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밖 성벽에 잇닿아 있는 땅은 원래 나라 땅이었다. 그 가운데로 구불구불 난 좁은 길은 질러다니는 사람들의 발길 때문에만들어진 것이었는데, 이제는 자연스레 경계선이 되었다. 길 왼쪽에 사형당하거나 옥사한 사람들이 묻혀 있고, 오른쪽은 가난한 사람들의 공동묘지였다. 양쪽 모두 무덤이 겹겹이 들어서 있는 것이 꼭 부잣집 생일 잔칫상에 만터우를 쌓아놓은 것 같았다.

이 동네 관습은 좀 특이했다. 여자가 아이를 낳으면 저울로 무게를 달아 그 근수로 아명兒名을 삼았다. 

할멈의 며느리 칠근댁이 밥 광주리를 들고 탁자 쪽으로 가더니 밥 광주리를 탁자에 내던지고 씩씩거리며 말했다. "어머님이 그랬잖아요. 육근이 낳았을 때 여섯 근 다섯 냥이었다고. 그때 집안 저울도 집에서 만든 거라 근수가 적게 나오는 열여덟 냥저울이었고요. 열여섯 냥 저울이었으면 우리 육근이는 일곱 근이 넘었을 거예요. 어쩌면 시할아버지나 시아버지도 아홉 근, 여덟 근이 안 되었을지 몰라요. 열네 냥이 한 근인 저울로 달았을지도 ..."
"대가 내려갈수록 엉망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인을 하는 사람이 바로 나의 형이다.
나는 식인을 하는 사람의 형제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잡아먹혀도 나는 식인하는 사람의 형제다.

사천 년 식인의 이력을 지닌 나, 처음에는 몰랐지만 이제는 알았다. 진정한 인간을 만나기가 어렵다는 것을!

식인을 해보지 않은 아이가 혹시 아직도 있을까?
아이들을 구하라 .…

사람들에게 말할 때면 항상 입에 "지호자야之乎者也"를달고 살아서 사람들은 그의 말이 무슨 뜻인지 알아듣지 못했다.
성이 쿵이라 사람들은 아이들이 글자 연습하는 책에 나오는 "상다런 쿵이지 上大孔乙己"라는 알 듯 모를 듯한 말에서 그의 별명을 따와 쿵이지라고 불렀다. 

쿵이지는 이렇게 사람들을 즐겁게 했지만, 그가 없어도 다른사람들은 그냥 살아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텀블벅등 다양한 펀딩루트들이 많다.
주로 펀딩하는 곳이 텀블벅이다. 예전엔 공예품들이나 시민참여 같은 후원이 많았는데 점점 출판후원들이 많아진다.
서점에 깔리지(?) 않는 책들..저자의 열정과 말 그대로의 뒤에서 응원하는 힘들이 만들어내는 결과물 중엔 서툴고 투박하지만 진심을 다한 것이 보이기도 한다.
때로 기대에 못미치거나 펀딩이 실패해 버리는 경우도 많은데 성공해서 인출이 되고 책이 오면 반갑다.
그렇게 세상에 나온 책중에 나중에 서점에 등록되어 판매가 되는 책들도 있긴하지만 대다수는 리워드로 배송되는게 전부이거나 작은 서점들에서 팔리는 것으로 안다.
글쓴이A 의 장편소설.
최근 받은 리워드북이다.
재미있는데. .아쉽다.
리뷰를 쓰려해도 책 검색이 안되니까..
그냥 개인블로그에 써놔야겠다.

열정과 도전을 두려워 하지 않는 젊은 작가들과 오래 파고들어 써낸 작품을 출판하고자 하는 작가들..기성작가라는 울타리 밖의 글쟁이들이 많아지면 좋겠다.
책을 많이 읽지 않아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세련되고 웅장하고 치밀한 글들보다 서툴고 투박한 글들에 더 눈이 간다.
진부해져가는 문단의 한판 엎어치기를 기대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어찌보면 반란일 그 일에 동조하고 후원하는 짜릿한 경험을 원하는지도 모르겠다.

리뷰 하나를 써보려다 괜시리 생각이 길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골리앗 버드이터는
‘birdeater(새를 잡아먹는 자)라는 이름과 달리 새보다 곤충을 선호했다. 

거미에 대한 공포를 갖고 태어나는 사람은 없다. 이는 수많은심리 테스트를 통해 증명된 사실이다. 그러나 거미공포증은 그 자체로 워낙 쉽게 유발된다. 어린아이나 동물이 특정 대상을 두려워하게 하는 일은 어렵지 않다. 무해한 꽃이라도 말이다. 그러나 사람과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식물보다는 거미와 뱀에 대한 공포를 더 빨리 습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통 거미는 더럽고 지저분한
‘벌레‘라는 인식이 강한데, 사실 타란툴라는 고양이 못지않게 깔끔하다. 먼지 한 톨 없이 꼼꼼하게 몸을 단장하고 송곳니를 빗살처럼 이용해서 다리털을 빗는다.

그러나 지금은 클라라벨 덕분에 평범한 우리 집 모퉁이마저도마법 같은 장소가 되었다. 새롭게 자각한 세상은 생각보다 훨씬더 생명력이 넘쳤으며, 우리가 삶을 사랑하듯 자신의 삶을 사랑하 는 작은 생명체의 풍성한 영혼으로 가득 찬 공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기심, 기술, 지식만으로는 동물의 삶을 이해할 수 없었다.
몰리와 유대감을 쌓았던 것처럼 에뮤와도 유대감을 쌓아야 가능한 일이었다. 마음뿐만 아니라 가슴 깊은 곳까지 열어야 하는 것이다.

크리스토퍼는우리에게 사랑하는 법을 가르쳐주잖아요..
우리에게 주어진 삶을사랑하도록 말이에요.
비록 그것이 음식물 쓰레기일지라도.

보더콜리는 독립적이고, 서정적이며, 의지가 강하고, 영리하기로유명하다. 하워드도 예전부터 보더콜리를 기르고 싶어했다. 그런보더콜리에게도 단점이 하나 있으니, 양이나 소가 없으면 대신 곤충을 몰고 다닌다는 것이었다. 심지어 스쿨버스를 몰려고 했던 적 도 있었다. 그래서 보더콜리에게는 지속적인 자극이 필요하다.

우리 꿀꿀이 부처의 갈라진 발굽을 매일같이 들여다보고 있노라 면 세상의 풍족함을 음미하고 즐기는 법이 절로 깨우쳐졌다. 피부에 내리쬐는 햇살의 따사로움과 아이들과 노는 즐거움도 배웠다.
거대한 몸만큼 드넓은 마음을 마주하고 있으면 내 슬픔이 상대적 으로 작게 느껴졌다. 

‘정글의 여왕‘, 샘은 우리가 찾는 거미 종을 이렇게 표현했다. 골리앗 버드이터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타란툴라다. 몸집이 큰 암컷은 무게가 113그램까지 나간다. 머리는 살구 크기만큼 자라고, 다리를 펼치면 사람 얼굴을 충분히 감쌀 정도로 길다. 샘이 이번에찾아낸 골리앗 버드이터가 거미굴에서 튀어나오는 순간 긴 다리로 내 얼굴 전체를 덮어버릴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