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유재원 교수의 그리스, 그리스 신화 타산지석 2
유재원 지음 / 리수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두 개의 그리스가 존재한다. 역사적 존재로의 그리스와 현실로 존재하는 그리스이다. 그리스에 도착해보면 만나는 그리스의 풍경들은 분명 그리스의 현실이다. 그 모습에서 과거의 그리스를 찾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리스에는 분명히 그리스 특유의 낭만이 있다. 비록 유럽 선진국에 비해서는 결코 화려하지 않고 수더분하거나 어쩌면 소란스럽고 지저분하게 보일수도 있다. 그럼에도 그리스에는 그리스 나름의 멋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끊임없이 많은 관광객을 불러 모으고 있는 것 일게다. 그러나 현존하는 실제의 그리스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지금은 더 이상 실존하지 않는 과거의 그리스의 모습이다. 누군가의 말처럼 소멸하는 것은 그것이 없어짐으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기억이 지워질 때 비로소 사라지는 것이라면, 아마도 또 하나의 그리스는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 같다. 신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진 저자를 따라서 그 불멸의 그리스를 만날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연 날리는 소년이었다
신영길 지음 / 나무생각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이칼 호수. 내륙 한가운데 있는 그 거대한 크기의 바다같은 호수는 신비로운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 곳에서부터 사람을 불러모으는 힘이 있고, 그곳을 다녀온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의 마음속에도 신비로움을 느끼게 하는 힘 말입니다. 이 책은 방송으로 유명한 저자가 바이칼 호수주변에서 마음에 일어났던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글로 적은 책입니다. 바이칼 호수가 가지는 힘이 그분의 오래된 내면에서 이런 여러 가지 상념의 침전물들을 끌어올리고 또 힘을 싫어주는 것인가 봅니다. 조그만 일상의 일들이 그곳에서는 묘한 아름다움을 가진 일들로 변화하게 되고, 또 그런 일상들을 신선한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니 말입니다. 그런 이야기들. 그분의 마음에 영향을 주었던 이야기들이 우리들의 마음에 다가와 또 한번 큰 감동을 주는 그런 작은 이야기들이 모인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화 추적자 - BBC 다큐멘터리 샹그리라.아르고호 원정대.시바의 여왕.아더 왕 이야기
마이클 우드 지음, 최애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신화라는 것은 어떻게 탄생한 것인가. 이 책은 오래된 신화. 그리고 신화라고 하기에는 조금 뭣할 정도로 최근에 생겨난 이야기(신비적인 이야기)들의 탄생과정을 추적하는 책입니다. 어떻게 사람들의 흥미를 끄는 이야기가 탄생하고 구전과 와전과 과장, 인위적인 조작이 가해져서 하나의 설화나 신화가 되어가는 지의 과정은 가장 최근의 이야기인 샹그리라 이야기기 가장 잘 알려줍니다. 또 조금 오래되긴 했지만 아직은 비교적 생생한 자료를 추적할 수 있는 아더왕의 설화가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졌는지를 통해서도 다시 확인되는 것입니다. 같은 방식은 조금 더 오래되고 확인하기가 거의 불가능하지만, 비교적 합리적인 추정은 가능한 시바여왕 전승과, 아르고호 모험이라는 전승에까지 적용이 됩니다. 처음에는 과연 알수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 아르고 호의 모험에 관해서 비교적 수긍이 가능한 방식으로 추적을 해내는 능력이 놀랍습니다. 영국 BBC방송의 내용을 책으로 옮긴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달을 만들었는가
크리스토퍼 나이트 외 지음, 채은진 옮김 / 말글빛냄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참 흥미로운 가정을 가지고 있는 책입니다. 달이 인공물이라는 주장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미국의 우주비행사들이 수차례에 걸쳐 탐사를 했었던 달입니다. 소련과 일본도 달 탐사 로켓을 보냈었고요. 그런데 달이 인공구조물이라는 것은 뜬금없는 소리처럼 들립니다. 그러나 책을 읽어보면 꼭 그렇게 단정할 일도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책의 내용이 상당히 설득력이 있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달은 우연이라고 생각하기에는 묘할 정도로 수학적인 일관성을 가지고 있는 천체인 것 만은 확실합니다. 또 지구상에서 생물의 진화에 알맞은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도 달의 존재는 필수적인 것이었다고 합니다. 그런 주장을 들으면서 달이 정말... 하는 느낌에 빠져들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주장의 사실여부를 떠나서, 흥미로운 주장의 근거들을 읽으면서 재미있는 독서를 할 수 있는 책입니다. 달이 정말 만들어진 인공물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미 FTA 후 직업의 미래 살림지식총서 288
김준성(김농주) 지음 / 살림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FTA를 반대하는 농민들의 시위를 바라보면서 우리는 FTA가 체결되면 농민들이 참 많이 고생하겠구나..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토록 농민들이 반대하는 이유는 한국 농업의 생산성이 미국의 농업보다 떨어지기 때문일 것입니다. 같은 원리를 농민들의 시위를 보면서 측은하게 여기는 우리들에게 적용해보면 놀라운 일이 벌어집니다. 환경미화원에서부터 법률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들이 농민과 같은 입장에 놓이게 된다는 것입니다. FTA체결 대상국의 같은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직종은 예외없이 힘든 상황으로 내몰릴 것이기라는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이랍니다. 물론 어떤 직종이든 노력하기에 따라 살아남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사람이 있겠지만, 자신이 몸담고 있는 직종이 경쟁국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면 같은 노력으로 전보다 더 많은 혜택을 누릴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어떤 직업이 어떤 위상에 놓이게 될지, FTA라는 것을 잣대로 들여다보는 재미가 있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