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 박완서 작가 10주기 에세이 결정판
박완서 지음 / 세계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아한다고도, 싫어한다고도 말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딱 중간도 아닌 것이. 글을 읽다보면 자연스레 이야기에 빠지게 되는 그분의 필력에 감탄도 하지만......그렇지만, 전반적으로 머리, 가슴 모두 별 반응이 없어요. 저는 앞으로 이분의 글을 즐겨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ent State: Four Dead in Ohio (Hardcover)
Derf Backderf / Abrams ComicArts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대한 이념 싸움에 한없이 작은 자들의 희생.

거의 알지 못했던 미국의 68세대 분위기 조금 더 알게 되었고, 1970년 Midwest 의 피끓는 반항을 보게 되었다.

그래픽이 더해진 사건 묘사 때문인지, 아니면 사건 배경이나 인물들을 매우 디테일하게 정리해서 설명한 탓인지, 굉장히 집중하면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내용은 흥미롭긴보단 처참하다.) 무엇보다 이책 소개시켜주신 psyche님에게 무한한 감사!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21-05-03 05: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한국의 80년대 학생운동을 떠올리면서 읽었어요. fbi가 한 짓이 안기부와 비슷한 부분이 많더라고요. 미국의 한계에 대해서도 많이 생각했고요. 뒤에 있는 자세한 설명들 보니 작가가 정말 철저하게 조사하고 연구한 거 같더라고요.
한님이 흥미롭게 읽으셨다고 하니 넘 좋네요.

han22598 2021-05-04 01:42   좋아요 0 | URL
저는 한국의 학생운동을 책으로..영화로 조금씩 알아가고 있어요. 사실 한국의 상황을 알아가면서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조건이나, 약소국의 한계로 그러한 처절한 피흘림이 있었구나 생각이 많이 들었어요. kent state를 보면서 미국 역시, 미국의 패권주의와 이념대립으로 인한 큰 희생을 치뤄냈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우리나라의 80년대 학생운동과 평행적인 요소들이 많이 있는 것 같아요. 요즘 미국에 대한 저의 생각은...표면적으로는 잔잔한 바다처럼 보이는데, 그 아래 수많은 꿈틀거리는 용솟음들이 있어보여요.

저 이 작가 너무 맘에 들더라고요 ^^ 단 한페이지라도 그냥 쓴게 없더라고요. 이런 분들 너무 좋아요 ^^ 이미 다른책도 좋아할 것 같다는 확신이 들더라고요. ㅎㅎ

2021-05-12 16: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5-14 01: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4월을 어찌 눈물 없이 보낼 수 있을까? 

이슬아 작가님 책이어서 골랐을 뿐인데,

이 곳에 정혜윤 피디님이 계셨다.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 난 새대가리다.

2014년 그때도 그랬듯이, 지금도 너무 모르고 있다.

 

정혜윤 피디님이 만드신 두개의 팝캐스트 중 하나인 '416의 목소리'를 듣기 시작했다.

5분을 넘기지 못한다. 내 눈물 따위는 중요하지 않지만 쉽게 마르지 못할 것 같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lstaff 2021-04-30 08:5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너무 오랜만에 저 먼 기억 속 어머니 이후, 누군가의 글 속에서 저를 부르는 소리를 처음 들었습니다. 새대가리. ㅋㅋㅋ

han22598 2021-05-01 10:22   좋아요 1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혼자가 아니라서 외롭지 않습니다. ㅎㅎ

행복한책읽기 2021-04-30 17:4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맞아요.416은 눈물없이 기억할 수도 들을 수도 없어요.

han22598 2021-05-01 10:22   좋아요 0 | URL
그렇게 2021월 4월에 지나가네요.

Angela 2021-05-01 12:4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제 5월이예요~

han22598 2021-05-04 00:16   좋아요 1 | URL
네!드뎌 황금계절 5월이 왔네요 ^^
 

어제 백신 2차를 맞고 왔다.

일차 때, 주사 맞은 팔이 돌덩이로 변하더니 너무 아팠다. 역시나 이번에도 팔은 돌로 변하고, 오늘 아침에는 머리가 아파서 일어났다. 오늘 쉬려고 했는데,미팅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일어나 앉았는데, 미팅 취소! 그냥 쉬엄쉬엄 일하는 걸루. 


4월초, 일차 때는 백신 맞는 곳에 사람이 풀이었는데, 어제는 한산하기 그지 없었다. 맞을 사람 이제 어느정도 맞았나 생각했다. 텍사스는 지난 3월 23일부터 16세 이상 성인은 모두 맞을 수 있게 되면서 (모데나는 18세 이상), 기다렸던 사람들은 한달 동안 대략 다 맞았나보다. 오늘 뉴욕타임즈에서도 백신 접종률이 떨어지고 있다고 하고, 이제 남은 사람들 중에는 접종을 거부하는 (vaccine hesitancy) 20%그룹이랑, 좀더 시간을 두고 나중에 맞겠다는 그룹 17% 사람들이 unvaccinated로 남을 거라고 한다. (서베이 출처:Kaiser Family Foundation). 백신을 거부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겠지만, 의료진들 중에도 백신 거부자들이 있을 정도로  과학을 뛰어넘는 자신들의 신념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함부로 판단 할 수는 없다. 한사람, 또는 집단의 신념이라는 것이 때로는 그 테두리 안에서는 안전감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그 테두리 안을 절대 벗어날 수 없게 만들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Educated]를 썻던 Tara Westover의 경우를 볼때도, 한 사람의 생각과 신념을 본인의 삶 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영향을 서로 주고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의 vaccine hesitancy 그룹 중에 과연 순수하게 자신의 생각과 신념을 결정하고 판단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syche 2021-04-30 02:5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텍사스는 빠르군요. 캘리포니아는 4/15부터 16세 이상 모두 맞을 수 있는데.
저는 딱 일주일 전에 2차 맞았는데 너무나 아무렇지도 않아서 가족들이 가짜 맞은 거 아니냐고 놀리네요. ㅎㅎ팔도 1차때보다 덜 아팠어요.

han22598 2021-05-02 11:10   좋아요 0 | URL
psyche님은 럭키한 것 같아요. 안그래도 찾아봤는데, 증상이 있는 사람이나 없는 사람이나 효과면에서는 차이가 없다고 하더라고요. 그렇다면 이왕이면 안아픈게 좋은거잖아요. ㅎㅎㅎ

transient-guest 2021-05-05 05: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켈리포냐는 좀 늦어서 저도 5/19에 2차 맞아요. 그전에는 선택이었는데 이젠 선택사항은 아니라서 모더나 맞습니다.

han22598 2021-05-06 00:35   좋아요 1 | URL
5/19이면 2주 남았네요. 1차는 잘 지나가셨는지 모르겠지만, 2차를 위한 몸 준비 좀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미리 미리 비타민 잘 챙겨 드시고요 ㅋ 비타민이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요 ㅎㅎ
 

 

별 다섯개!

 

영국에서는 아웃도어 수영장을 Lido라고 한다고 한다. 텍사스는 아웃도어 수영장이 지천에 널려 있다. 더운 날씨에 수영만큼 좋은 놀이도 없고, 여름 thunder가 있는 날 빼고는 일년 내내 아웃도어 수영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텍사스는 수영의 최적 지역이다. 텍사스를 뜨게 되면 아마도 가장 아쉬운 것중에 하나는 아웃도어 수영 될 것이다. 도장찍기 처럼 내가 사는 근처 아웃도어 수영장을 탐방하기 시작하면서 여행다니는 곳의 수영장도 방문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3년 전, 한국 들어가는 길에 멜번에 사는 친구를 만나기 위해 호주를 방문 한적이 있었다. 멜번으로 가는 직항이 없기도 했고,  Bondi iceberg club에서 수영하기 위해서 7시간 동안 시드니에 머물렀다. 순전히 수영하기 위해서.... 조금 힘들긴 했지만, 굉장히 재밌는 경험이었다. 초딩님이 소개해주신 이 책을 보고선, 나중에 런던 방문 할때에는 리도에서 발차기 좀 하고 오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별 0.5개 

 

김사과라는 작가가 궁금해서 읽었는데, 잘 모르겠다.

작가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건지..영 감이 잡히지도 않고 공감할 수 있는 구석이 별로 없다.

인간의 완악한 마음을 드러내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는데, 그렇다면 인간의 완악한 마음의 반대되는 마음은 어떻게 작용되고 드러내지는지....어둡고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 마음도 때로는 드러내 그것도 우리의 마음이라고 호소하고 동의를 얻어 내는 것으로도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얘기할 수 있지만 그래도 그렇게 드러냄의 목적과 작가의 생각은 읽혀져야 하는데...난 읽혀지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