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년에 세계의 순환 고리를 연결한 것은 바이킹 탐험가들이었다. 그들이 역사상 처음으로 물건이나 메시지가 전 세계를돌 수 있게 만들었으니 말이다. 물론 우리는 (아직은!) 전 세계를돌았던 품목의 세부 사항에 관해 알지 못한다. 그래도 1000년에전 세계를 잇는 통로들의 네트워크가 형성된 것이 가정이 아닌 사실인 것은 분명하다." 그해에 바이킹이 캐나다를 탐험함으로써유럽에서 아메리카로 가는 길이 열린 것이다. 1000년을 세계화에관한 이 책의 출발점으로 삼으려는 것도 그 때문이다. - P54
1000년에는 대다수 선원이 추측항법으로 항해했다. 육안과태양, 달, 별들의 움직임에 관해 알고 있던 나름의 지식에 의존해항로를 결정했다. 육분의를 이용한 무슬림 항해자는, 그리고 정확히 1000년 무렵에 선상용 자기나침반을 만들고 있던 중국인들은중요한 예외였다. 42뱃일에 숙련된 폴리네시아인과 바이킹 항해자들은 파도, 해초, 새의 비행 패턴, 땅의 윤곽을 주의 깊게 관찰해 항로를 정했다. - P51
.현 부자네는일제치하에서 장사로 거부가 된 사람이었다. 그의 치부가 일본 관의 비호를 받았다는 파다한 소문이 거짓이 아닌 것은 신작로에서제각에 이르는 넓고 긴 진입로 양쪽에 하필이면 ‘사쿠라‘를 줄줄이심은 것이었다. 현 부자네가 망한 이유에 대해서 분분한 소문이 떠도는 가운데 그 ‘고래등 같은 기와집들‘로 불리어지던 호화로운 별장은 일시에 밤마다 귀신이 나오는 폐가로 변하고 말았다. - P19
The world‘s idea of African geography is flawed. Few people real-ize just how big it is. This is because most of us use the standard Mer-cator world map. This, as do other maps, depicts a sphere on a flatsurface and thus distorts shapes. Africa is far, far longer than usuallyportrayed, which explains what an achievement it was to round theCape of Good Hope, and is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the SuezCanal to world trade. - P117
"하이고, 누구넌 안 그러고 잡겄소. 열 손꾸락 깨밀어 안 아픈 손꾸락 없는디, 사흘거리 찾어오는 독립군덜헌티 다 골고로 주고 잡제라. 근디 우리가 원체로 배터지게 묵고 사는 부자라 논게 고것이그리 안 되느만이라 지주헌티 딸기제, 관리헌티띤기제, 마적헌티기제, 마름헌티기제, 소작살이 신세배터져 죽는 것 아시겄제라잉."필녀는 여전히 샐샐 웃고 있었다. - P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