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짝! 아이디어 11 - 전쟁 무기편 깜짝 시리즈 11
게리 베일리 지음, 이상헌 옮김, 스티브 보울터 그림, 이인식 감수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전쟁무기에 관한 책이다. 전쟁에는 훌륭한 지휘관하고 병사도 있어야 하고 또 작전도 훌륭해야 한다. 강감찬 장군이나 을지문덕 같은 장군은 머리도 좋고 부하들을 잘 다스려서 전쟁에서 적이 많아도 이겼다. 그렇지만 전쟁에서 무기도 중요하다. 좋은 무기를 가지고 있으면 적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 엄청난 무기가 있으면 적이 기가 죽어서 싸울 생각을 못하고 도망가게 할수도 있다. 옛날에는 청동무기보다 철기 무기가 더 셌다. 활도 더 멀리 날아가는 활을 만드는 것이 기술이었다. 그러면 튼튼한 방패나 갑옷을 만드는 기술이 또 필요하다. 나중에는 총을 만들었다. 총도 더 세고 명중이 잘 되는 것을 만들어야 한다. 또 한방만 맞아도 죽을 수 있으면 더 좋은 것이다. 나중에는 기관총도 나오고, 대포도 나왔다. 전차나 미사일 비행기 같은 것을 사람들은 자꾸 개발한다. 그래서 무기가 점점 더 좋아진다. 그렇지만 전쟁은 안했으면 좋겠다. 전쟁을 하면 사람들이 죽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헬렌 켈러 새시대 큰인물 14
햇살과나무꾼 지음, 성미리 그림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헬렌케러는 대단한 사람이다. 다른 사람은 그렇게 절대로 못할 것 같다. 위인전을 읽다보면 대단한 사람도 많고 훌륭한 사람도 많다. 그런데 나는 헬렌켈러가 제일 훌륭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엄청나게 힘든데도 그것 때문에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포기하지 않는 사람도 많지만 위인들은 거의 다 포기 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그런데 그런 위인들 중에서도 헬렌켈러는 제일 힘든 것을 참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헬렌 켈러는 듣지도 못하고 보지도 못하는 사람이다. 그런데 날 때부터 그런 것이 아니다. 태어나고 나서 아이때 이상한 병에 걸리고 나서 그렇게 된 것이다. 그러니까 더 힘이 든다. 처음에는 볼 수 있었는데 나중에는 못보고 못듣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헬렐켈러는 열심히 공부를 했다. 그래서 아는 것도 많고 훌륭한 사람이 되었다. 그래서 다른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서 열심히 살았다. 나는 이런 사람이 정말 훌륭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준 새시대 큰인물 10
박상률 지음, 김상섭 그림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의 훌륭한 위인전을 읽다가보면 서자로 태어난 사람이 많다. 조선시대에는 서자는 출세를 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도 서자로 나서도 열심히 노력해서 훌륭한 사람이 된 사람이 많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니까 자신이 불리하더라도 열심히 노력하면 훌륭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허준도 서자로 태어났다. 그런데 허준도 열심히 노력을 했다. 처음에는 허준한테 의술을 가르쳐 주지 않을려고 하고 구박도 많이 했다. 그런데도 허준은 참고 노력을 많이 했다. 그러다가 자기가 열심히 연구한 것이 환자들을 잘 고치니까 결국 사람들이 허준을 인정을 해준다. 실력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자는 하기 힘든 내의관이 되었다. 내의관은 임금님의 병을 치료하는 사람이다. 그러니까 제일 훌륭한 의사라고 인정을 받은 것이다. 그래도 허준은 열심히 노력을 해서 나중에 동의보감이라는 책을 썻다. 이 책은 지금도 우리나라사람들이 제일 훌륭한 책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약용 새시대 큰인물 12
햇살과나무꾼 지음, 김형관 그림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나는 이 책을 보니까 정약용이 훌륭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았다. 정약용은 조선시대에 살았던 선비다. 그래서 공부를 열심히 했다. 그런데 정약용은 무조건 책에 쓰인것만 읽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책에는 좋은 이야기들이 많이 있지만 백성들이 살아가는데 별로 도움이 안되는 것들이 많다는 것을 알은 것이다. 그래서 정약용은 정말로 백성들한테 도움이 되는 것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때는 정약용하고 비슷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몇 명있었다. 그런 사람들을 실학파라고 한다.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연구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또 정약용은 고을을 다스리면서 정말로 백성들에게 도움이 될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연구를 많이 했다. 그래서 쓴 책이 목민심서인데 이 책은 굉장히 유명하다고 한다. 그런데 정약용은 천주교를 믿었다고 유배를 갔다. 그런데 유배를 가서도 계속 열심히 공부를 하고 책을 많이 썻다. 그래서 요즘 사람들은 정약용을 훌륭한 사람이라고 존경을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편리한 자동차 세상 : 자동차 공학 - 앞으로 보고 뒤로 보는 과학 세상 원더랜드 9
전광민.맹성준 지음, 이경택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나는 학원에 갈때도 자동차를 타고 간다. 걸어서 가도 되지만 자동차를 타고 가면 훨씬 편하기 때문이다. 자동차를 타면 멀리 여행을 갈수도 있다. 비도 안맞고 다닐수 있고, 빨리 갈수도 있다. 그런데 옛날에는 자동차가 없었다. 자동차는 헨리포드라는 사람이 발명했다. 그래서 미국에는 지금도 포드 자동차 회사가 있다. 우리나라는 자동차를 만든지 50년 정도 됐다.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는 자동차를 잘 만드는 나라가 됐다. 옛날에 나온 자동차는 지금하고는 많이 달랐다. 또 자동차들이 많이 바뀌었다. 옛날 자동차 모양은 이상하다. 딱정벌레처럼 생긴차도 있었다. 그런데 그 차가 오래동안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자동차 중에는 특수한 차도 있다. 스포츠 카나 경주용으로 만드는 차는 잘 볼수가 없다. 그런 차들은 기술이 좋은 회사가 기술을 자랑할려고 만든다. 그런데 자동차를 많이 타면 공해가 많이 나와서 안좋다. 그래서 요즘은 자동차 회사들이 공해를 줄이는 자동차를 만들려고 연구하고 있다. 자동차는 자꾸 발전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