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배의 남편이 차려준 맛있는 아침상.


후배 남편은 독일 시립 오페라 극단의 오페라 가수다. 공연의 시간에 따라 출 퇴근 시간이 달라진다. 오늘은 조금 일찍 출근을 하면서 밥상을 차려 놓고 갔다.

시차 적응이 안돼서 늦은 기상을 하였고, 후배는 덩달아 나와 같이 늦은 아침을 먹게 되었다.


장을 보지 못해 아침상을 허술하게 차려 놓아서 미안하다고 밤새 걱정을 했다는데, 서울 생활 아침중에 이런 훌륭한 아침을 먹어본적이 없다.

너무 맛있는 아침상을 먹으며 후배에게 너 이렇게 대우 받으며 사냐? 물었더니 그렇단다. 부러운 눈빛 쏴주고 아침 식사 완료

 

 

 

 

 

 




늦은 아침을 먹고 중앙역에 가기로 했다. 티켓도 끊어야 하고, 한동안 쓸 유심을 사야 했다.

비가 왔지만 우산을 쓴 사람들을 찾기가 어렵다.

다시 비가 그치고 또 내리고 반복적인 날씨였다.

이런 날은 그냥 우산을 쓰지 않고 맞는다고 한다. 기능성 좋은 고어텍스 소재의 방수 신발과 자켓을 입고 있으면 비를 맞으며 그냥 걸어 간다는 후배는 비가 오자

가방에 넣은 고어텍스 자켓을 꺼내 입고 비를 맞으며 걸어 갔다. 내츄럴한 삶이구나.

나는 아직 관광객이니 그럴수 없다며 우산을 꺼내 들고 길을 걸었다.


한달 교통권을 끊기로 했다.

트램과 버스, 짧은 구간의 기차를 탈 수 있는 이 티켓의 한달 가격은 55.50이다.


유심은 o2에서 1기가를 10유로에 구입했다. 한국에서는 한달에 2기가도 부족하지만 쓰고 충전 할 수 있다니 그냥 우선 1기가 사용을 해 보기로 했다.

이제 어디든 갈 수 있고, 와이파이에 목 말라 하며 카페에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사기로 한 것들을 모두 끝내고 산을 잠시 올라 프라이버그의 시가지를 구경하기로 했다.

처음 후배 집에 도착했을때는 유럽을 온 것 같은 느낌이 없는 도시적인 곳이라 이곳이 맞는 것인가 생각했다. 잠시 밖을 나오니 이런 멋진 곳을 볼 수 있었다.

이곳도 참 좋은 곳이구나. 갑자기 따뜻한 바람이 가슴속을 휘몰다가 사라졌다. 독일로 오기 전 내게 일어났던 일들을 떠 올리며 울쩍했던 시간들을 떨쳐내고 싶었다.

너무 빨리 달라진 일상에 한동안 모르고 살다가 이렇게 밖을 보며 있으니 나의 삶이 조금 달라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드디어 독일 맥주!

필을 먼저 선택했다.

많이 씁쓸한 맛이다.




그리고 프랑크 소시지와 학센과의 만남.

고소하고 부드럽고. 참 이상한 녀석이네!




아직은 관광객 모드로 있는 나의 시간은 계속 될것 같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7-06-12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침상에 제가 좋아하는 반찬들이 많군요. 버섯 구이를 양배추, 깻잎에 싸서 먹으면 맛있습니다. 이렇게 먹으면 아침에 고기 구워 먹는 느낌이 들어요. ^^

오후즈음 2017-06-12 16:43   좋아요 0 | URL
건강식으로 준비한 상차림이 좋았어요. 독일서 한국식 식탁이었습니다^^

붕붕툐툐 2017-06-12 2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독일에 계신 오후즈음님이 부럽습니다!!ㅎㅎ

오후즈음 2017-06-13 15:08   좋아요 0 | URL
다신 없을 호사를 누리고 있습니다. ^^

oren 2017-06-13 16: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후즈음 님의 글과 사진을 보니 3년 전 이맘때 독일에서 마셨던 온갖 맥주들이 생생하게 다시 떠올라 미칠 지경이네요. 보름 이상 거의 매일 ‘독일 맥주‘를 마셨지만, 독일을 떠나 한국에 되돌아오니 금세 독일 맥주가 그립더군요. 아무쪼록 독일에 계시는 동안 맥주만큼은 실컷 드시고 오세요~ ☞ http://blog.aladin.co.kr/oren/7084974

오후즈음 2017-06-24 20:58   좋아요 1 | URL
oren의 말처럼 독일 맥주를 실컷 먹어야 하는데 이제야 시차 적응이 완료 되서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마셔 볼까 합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프라이버그로 가는 기차 안


약 석달동안 이곳에 머물기로 했다.

 

 

 

 

 

후배의 집
큰방을 내게 주었다.
한동안 이곳은 나 홀로 쓰는 방이 되었다.

잘 지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_ 두바이

 

 

 

 




유로를 쓰는 그리스에서 두바이로 넘어오니 당연히 돈의 단위가 바뀌었다.

유로에서 드르함이라고 말하는  돈 단위.


공항 환전소에서 소량만 환전을 했다. 그때 환전 금액을 큰 단위 없이 작은 단위로 바꿔야 했었는데 생각없이 받았더니 큰돈만 남게 되었다. 이동을 위해 택시를 타고 택시 기사에게 100디르함을 내 놓으니 자신은 잔돈이 없단다.

택시 요금은 36 디르함이 나왔다. 우리 나라 돈으로 100 디르함은 약 3만원 정도 된다. 아니, 택시 기사에 잔돈도 없이 타다니...결국 잠시 주차된 택시 기사들에게 양해를 구해 돈을 작은 단위로 바꾸다. 택시 기사는 나에게 60 디르함만 주었다.

돈 바꾸느라 시간 갔고, 자기는 잔돈이 전혀 없다며 나에게 4디르함을 주지 않았다. 4디르함은 1200원 정도 되는 돈.



사실 유로로 치면 4디르함은 1유로 정도 되는 금액이다. 며칠전에 우리는 기분이 너무 좋아서...(같이 간 언니가 잘 모르고 잔돈은 주지 마세요 한 그 잔돈이 4유로 였다....5천원 넘어 언니....이 언니야!ㅋㅋ) 이렇게 팁도 준적 있으니 그냥...줘도 된다고 생각하지만 이건 우리가 주는 것이랑 빼앗긴 것이랑 너무 다른 문제다.


그런데 이게 택시만 그런게 아니었다. 간혹 작은 마켓도 그렇게 잔돈을 주지 않고, 택시는 제일 많이 그랬다.

(두바이 너무 더워서 우리는 택시 투어라고 할만큼 이동 거리를 대부분 택시로 했으니...택시 탈만큼 탔고 잔돈 못 받을 만큼 못 받았으니...)



그래서 택시를 타기 전에 음식점에서 큰 돈을 내고 잔돈을 받자며 큰 돈을 냈다. 맛있는 음식점에서 음식값을 내고 잔돈을 가져다 주기전까지 우리가 한 일은 남은 금액을 큰돈이 아닌 작은 단위로 찢어 놓는 것이었다. 그전에 상점에서 기념품을 몇 가지 사고 남은 금액을 어떻게 소량으로 찢어 가져야 하냐며 서로 머릴 맞대고 있는데, 이런 우리의 모습이 웃겼는지 음식점에서 이렇게 음식값의 남은 잔액을 5디르함씩 총 8장을 줬다.



그렇게 원했던 잔돈을 받아 들고 우리는 서로를 보며 빵터졌다.

잔돈을 가져다 준 직원을 보자 직원이 우리를 보며 웃고 있었다.

우리는 엄지척을 하며 고맙다고 얘기 했고, 그녀는 흐믓해 하는것 같았다. 옆에 남자 직원도 같이 "어때? 맘에 들어?" 뭐 이런 얼굴로 웃으며 우릴 보고 있었으니....사실  민망하다가 그들의 센스에 다시 또 한번 엄지척! 너희들 너무 좋다!  


택시 기사 때문에 짜증난 마음을 그녀의 배려가 깃든 5디르함 폭탄 센스에 누구러졌다. 그녀 때문에 그날의 음식은 더 맛있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05-24 22: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24 22: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참 검소하게 나오는 호스텔의 조식.
너무 먹고 싶은 그리스의 그릭 셀러드였다.
삼일동안 매일 이렇게 똑같이 나와도
이상하게 맛 있고 든든하다.

한국으로 돌아가면 이렇게 검소하게 살아야지.
하지만 반전은 역시 그리스 물건으로 가득찬 케리어라는것.
아직 삼일이나 남았는데 케리어 확장했다.

큰일이라면서도 쇼핑엔 눈이 번쩍 뜨인다.
다행히 명품은 안중에도 없고 1~3유로짜리 마그넷과 그림 액자라는게 얼마나 다행인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05-18 07: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오후즈음 2017-05-18 21:05   좋아요 0 | URL
쇼핑은 정말 ㅋㅋ 멈출수없어요

2017-05-18 07: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18 21: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지난 토요일부터 무거운 돌덩이 두 개가 가슴을 쳐댔다. 힘들었다. 이정도 나이를 먹었으면 나도 이제 좀 적응하면서 아무렇지 않게 넘어 갔으면 좋으련만. 스스로 다독이며 시간이 약이라고 말해도 그 하루가 멈춰진 시간처럼 점을 찍으며 하루를 맞이하는 것이다. 결국 집어 든 것은 책이었다. 나를 달래줄 그 무엇은, 오직 책뿐이었다.

 

다섯 번째 논어를 읽는 시간이다. 논어를 읽으면 누가 사람이 된다고 하던데, 나는 아직 멀었나보다. 아직도 작은 상처_ 아니 사실 이것은 마음의 큰 구멍일지도 모르겠다_에 어찌 할 바를 모르겠다. 하지만 몇 달 전에 사 놓은 막영애씨의 작가의 책을 통해 나는 더 위로 받고 있다. 수많은 칼라 텍을 붙이면서 다시 읽고 또 읽고, 작가의 말에 공감을 하면서 울고 싶었다. 나와 같은 상흔의 흔적에 이렇게 처절하게 또 하루를 보낸 사람이 있다니.

 

 

 

며칠 지나니 토요일 같은 그런 자존감이 떨어져 나간 마음은 없어졌다. 그래, 시간이 약이구나. 내가 책 읽는 것을 좋아해서 참 다행이다. 이렇게 또 나를 위로할 책을 하나 얻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