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이 요리조리 앗, 이렇게 새로운 과학이! 32
마틴 브룩스 지음 / 주니어김영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유전이라는 것은 사람이 그 다음에 유전자가 전해지는 것이다. 사람은 염색체에 유전하는 것이 들어있다. 염색체에 들어있는 것이 그대로 그 사람의 몸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염색체는 반반씩 나누어진다. 그래서 엄마 것하고 아빠 것이 만나서 엄마도 닮고 아빠도 닮는다. 그러니까 꼭 같은 사람이 아닌 것이다. 아이가 엄마 아빠하고 닮거나 행동이 비슷하면면 유전이라고 하는 것도 그래서 그렇다. 행동도 유전이 되는 것 같다. 식물들이 꽃가루를 나누는 것도 사람이 유전자를 나누는 것하고 똑같다. 그래서 식물들도 자시들하고 같은 식물을 또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런 것이 다 유전자가 관련되어 있는 것이라고 하니까 재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쪽같은 가상현실 앗, 이렇게 새로운 과학이! 34
크리스 옥슬레이드 지음, 이상헌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0년 10월
평점 :
절판


 

매트릭스 영화를 본적이 있다. 그 영화에서 사람들은 매트릭스가 현실인줄 알고 산다. 매트릭스도 가상현실이다. 매트릭슬 정도는 아닌데 요즘은 가상 현실이 많다. 영화도 가상현실중의 하나다. 옛날에는 가상현실에 관한 영화도 많이 나왔다. TV에도 사람이 실제로는 없는 집속에 들어가는 것이 나오고 한다. 가상현실은 컴퓨터로 만들어낸다. 컴퓨터 기술이 발달해서 그런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데, 너무 똑같이 만들어 내니까 진짜 같은 생각이 드는 것이다. 사람이 그렇게 정확한 것을 만들어 낼수 있는 것을 보니까 진짜 기술이 많이 발달한 것 같다. 기술이 더 발달하면 어떤 세상이 될지 궁금하다. 더 좋은 세상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공룡을 갖고 싶어
하이어윈 오람 지음, 사토시 키타무라 그림, 정영목 옮김 / 예림당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알렉스는 욕심이 많은 아이다. 그래서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은 해야 한다. 알렉스는 공룡을 좋아한다. 그래서 공룡을 키우고 싶다고 우긴다. 그래서 부모님이 공룡을 구해서 가져다 준다. 어떻게 구해왔는지는 안나온다. 이 책은 아이들이 보는 책이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그런 것을 신경 안쓰고 그냥 재미있어 한다. 프레드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런데 프래드는 집을 엄망으로 만든다. 예의도 없고 덩치가 커서 문제다. 먹는 것도 엄청나게 많이 먹어 치운다. 집에 있는 것은 그냥 다 먹는다. 옆집의 고양이까지도 먹어버린다. 거기다가 공룡은 자기가 사는 곳하고 안 맞으니까 몸이 안 좋아진다. 그러니까 아이들이 우겨서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하면 이런 일이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 단추 - 내가 커서 어른이 되어도 변하지 않을 이야기
고정욱 지음, 유준재 그림 / 샘터사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아이들이 가지면 좋은 습관에 관해서 가르쳐준다. 첫단추라는 것은 옷을 입을 때 제밀 먼저 단추를 끼우는 것이다. 그래서 첫단추를 잘 끼워야지 옷을 잘 입게 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이 책은 아이들 때부터 좋은 습관을 가지면 나아가 들어서도 좋게 되는 습관을 이야기 한다. 아이 때부터 그런 습관을 가지고 계속 해나가면 어른이 될 때까지도 그런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런데 아이 때 그런 습관을 가지지 않으면, 그런 습관을 가지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손해를 보게 된다. 그래서 첫단추가 중요한 것이다. 이 책에는 여러 가지 좋은 습관들을 알려준다. 그래서 지금부터라도 시작해야 되는 습관들하고, 어른이 되어서도 잊으면 안돼는 습관들을 알려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를 위한 화해 어린이 자기계발동화 2
전지은 지음, 김성신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좋은 책인 것 같다. 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하고 잘 지낼 수 있을지를 가르쳐주는 책인 것 같아서 좋은 것 같다. 이 책은 현우가 주인공이다. 현우는 이사를 가서 전학을 하게 되었다. 그러니까 아는 친구가 한사람도 없어서 불편하다. 친구들하고도 사이가 안 좋아서 고민을 하고, 윗 층에 사는 형인 성규형하고도 사이가 안 좋다. 성규형은 장애인이라서 친해지기가 힘들고, 전학을 간 학교친구들하고는 잘 해 볼려고 하는데, 잘 안돼서 고민이 많다. 그래서 현우가 고민을 하니까 선생님이 도와주신다. 그래서 친구들하고 오해도 풀리게 된다. 또 성규형도 처음에는 사이가 안 좋았는데 나중에는 서로 친하게 된다. 그래서 고생을 했지만 나중에는 서로 화해를 하고 사이가 좋게 지내게 된다. 나는 사람들이 전부 친하게 지냈으면 좋겠다. 사이가 안좋게 지내는 것은 안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