도
넓은 마음이 한없이 풍족해지는 것도 아닙니다.

그저 비워내는 것이
담아두는 것보다 편할 때가 있습니다. - P2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은 알면 알수록 어려운것같다.

우리는 대부분
그리고 자주
사람들을 
오해하고 판단한다.

상대의 대부분을
안다고 생각하지만
상대의 일부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게 사람과의 관계다. - P1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말이다. 짝짝짝짝

아무리 친한 친구나 의지하던 가족도
아무런 힘이 되지 못할 때가 있다.

그럴 때면 아무도 찾을 수 없는 작은 존재가 되어
조용하고 아늑한 곳에서 스스로를 달래는
시간이 필요하다.

힘들다고,
괜찮지 않다고,
나 자신에게 솔직해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내가 나를 달릴 줄 아는연습이 필요하다. - P1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