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간 상자 ㅣ 베틀북 그림책 86
데이비드 위스너 지음 / 베틀북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바닷가에서 우연히 줏어올린 상자속에는 사진기와 사진이 들어 있습니다. 사진기와 사진이 왜 시간상자가 될 수가 있는가요? 이 책을 쳐다보면 알게 됩니다. 쳐다본다는 것은 또 무슨 말인가라고요? 이 책은 읽을 수가 없습니다. 그저 쳐다보는 수밖에요. 이 책에는 글씨가 없고 그림만 있기 때문입니다.
그림만 있고 글씨가 없는책. 그러면 아이들이 보는 그림책이 아닌가라구요?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아이들이 보아도 재미있을만한 책입니다. 그러나 어른들이 보아도 잔잔한 여운을 얻을수 있는 중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책입니다. 쉽게 받아들이면 아주 쉽고, 깊이 받아들이면 가슴에 긴 여운이 오랫동안 남을 수 있는 그런 책이기 때문입니다.
사진기와 사진이 시간상자가 되는 것은 중복되는 과정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사진을 들고 찍은 사람이 든 사진이는, 그 이전의 사진을 들고 찍은 사람의 사진이 들어있습니다. 또 그 사진 속엔느 그전에 그 사진기로 또 다른 사람의 사진을 들고 찍은 사람이 들어 있습니다. 한 사진과 다른 사진 사이에는 과연 얼마만큼의 시간의 거리가 존재하는 것일까요.
그 이상한 시간박스를 발견한 아이는 또 자신이 그 사진을 들고 사진을 찍습니다. 수많은 시간을 거쳐서 만들어진 중복되는 사진에 또 한번의 사이클이 더하여진 것입니다. 그리고 아이는 그 상자를 다시 바다로 흘려 보냅니다. 그 상자는 바다밑 깊은 곳을 돌고 돌아서 한참의 시간이 지난후에야 또 다른 아이의 손에 들려집니다. 그래서 그 상자는 헤아릴수 없는 많은 시간의 기억을 담고 있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