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어웨이 6
이토 아키히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지오브리더스의 국내 발매가 완전히 중단되고 블랙 라군은 뭔가 염장물이 되어가고 있는(그럴리가!?) 이 험한 시기에, '탄피의 숫자로 승부한다'는 진리를 한점 가감없이 수행하고 있는 만화, 런 어웨이.

주역급 3명과 그 주변에 얽히고 섥힌 인간들이 대전차로켓과 RPG와 개틀링으로 난타전을 벌이는 판국에, 표지에 있는 나이스한 누님들은 총+칼로 스타일리시 액션을 하고 있다. 정말로, 어디로 보나 뭘로 보나 이거 "할리우드 님들아 제발 영화좀 만들어주세요" 라고 말하는 느낌이랄까...

헐리우드에 비하면 전반적으로 사건전개가 복잡한데다 캐릭터가 너무 많고 '악당' 골드스미스가 아직까지도 배후인물로만 나오고 있어 복수가 요원하다는 문제가 있긴 해도, 콘티라는 걸 만들 필요가 없으니 돈은 좀 저렴하게 먹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의 지혜 - 꽃에서 펼쳐지는 탄생과 소멸의 위대한 생존 드라마
모리스 마테를링크 지음, 성귀수 옮김, 조영선 그림 / 김영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블랙 아이언'이라는 제목으로 재출간되기도 했는데, 전반적으로 별로 맛없는 국수주의적 결전물인지라 취향에 안 맞았었다. 별을 주자면 반 개쯤?

하지만 한 가지만은 마음에 들었었다. 외부의 공격에 대해 식물이 반응하는 방식을 진지하게 묘사한 것인데, 비록 '외부의 적'이 악랄할정도로 강력한 최신 개조 해충이기에 대응이 늦었지만 먼 곳에서 전해져 온 외적 침입 소식을 듣고 내부의 화학공장을 가동시켜 강력한 방어선을 구축하려는 모습, 그리고 식물들간의 의사소통과 투쟁은 나에게 많은 영감을 느끼게 했다.

그리고 이 '꽃의 지혜'는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과학적인 묘사와 설명이 아니라,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시인인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시적 표현법이지만, 가장 수동적인 존재라고 생각하는 식물을 가장 능동적인 존재로, 발아애서 죽음까지를 욕망과 지혜를 가진 존재로서 그려내는 모습은 아주 매력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맨헌트 - 링컨 대통령 암살범 추적, 그 처절했던 12일간의 기록
제임스 L. 스완슨 외 지음 / 행간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에이브러햄 링컨이야 잘 알려져 있지만('다시 보기'가 유행하는 최근에는 뭔가 이상한 쪽으로 알려져 가기도 한다), 에이브러햄 링컨의 암살범인 존 윌크스 부스에 대해서는 얼마나 알려져 있을까.

이 책은 존 윌크스 부스를 핵심인물로 하여 대통령 암살에서부터 체포까지 12일간의 도주극을 진지하게 추적하고 있다. 어디까지나 링컨 위인전의 마무리를 닫는 단역 캐릭터였을 뿐인 부스에게도 그 배경이 있고, 링컨이 죽은 다음에야말로 그 캐릭터가 살아나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특기할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캐럿! 1
와타나베 요시토모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이 나왔단 말인가아아아아아아
돌아버리겠군요 고기우동 카레우동 간장우동~(뭔 소린지는 보면 암)

평범한 여자아이가 마법나라에서 온 공주님과 만나 마법소녀가 되는 이야기. 라는 거슬러올라가면 천사소녀 새롬이(...그러고보니 나도 본 적이 없긴 하군...)까지 이어지는 무지막지한 역사를 지닌 정통적인 장르지만,

개그다.

다만 이 업계에 대해 좀 아는 사람을 번역에 써 주면 안되는 걸까 하는 고민이 있달까... 마벼와 마법소녀는 완전히 다른 거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레이스 VOL. 1 팝툰 컬렉션 3
고영훈 지음 / 씨네21북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요즘은 미드(미국 드라마) 열기도 많이 가라앉은 모양이지만, 작년까지만 해도 미드의 기세는 거의 파죽지세였다. 그런 미드들도 한국에서 배워갔는지 방영연장하다가 최근에는 완전히 망가졌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지만...

그 중 재미있었던 것이 '히어로즈'다. 미국적인 영웅들의 일상생활을 진솔하게(?) 그려낸 '히어로즈'는 위대한 아메리카의 상징으로서 완벽하고 절대적이던 그때까지의 영웅들과는 달리 때로는 우연에 의해 히어로가 되었고 때로는 히어로로서 태어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주변에 있는 평범한 소시민으로서의 히어로를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인기를 끌었었다.

바로 그 점- 영웅의 절대성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보통 사람과 다른 힘을 지닌 보통 사람이 그 힘을 이용해서 영웅적인 행동을 하는 과정을 주목하고 있다는 점에서 '트레이스'는 '히어로즈'와 유사한 면을 지닌다.

'트러블'이라는, 현대 과학으로는 대적할 수 없는 괴물이 출몰하는 세계, 그리고 그 '트러블'과 싸울 수 있는 힘을 지니게 되는 트레이스... 그러나 남과 다른 힘을 지니게 된다는 것이 한국 사회에서 어떤 평가를 받게 되는가. 그 점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야말로 '트레이스'의 특징이라고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