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 뇌과학과 신경과학이 밝혀낸 생후배선의 비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데이비드 이글먼 著, 김승욱 譯, 알에이치코리아, 원제 : Livewired: The Inside Story of the Ever-Changing Brain )”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생후배선(livewired)이라는 신경과학적 개념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한 동안 뇌가 가진 신경 가소성 (neuroplasticity)의 개념이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신경가소성이란 성장과 재조직을 통해 뇌가 스스로 신경 회로를 바꾸는 능력으로 학습, 기억등에 의해 신경세포 및 뉴런들이 자극-반응에서 적합하게 환경에 적응해가는 변화하는 능력으로 뇌가 가진 적응성을 의미합니다. 저자는 신경가소성이라는 개념이나 용어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뇌가 가지는 특징을 모두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성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태어났을 무렵 뇌는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나, 자라면서 상황과 환경에 맞게 적응하면서 모습을 바꾸고, 연결하고, 발전하는 개념으로 생후배선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뇌는 기계나 전자 회로와 같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 책의 주제입니다. 물론 뇌가 아주 백지상태에서 태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기본적인 생명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장착하고 있으며, 인간의 경우 언어를 흡수하고 다른 존재를 모방하는 능력 등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배운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빠와 엄마를 볼 수도 있지요. 하지만 인간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태어나면서 장착된 기본 프로그램만으로는 살 수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대중 매체를 통해 접하는 뇌의 모습은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 구역에서 각각 구체적인 일을 담당하고 있는 모습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형적인 뇌의 모습은 뇌를 설명하는데 아주 부족합니다. 뇌라는 시스템은 매우 역동적이고 주변 환경과 우리가 받아들이는 자극에 따라 항상 그 회로를 바꾸고 있습니다. 뉴런은 한번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그 연결점을 찾아 헤메고 있다고 합니다. 뇌는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항상 변하고 반영하며 조정합니다. 


이렇게 뇌는 역동적이며 항상 변화하는 존재입니다. 


얼마 전 흥미로운 기사를 읽었습니다. 태어났을 때 뇌의 2%만을 가지고 태어난 아이가 10살이 되었을 때 80%까지 뇌를 성장시켰다는 이야기였습니다. (https://www.lancs.live/news/local-news/boy-born-2-brain-beats-25794757 ) 이 기사를 읽으면서 이 책, “우리는 각자의 세게가 된다”에서 설명하고 있는 생후배선이라는 개념이 더욱 와 닿았습니다. 인간은 아직도 뇌를 비롯한 신경계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많은 과학자들이 신경 과학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우리일 수 있게 해주는 기관이지만 아직도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 신기하면서도 앞으로 더욱 더 많이 알아갈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점에서 더욱 흥미로웠던 독서경험이었습니다. 




#우리는각자의세계가된다 #데이비드이글먼 #김승욱 #알에이치코리아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유물론 입문 - 새로운 물질성과 횡단성
문규민 지음 / 두번째테제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유물론 입문 (문규민 著, 두번째테제)”는 신유물론에서 논의되는 주요 테마들을 설명하면서 주요 이론가들의 사상을 소개하는 책입니다. 



신유물론은 단일한 이론이나 학파는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관통하는 일관된 주제가 있는데 이 책에서는 이를 새로운 물질성(new materality), 횡단성(transversality)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책에서 신유물론의 다양한 이론들과 이론가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최근 포스트휴먼이라는 주제를 통해 잘 알려진 철학자 로지 브라이도티 (Rosi Braidotti)에 대한 내용이 눈길을 끕니다. 


유물론 (唯物論, materialism). 오로지 물질만이 있다는 형이상학적, 철학적 입장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관념론에 대비되는 개념이지요. 과학적 방법론을 가능하게 했던  이 유물론은 새로운 과학적 사실들이 발견되면서 물질의 경이로움, 행위성, 능동성 등에 주목하는 새로운 존재론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고 합니다. 바로 신유물론 (新唯物論, new materialism)입니다.


저자는 신유물론이라는 용어가 오해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지적하는데, 신유물론이라는 용어는 ‘구유물론’에 대비되는 개념이 아니라 최근 유물론의 다채로운 이론적 사조를 통칭하는 우산 용어(umbrella term)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알려주고 있습니다. 아마도 로지 브라이도티가 이야기한 ‘유물론의 새로운 형태 (a new form of materialism)이라는 표현이 더욱 적절할 지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인가 달라졌기에 ‘새로운 형태 (new form)’나 ‘신(new)’으로 개념화를 했을 텐데, 그 새로움이 무엇일까요?

고대와 근대의 유물론은 물질이 수동적이며 창조적이지 않는 종속적인 존재로 이해하고 있는데 반해, 신유물론은 물질의 능동적이며 창조적인 존재로 이해한다는 차이가 가장 크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이런 물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현대 과학의 성과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즉, 물질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정의가 신유물론이 기존의 유물론과 구분 짓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 로지 브라이도티의 저작을 읽으면서 신유물론에 대한 기초와 전반적이며 개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는데 이 책, “신유물론 입문”을 통해 어느 정도 충족이 되는 독서 경험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신유물론입문 #새로운물질성과횡단성 #문규민  #두번째테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타더스트 패밀리 안전가옥 오리지널 21
안세화 지음 / 안전가옥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타더스트 패밀리 (안세화 著, 안전가옥)”을 읽었습니다. 


(이하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우연찮은 기회로 초능력을 얻게 되어 비정규직 스파이로 살게 된 배씨 일가족. 

어느 날 능력이 사라져버리게 되고, 정신병원에 갇히게 됩니다. 온 가족 모두 ‘망상장애’라는 진단을 받게 됩니다.

정말 초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사라졌을까요? 아니면 애초에 초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는데 팍팍한 현실을 견디다 못해 온 가족이 망상장애를 가지게 된 것일까요?


‘원래 미친 사람들은 자기가 미친 줄 몰라요’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정신병원에서 탈출하려는 생각을 가진 배씨 가족.

그러다 자신들이 망상장애가 아니었음을 알려주는 결정적 단서를 발견합니다. 

온갖 소동을 벌이면서 드디어 탈출 성공!


하지만 이내 이어진 배신 그리고 세상을 정화하겠다는 빌런의 등장.

온 가족이 힘을 합쳐도 이겨낼 수 없는 능력을 가진 빌런입니다. 능력을 주면 공평하게 줘야지 왜 이렇게 차별을 하냐구요!


연 이은 시련으로 인해 궁지에 몰린 배씨 가족. 어떻게 이 역경을 헤쳐나갈 수 있을지.



미소를 띄우며 읽어나가다 보면 어느새 현실의 페이소스를 진하게 느낄 수 있는 “스타더스트 패밀리”는 어반 판타지 계열의 장편소설입니다. 마치 단맛과 쓴맛이 조화롭게 이어지는 커피와 같다고나 할까요? 



빠르게 읽어 나갈 수 있도록 높은 가독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이야기 구조 역시 탄탄해서 흥미롭게 읽었고, 책장을 덮으면서 안세화 작가의 다음 작품을 기대하게 만든 작품이었습니다.


덧붙이는 말 : 안세화 작가는 ‘의외로’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작가더군요. 하지만 장르물을 위주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으며 “남매의 탄생 (비룡소)”를 통해 주목을 받고 있는 작가입니다.


#스타더스트패밀리 #안세화 #안전가옥 #몽실북클럽 #몽실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섹타겟돈 - 곤충이 사라진 세계, 지구의 미래는 어디로 향할까,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올리버 밀먼 지음, 황선영 옮김 / 블랙피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2년 1월, 흥미로운 뉴스가 눈길을 끌었습니다. 바로 꿀벌 집단 실종 사건입니다. 전국적으로 관찰된 이 사건은 군집 붕괴 현상의 하나로 여러 원인이 지목되었는데 기후 변화와 과도한 농약 사용이 유력한 원인으로 파악되기도 했습니다. 꿀벌의 군집 붕괴 현상은 농산물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 2006년 미국에서 벌어진 꿀벌 군집 붕괴 현상으로 인해 밀과 콩, 옥수수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꿀벌은 생태계의 중요한 일원일 뿐 아니라 인간이 영위하는 산업의 한 축을 지탱하기도 하는데, 농작물의 1/3이 곤충의 수분에 의지하고 있고, 그 80%는 꿀벌이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꿀벌이 사라진 후의 세계는 그야 말로 암울하기만 합니다.


“인섹타겟돈 (올리버 밀먼 著, 황선영 譯, 블랙피쉬, 원제 : The Insect Crisis: The Fall of the Tiny Empires That Run the World )”에서 알려주는 현실은 더욱 두렵습니다.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하나의 사례를 볼까요?

‘지난 27년 동안 동물보호구역에서 날아다니는 곤충의 총 생물량(biomass)이 75%이상 감소했다’라는 연구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독일의 자연보호구역 63개소에 서식하는 곤충의 개체군을 장기간 연구했는데 1989년 이후 관찰된 곤충의 연간 무게가 무려 76%나 감소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심지어 여름철에는 82%나 감소했다는 충격적인 사실 역시 밝혀 냈습니다. 




무려 ‘보호구역’에서 조차 이렇게나 많은 곤충들이 사라지고 있다면 전 세계적으로는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을지 상상 조차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많은 언론에서는 곤충의 멸종이 이미 시작되었다며 ‘생태학적 아마겟돈’이라 일컬으며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학자들은 보다 차분한 어조로 중요한 사실을 일깨웁니다. 총 생물량의 감소도 중요한 경고이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바로 ‘종’의 감소임을 말이지요. 총 생물량의 감소는 회복이 가능하지만, ‘종’의 감소는 돌이킬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앞선 논문에서 중요한 점은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종의 멸종은 생태계라는 거대한 천을 이루는 실이 하나 둘 씩 빠져나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곤충을 일반적으로 방제의 대상으로 봅니다. 앞서 이야기한 꿀벌이나 나비가 아닌, 모기와 파리 등을 생각해보면 쉽게 공감할 것입니다. 이렇듯 보통의 우리는 곤충을 공존해야 할 생태계의 일원으로 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곤충은 동물종의 70%가 넘는 80만 종에 달하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일원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곤충이 소리 없이 멸종하고 있습니다. 당장에는 느끼지 못하겠지만 시간이 어느 정도 흐른 뒤 우리 주변을 날아다는 곤충의 수는 현저히 감소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때가 되면 이미 늦었을 수도 있습니다. 이미 생태계는 붕괴하고 있을테니까요.





#인섹타겟돈 #올리버밀먼 #황선영 #블랙피쉬 #리뷰어스클럽 #생태환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맛의 과학 - 맛이라는 세계의 경이로움을 파헤치다!
밥 홈즈 지음, 원광우 옮김, 정재훈 감수 / 처음북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음식을 먹을 때 의식적으로든 혹은 그렇지 않든 간에 맛에 대한 평가를 합니다. 이건 맛있다, 이건 맛없다 등등. 그런데 우리가 느끼는 맛이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학교 다닐 때 배웠던 단 맛, 짠 맛, 신 맛 등 세포가 느끼는 개별의 맛을 뇌가 받아들이는 것일 뿐이라 치부해버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압니다. 우리가 맛있다 맛없다라고 평가하는 것은 단순한 개별의 맛 뿐이 아니라는 것을요. 하지만 이것을 언어의 형태로 풀어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거나 글로 표현하는 것은 정말 어렵습니다. 맛은 지식이 아니라 ‘느낌’이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맛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역시 사실입니다. 

“맛의 과학 (밥 홈즈 著, 원광우 譯, 정재훈 監, 처음북스, 원제 :  Flavour: A User's Guide to Our Most Neglected Sense )”은 그런 궁금증을 상당수 해결해주는 책입니다.  




맛 본다, 맛을 느낀다는 행위는 혀에서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맛을 느낀다는 것은 굉장히 복잡한 감각 작용의 결과물인 것입니다. 책에서 저자는 맛을 느끼는 것은 맛도 중요하지만 후각이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지적합니다. 심지어 저자는 후각에 느껴지는 냄새를 맛의 핵심이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은 우리가 언제나 사용하고 있고 잘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 후각의 작동 원리가 냄새 분자에 대해 후각세포가 어떻게 이를 인식하는지 의견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 이론 체계가 과학적으로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고 합니다. 맛을 느끼는 감각은 꽤나 단순합니다. 맛은 영양분 있는 음식을 섭취하게 하고, 그렇지 않은 음식은 피하게 하기 위한 감각으로 진화하였기에 어찌 보면 ‘예’와 ‘아니오’로 단순화할 수도 있는 문제입니다.

하지만 냄새는 그 수많은 분자들의 냄새를 세포가 파악을 해야하는데 여기에도 여러가지 이론들이 있다고 저자는 설명합니다. 냄새 물질이 그를 인식하는 수용체에 결합하면서 냄새를 느낀다는 것이 최근의 주류 학설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 수백 종의 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냄새를 맡은 경우 하나의 수용체만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대응하는 수용체들이 한꺼번에 활성화되면서 냄새를 인식한다는 것인데 이에는 당연히 불협화음이 일어날 수 있음에도 뇌는 이를 하모니로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이 책의 전반부는 우리가 맛을 어떻게 감지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후반부는 음식의 맛을 설명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우리가 맛을 느끼는 원리와 더불어 어떻게 맛을 구축하고 설계할 것인가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맛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 화합물로 메인이 되는 맛을 결정하고 여기에다 맛의 처음에 나타났다 바로 사라질 수 있기 ‘톱노트’를 층층히 쌓은 다음, 차별화 요소를 부여하여 맛의 개성을 부여하는 등의 맛을 설계하는 과정이 매우 흥미로울 뿐 아니라 맛이라는 감각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맛의과학 #밥홈즈 #원광우 #정재훈 #처음북스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