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9.28. 장편독서모임]

열하일기 마지막 모임이었다. 한 번 놓치면 따라잡기 쉽지 않은 터라 많은 분들이 참석하지 못하셨다. 정예멤버 8명이 토론을 했는데, 난 항상 적은 인원을 선호하는 편이라 오붓하고 좋았다. (개미의 최저 5명 참석은 깨지지 않았다.)
게다가 신입회원님께서 신고식을 하신다며, 엄청 맛난 간식(꽈배기, 귤, 음료 등)을 잔뜩 싸오셔서 풍성하기까지 했다.

첫 한 시간에는 요술구경 등 다양한 이야기가 나왔다. 두번째 시간은 하권의 하일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옥갑야화의 허생전 이야기가 주를 이뤘다. 어디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정말 많은 해석이 가능했던 작품이었다.

나는 늘 덜렁 허생전만 읽어왔던 터라,이번 기회에 문맥을 좀 읽고 싶었다. 옥갑야화 시작은 조선의 역관과 중국의 단골 주인 이야기이다. 역관이 거짓으로 큰 돈을 빌리고 그 밑천으로 장사를 해서 큰 돈을 벌지만, 원금을 갚기 싫어서 중국 들어가는 사람에게 자기가 역병으로 죽었다고 거짓말을 해달라 부탁한다. 중국 가는 사람은 찜찜했지만 그렇게 전했고, 단골주인은 그 소식을 듣고 울면서 장례 비용까지 내준다. 다시 돌아와보니 정말 그 역관이 역병으로 죽어서 그 돈으로 장례를 치러준다.

흐름을 봤을 때, ‘돈‘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쓰는 것이 잘 쓰는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건 아닐지 그런 맥락에서 허생전을 바라보니 또 다른 관점으로 읽혀서 신선했다.

완독을 자축하는 분위기다. 혼자였으면 절대 안 읽었겠지만, 함께 해서 보물을 얻은 느낌이라고 범님은 말씀하셨다.
혹시나 바로 열하일기 완역본을 읽기 힘드시다면 고미숙샘의 책을 추천해 드리고 싶다. 나도 이걸로 열하일기 입문하여 완독까지 하게 되었으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9-30 05: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9-30 09: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노푸 9개월만에 샴푸하다!]

파마를 했기 때문이다~ㅋㅋ
첨 노푸를 시작할 때 노푸족들은 미용실을 어떻게 가지 싶었는데, 어느 정도 적응이 되니 한 두번 샴푸질은 아무 상관이 없다 생각이 들었다- 역시 미리 걱정은 다 쓸데 없음~ㅋㅋ

노푸는 나의 삶이 되어서 글 쓸 일이 없었는데, 9개월만에 첨으로 파마를 하느라 샴푸질을 했다.
딴 소리지만 미용실의 그 누워서 머리를 감겨주는 의자는 넘 탐난다.

늘 파마가 잘 안나오고 금방 풀렸는데, 머리카락에 힘이 좀 생겼으니 이번엔 어떨지 궁금하다. 느낌이 아니라 진짜 힘이 생긴건지 판가름 할 수 있는 기회일 거 같기도 하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8-09-30 05: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0-02 21: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0-03 15: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열하일기 -중
박지원 지음, 리상호 옮김 / 보리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8. 9. 14 장편독서모임]

열하일기 중권은 끝까지 못 읽으신 분이 많았다. 나도 ‘곡정필담‘은 위기였다. (사실 그거 뛰어넘어서 뒤에 일신수필과 요술구경부터 읽음)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은 박지원이 절을 지나다가 오미자 몇 알 집어먹고 그 절의 스님에게 지청구 먹고,그걸 분하게 여긴 창복이가 황제 운운하며 그 스님과 싸우는 장면이었다.
작은 것이 크게 번지는 나비효과를 이끌어 내는 과정이 온당했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눴다.

토론으로 가장 열띠었던 부분은 단연 황교문답이었다. 현재의 티벳불교라 할 수 있는 종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데 활불(=린포체)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환생의 문제를 다뤘고, 또한 인과응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가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다.

일님이 신경과학자들의 발표에 의하면 영혼은 없다고 하셨고, 신의 존재와 영혼의 존재는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는 의견을 던지셔서 논쟁이 붙었고, 뜨악해 하시는 분들도 많았다. 일님은 기독교인이었기에 다른 기독교인분들이 특히 충격을 받으신 듯했다. 암튼 무영혼설은 앞으로 영혼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때마다 생각날 듯 하다...ㅎㅎ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틈에 2018-09-18 18: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대단하십니다.^^;; 저도 <열하일기>는 꼭 완독해보고 싶어요. 마지막까지 화이팅~!!

붕붕툐툐 2018-09-18 23:37   좋아요 0 | URL
ㅎㅎ함께 읽기는 힘이 세다!! 그동안 완독 못한거 독서토론 모임 하면서 다 읽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홧팅!!^^
 
거북이는 언제나 거기에 있어
존 그린 지음, 노진선 옮김 / 북폴리오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특별토론 2018.9.4]

컥 얼마나 지나서 쓰는 글인가.
일단 책은 제주도 푸른 밤에 혼자 호텔에서 읽었지... 언제나 재미있어질까 하면서....
이런 신경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힘들까 싶어 하면서... (키스할 때 세균을 생각하다니!!)

역시 책이 이러니 토론도 지지부진. 책 내용은 거의 나오지 않았다... 존 그린 전편을 원작으로 한 영화는 참 좋았는데... 내가 원작을 안 읽어 봐서 그런걸까 아님 작가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 9. 2 연극 만원 시리즈 ‘호야‘]

이번 연극은 우여곡절이 많다.
예상치 않게 MBSR에 참여하게 되면서 2시 연극을 5시로 미뤘고, 그마저도 늦어서 5시 13분에 입장했다. 일단,첨으로 늦어보니 좀 늦어도 들어갈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걸 첨 알았다. 그러나 연극의 문제인지 첨부터 안 봐서 문제인지 몰입이 되진 않았다.

이 연극을 꼭 봐야겠다고 생각한 건,
1. 지문을 다 대사로 처리하는 독특함이 끌렸다.
2. 사람 사는 도리에 대해 왕에게 이야기하는 내용이라고 해서 그게 궁금했다.

1은 그런대로 괜찮았다. 새롭기도 했고, 생동감 있기도 했다.
2는 정말 약했다. 뭔가 더 극적으로 풀어갈 거라 기대했는데, 배우의 대사 한 줄로 처리되었다.


연극에서 강약 조절은 정말 중요한 거 같다. 소리만 빽빽 지른다고 전달이 잘 되는 건 아니니까... 근데 약간 하이톤이 많아 듣기가 좀 힘들었다. 왕이 조금 더 고정하셨으면 좋았을텐데 아쉬움이 남았다.

같이 가 준 친구의 표를 내가 끊었음에도 불구하고 조금 미안한 정도.. 그래서 저녁도 내가 샀다.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