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초 말 그대로 역병이 창궐하여 나라꼴이 난리도 아니었다. 경제를 살리자고, 중동으로 떠나라는 신탁을 전한 여인은 머쓱했으리라. 그래서 손만 잘 씻으면 되는 중동감기라고 말했다.

두려움에 떨며 이웃지간에도 경계와 염려가 뒤섞인 묘한 감정으로 지내야했다. 누군가 기침만해도 눈꼬리가 저절로 올라갔으니까.

겨우 수습이 되고 그 와중에도 자신에게 이익이 될만한 것들만 챙기는 꼼꼼함과 언제나 들키고 마는 언론플레이를 시작했다.

 

여전히 세월호는 깜깜하게 묻지도 따지지도 못했고 온 힘을 다해 그들의 입을 막으려했다. 주변인들을 압박했고, 거짓정보를 흘렸고, 추종세력들을 동원해 조롱하고 멸시했다.

 

역사를 국정화한다고 했다. 패배주의적 역사관이 문제라고, 역사학자 90퍼센트가 좌파이며 김일성 주체사상을 배운다고 호도하며 6.25때 난리는 난리도 아니게 난리를 쳤다. 사람들이 반대했다. 역사는 그렇게 할 수 없다고 시민들이 나섰고, 역사학자들이 나섰고, 선생님들이 나섰고 급기야 아이들까지 나섰다. 그들은 꼭꼭 숨어서 국정교과서를 만들기 시작했다.

 

쉬운 해고가 가능한 노동법 개혁도 시작되었다. 농민들의 쌀값이 바닥을 쳤다. 모두가 한마음으로 이대로는 안된다고 나서자 차벽을 쌓았고, 물대포를 쏘았다. 사방에서 터져나오는 다양한 요구와 분노들은 함성이었고 아우성이었다.

말하지 말라. 나서지 말라. 혼난다. 아마 이 세가지의 행동지침이 저들에게 있었나보다. 한 노인이 쓰러졌다. 아무도 사과하지도 않았고 그를 구조하던 이가 넘어지면서 무릎으로 친것 같다는 말도 안되는 말을 국회의원이란 자가 했다.

아직도 노인은 깨어나지 않았다.

 

일이 많았고 사건이 많았다. 많은 사건만큼 그 녀의 외국행도 많았다.

많은 이들이 결정적일때 자살을 했고, 내쳐졌으며, 마녀사냥을 당하기도 했다. 그럴 때마다 그녀는 외국에서 국위선양(?) 중이었다. 외교를 위해 태어난 사람처럼 분주히 움직였다.

지랄도 하면 는다고 그토록 열심히 타국의 대표들과 만나고 협상을 해봤으니 그 바닥의 생리를 알거라 생각했다.

미련한 짐작이었다.

 

2015년을 겨우 사흘 앞두고 한일협상이 타결되었다.

위안부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설레발을 친다. 자화자찬은 이어지고, 큰 성과를 내었다고 자축했다.

하루도 지나지 않아 사달이 나고야 말았다.

피해자도 모르게 진행된 협상이라니..돈 몇푼에 팔아버린 자존심이라니.

겨우 96억에 해결될만한 사건이었나? 어제 내내 뉴스 상위권에 있던 어떤 기업인의 개인 재산이 조단위를 넘어간다고 하던데..수십년을 악몽같은 삶을 살아낸 할머니들께 그것도 사과의 표시도 아닌 꼴랑 96억으로 퉁치자고 받아온 협정을 성공이라고 할 수 있는가.

 

어이가 없었다.아니 아직도 어이는 없다.

어쩌면 좋지? 이런 상처들을 어떻게 해야할까? 육두문자를 연달아 쏟아내봐도 좀체로 분이 풀리지 않는다.

영화나 드라마의 주인공처럼 소리지르며 울어젖혀도 나아질 것 같지 않다.

어떤 이들은 모든 민주주의에서 국민은 그들의 수준에 맞는 정부를 가진다."라는 알렉시스 드 토크빌의 말을 빌어다 적당히 얼버무리며 이따위 정부를 갖게 된 것이 국민의 탓인듯 호도한다.

 

근대화와 민주화가 함께 이루어지지 못한, 먹고사니즘이 승리한 시대적배경에서 근대화에 방점을 찍었던 결과이다. 먹고 살만 해지자 저당잡혔던 민주주의가 죽어가고 있다. 그리고 먹고 살만했던 살림 살이는 동력을 상실하고 같이 죽어가고 있다.

어째서 변화가 없으며 변혁의 힘이 만들어지지 않는지..짐작은 되지만 그게 다가 아닐거라 애써 위로한다.

 

책을 하나 꺼내든다.

 

   그냥 읽어야겠다. 그 마지막의 모습이 다르지 않을지도 모르겠다는 어떤 느낌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그 날은 문득 그 꿈을 꾼다.

문득 그 날은 어떤 그 꿈을 꾸기도 했다.

노란 유채꽃이 지천인 어느 섬.. 노란 유채꽃이 피기 전 여린 섬모처럼 꼬물거리던 그 뿌리가 먼저 빨아들였던 비릿한 피의 맛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을까.

햇살보다 날카롭게 파고들던 총성과 비명을 낙인처럼 아직도 간직하고 있을까?

 

날이 찼다.

겨울 냄새가 잔뜩 배인 날이다. 하긴 동짓달이다. 동짓날도 머지 않았고..핏빛 팥죽을 쑤어먹는 그 날. 생각은 끝을 모르고 달리고 나는 가만히 책장을 더듬었다. 손끝에 닿은 책 하나. 한라산.

 

 서사는 어떻게 직조되는지..역사는 어떻게 드러나는지..우리는 무엇을 보아야하는지..

 

 학살의 현장은 진실이 드러나는 그 날까지 수습되지 않는다는 걸 확인하게 된다.

 심란했던 지난 밤의 꿈은 또 다시 반복되려는 학살을 감지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제 이익을 위해, 제 무리의 안녕을 위해 국민을 볼모로 잡고, 혹은 그 국민을 외면할 수 있는 사람들..벼랑 끝으로 자꾸만 밀어댄다. 그 곳에서 나라를 잃은 삼천궁녀처럼 후둑후둑 국민들이 떨어져 내린대도 그들은 자신의 손으로 민 것이 아니라며..잘 버티지 왜 떨어지냐고 의지가 부족하다고..혹은 어쩔 수 없었다고..

 

 아직도 선홍빛 누명이 벗겨지지 않은 이야기를 폐병쟁이 노인네처럼 읽는다.

 하나를 읽고 심호흡을 하고..가쁜 숨을 몰아쉬며 아직 남은 눈물을 훔치며 읽는다.

감상적이다.

 

분노를 일으켜 세워 다부지게 행동할 용기도 자질도 없는..그저 감상일 뿐이다.

 

내친김에 하나 더 더듬어 뽑아본다.

 

  제주도 말로 풀어내려 작가는 고심했겠다.

 시가 산문이 되고 그 사건의 조서가 된다.

  4월이 되면 제주에 가자. 3월의 끄트머리에서 눈물을 닦고..설운 기억들이 켜켜이 쌓인 가난한 집 아이의 바지처럼 온통 기워지고 터지고 헤진 역사 속으로 걸어가자.

 

 

 

 

 

 

 

 

 

문설주에 피를 바른 집은 죽음의 사자가 넘어갔다. 모든 장자의 목숨을 앗아간 그 밤.

붉은 피를 바른 그 집들을 죽음이 넘어갔다.

우리의 문설주엔..얼마나 더 많은 피를 발라야 할까.

 

문득 한라산을 떠올렸다.

시린 겨울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요일엔 돌아오렴 - 240일간의 세월호 유가족 육성기록
416 세월호 참사 기록위원회 작가기록단 엮음 / 창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억의 기억을 불러내어 잊지 말아야 할 한 가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의 낭비라는 SNS에서 만나게 되는 사람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시집을 출간하고 있다. 어설픈 포스트에 격려의 글을 남겨주기도 하고, 늘 큰언니처럼 꾸준히 눈길을 주시던 분이 시집을 내셨다. 오랜 시간, 자신이 살아온 시간만큼 익히고 익힌 감칠 맛 나는 감주일지도 모르겠다. 그 제목이 좋다.

 

  몇번이나 들락거리며 업데이트 되기를 기다리다 얼른 구매를 한다.

  내일이나 도착한다니 조금 더 기다려볼 일이다. 잘 익은 빨간 고추장처럼 맵달콤한 맛이면 좋겠다.

 

 최돈선의 시집을 한꼭지씩 읽는다. 사람이 애인이다. 사람이 애인인데.. 사람이 사람을 모질게 밀쳐낼 수도 있는 현실을 보며 자꾸 아리다.

 이렇게 품어야 하는데..어째서 자꾸 밀치고 다치게 하는건지..

사람이..사람인데..

 

 14일 이후로 마음이 자꾸 아팠다.

 어쩐지 한 발 쯤 걸치고 있는 기회주의자 같다는 생각. 회색분자 같다는 생각이 자신을 괴롭혔다. 그럴 수 있다. 뭔가 보태고 싶지만 여의치 않은..나눌 것이라곤 개도 안물어 갈 마음 밖에 없다는게..

 

어제는 내내 책을 읽었다. 벽돌처럼 두텁고 묵직한 책.

  광숙에게..라고 시작되는 편지들은 애절하고 애틋하다. 그의 뜨거운 편지들이 시가 되고 노래가 되는 건 그런 사랑이 사람이 흘러주었기 때문이겠다 싶었다.

 옥중 서신이란 것이 낯설지 않지만..김남주의 편지는 자꾸만 물기를 끌어온다.

 

 악보가 있는 것도 아닌데, "함께 가자 우리 이길을.."하고 노래하며 읽는다.

어떤 시는 이미 태생이 노래여서 노래하지 않으면 읽히지 않기도 하나보다 생각했다.

 

 

 노래하는 시인의 책도 사무실에 두고 짬짬이 꺼내 읽는다.

 조금 투박하기도 하고, 조금 엉키기도 하지만, 이 역시 노래의 애드립처럼, 허밍처럼 나쁘지 않다.

 

 시집 몇 권을 주문하고, 주문했고, 읽거나 읽을 것이다.

 

 가을이라서 유난히 시를 읽게 되는 건 아닌데..올 해 유난히 시집을 들었다놨다 하고 있다.

 

 가을 시가 좋은 건...가을 날씨 때문이라고 변명을 해 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11-17 20: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글 제목 라임이 기발하네요. 시가 좋은 건, 시가(cigar) 향 때문이라고... 개드립을 시전해봅니다. ㅎㅎㅎ

나타샤 2015-11-17 21:44   좋아요 0 | URL
시가향..좋습니다~~^^

yureka01 2015-11-18 11: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눈부신 꽝 한권들고 쿠바 하바나 항구에서 읽고 싶네요 ㄷㄷㄷ아놔..

나타샤 2015-11-18 12:21   좋아요 0 | URL
모히또 한잔 추가요~^^
 

얼마전 성공회대 한홍구 교수의 이야기를 들었다. 사건의 개요는 신문의 사설을 옮겨본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0192115275&code=990100

반헌법행위자 열전을 준비중이었다. 그가 단단히 걸려들었다.

그리고 얼마 후 "아비 그리울 때 보라"라는 김탁환님의 산문집과 제목을 같이하는 글을 하나 읽는다.

한홍구 교수의 아버지 한만년씨가 그 아들을 탐탁치 않아한다는 조선일보의 보도 내용-역시 조잡한 짜깁기지만-을 반박하는 이 긴 글을 읽게 된다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4635

그저 한 집안의 이야기를 그저 읽어내리는 것만으로도 울컥이는 것이 있다.

끈끈한 부자의 정, 형제애, 무던한 내리사랑과 믿음이 보여짐에도 불구하고 파렴치하게도 왜곡을 해대는 것인지 ..

 

한만년의 일업일생이 궁금해졌다.

아비의 이야기가 궁금해진것이다.

   오래전 출간된 책을 이제사 알게되어 주문하고 기다린다.

 

  아비 그리울 때 보라..올 해 간행된 책들 중 가장 맘에 박히는 제목이다.

 

  우리 아버지는..어린 나를 무릎에 앉히시고 "꿈을 찍는 사진관"을 같이 읽어주셨다. 번갈아 한문단씩 읽는 그 시간을 고스란히 찍어둘껄 그랬다.

 살아가며 읽게되는 책들에 한두어가지씩 걸치게 되는 이야기들..그 이야기들을 공유할 대상이 아버지라면..뻐근하지 않겠나.

 

 

 

 

 

 

 

 

 

주문한 책은 내일 도착한다고 한다.

11월 3일.

학생의 날.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선포한 날.

 

  이 책을 사길 잘 했다. 중요한 책들을 어서 사두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래저래 말 같지 않은 구실로 국정화교과서에 배치되는 내용을 담은 책들은 수거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설마 그럴라구?

그 설마의 연속을 살아내고 있지 않은가?

 

 

 

 

 

 

 

 

 

아들을 아끼는 아버지의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 책을 읽게 되겠다.

아버지를 아끼는 딸의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 재앙을 맞이한 날이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