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의 시대 - 찬란하고 어두웠던 물리학의 시대 1900~1945
토비아스 휘터 지음, 배명자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사 관련 책을 읽어보면 20세기 초가 유독 돋보이는 지점이 있습니다. 물론 그 이전까지 과학적 성과와 업적들이 쌓여 비로소 꽃을 피운 시점이 20세기 초여서 그렇기도 하지만, 이 시점에 빛나는 업적을 쌓은 분들이 워낙 많기도 해서일 것입니다. 



아인슈타인 (Albert Einstein), 마리 퀴리 (Marie Curie), 하이젠베르크 (Werner Heisenberg), 슈뢰딩거 (Erwin Schrödinger) , 파울리 (Wolfgang Pauli), 폴 디랙 (Paul Adrien Maurice Dirac), 막스 보른 (Max Born)), 닐스 보어 (Niels Bohr), 플랑크 (Max Planck), 헨드릭 로렌츠(Hendrik Lorentz) 등 언뜻 떠오르는 이름만 생각해도 엄청난 과학자들 이름이 이 시기에 등장했습니다.



도대체 이 시대에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요? “불확실성의 시대 (토비아스 휘터 著, 배명자 譯, 흐름출판, 원제 :  Das Zeitalter der Unschärfe: Die glänzenden und die dunklen Jahre der Physik)”는 바로 이 시기, 물리학의 시대를 다룬 책입니다.





상대성 이론과 양자 역학 이전까지 물리학에 의해 규정된 세계관은 바로 결정론적 세계관이었습니다. 하지만 막스 플랑크의 흑체 복사 연구는 이러한  세계관에 균열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는 에너지가 연속적이지 않고 불연속적인 단위로 존재한다는 것을 비로소 밝혀냈고, 이것을 양자 (Quantum)라 이름을 붙입니다. 이 시기가 바로 1900년입니다. 이 연구는 양자 역학라는 미답지에 인류가 발을 디디게 된 계기가 된 연구이기도 합니다. 또한 1905년, 또 하나의 기적의 해라 불리우는 시기입니다. 바로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이 발표된 해입니다. 


이렇듯 이 책에서 저자는 1900년부터 1945년까지 과학사적 발견, 업적들을 흥미로운 일화와 함께 연대기 순으로 차근차근 되짚어 봅니다. 그럼으로써  20세기 전반기의 물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발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높이는 한 편 이 시기에 이루어진 업적들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와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어떻게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책에서 발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인사이트는 과학은 결코 당대의 과학으로만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 이전의 과학적 성과에도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얽히고 설킨 문화적, 정치적, 사상적, 경제적 맥락에서도 반드시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것이지요. 


 



이 책에서 저자는  과학적 사실과 업적이 폭발적으로 쏟아지던 이 시기의 물리학 역사에 대해 상세하고 접근하기 쉬운 설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과학은 단순히 그 끝단에 있는 단말적 지식이나 사실보다 그 지식과 사실이 나오게된 배경과 맥락이 더욱 중요합니다.  그렇기에 과학 개념이 가진 깊이와 복잡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특정 사실이나 지식을 이해하는데에는 과학사를 훑어보는 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책 역시 아마도 그러한 목적에 의해 집필되었을 것이라 추측되고, 그 목적을 충실히 달성할 수 있는 훌륭한 책이라 평가하고 싶습니다.   





#불확실성의시대 #토비아스휘터 #배명자 #흐름출판 #과학 #과학사 #물리학 #물리학의역사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확실성의 시대 - 찬란하고 어두웠던 물리학의 시대 1900~1945
토비아스 휘터 지음, 배명자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자의 개념을 발견한 1900년부터 원자탄에 의해 2차 대전이 종결된 1945년까지 폭발적으로 늘어난 과학적 성과에 대한 통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욕망의 뇌과학 - 뇌과학이 풀어낸 마음의 비밀
폴 J. 잭 지음, 이영래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욕망의 뇌과학 (폴 J. 잭 著, 이영래 譯, 포레스트북스, 원제 : Immersion: The Science of the Extraordinary and the Source of Happiness)”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면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으로 이끌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하는 책입니다. 인간 행동을 다루는 심리 분야 전문가인 저자는 이 책에서 인간을 행복으로 이끄는 열쇠가 바로 몰입(Immersion)에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저자는 5만 명 이상이나 되는 사람들의 신경학적 몰입을 측정한 이후 특별한 것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역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되었다 주장합니다. 이 접근법을 저자는 ‘예측 변수로서의 뇌’로 명명하고 있습니다. 그는 이를 통해 영화나 TV 프로그램이 대박을 터뜨릴지, 어떤 매장이 다른 매장보다 매출을 더 올릴 수 있을지 83~97%의 확률로 예측할 수 있다고도 주장합니다. 그리고 무엇이 성공할 지 예측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이유까지 파악할 수 있다고도 이야기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까지 저자가 강하게 주장하는 몰입의 개념부터 살펴봅시다. 저자는 입이란 시간이 멈춰 있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활동에 완전히 몰입하고 몰입하는 상태라고 주장합니다.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에 몰입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행복하고 성취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를 인용하면서 몰입의 개념과 몰입이 행복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설명합니다. 


또한 저자는 몰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경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비디오 게임, 영화 감상, 음악 감상, 심지어 종교 예배 참석 등 다양한 활동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들은 모두 몰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행복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몰입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이를 활용해 삶을 개선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합니다. 일상 생활에서 몰입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팁과 조언을 제공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더 큰 행복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중요하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일상에서 몰입 경험을 키움으로써 더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행복으로 이끄는 열쇠가 한 두가지 일 수는 없지만 행복의 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이 책에서 주장하는 많은 근거들은 크로스 체크나 팩트 체크가 필요할 것을 생각합니다. 


 



#욕망의뇌과학 #폴J잭 #이영래 #포레스트북스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예로 조선을 꿈꾸다 - 정조의 리더십과 무예도보통지
최형국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예로 조선을 꿈꾸다 (최형국 著, 인물과사상사)”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무예서인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를 통해 정조 시대를 고찰해보는 대중 인문학 서적이자 대중 역사학 서적입니다.



저자인 최형국 박사는 중앙대에서 한국사 박사 학위를 받았고, 무예사와 문화사를 연구하는 학자임과 동시에 무예24기 전수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자는 무예를 연구하고 역사학 공부에 연결시키는 것은 무예가 단순한 전투 기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무예가 가지는 인문학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새로운 몸 문화의 틀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 믿고 있습니다. 



특히 무예도보통지는 정조가 가진 정치적 비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대중매체에서 흔히 다루는 정조의 모습은 정적들과의 싸움, 자신의 친부인 사도세자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국내 정치적 상황만을 다루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마도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는 일성이 강력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저자가 주목하는 정조의 모습은 조금 다릅니다. 정조 2년, 정조는 ‘경장대고’를 통해 민산(民産), 인재(人才), 융정(戎政), 재용(財用) 4대 개혁을 표방하였습니다. 민산은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것이고, 인재는 좋은 교육을 통해 사람을 길러내고자 하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합니다. 또한 융정은 국방력을 강화하여 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 것이며, 재용은 국가의 재정상태를 건전하게 운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경장대고는 단순히 선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용주의 정신에 입각해 실제 개혁을 단행하여 당시 조선을 부국강병한 나라로 만들어냈다 저자는 평가합니다. 


이러한 부국 강병을 이룩하려는 의지의 표명 중 하나가 바로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입니다. 변화한 전략 전술에 맞춰야 하기도 하고, 무예 동작 하나 하나를 그림으로 표현해야 하기에 무예도보통지를 편찬하는 작업은 정조 한 명이 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여기에 바로 간서치 (看書痴) 이덕무, 초정(楚亭) 박제가, 야뇌 (野餒) 백동수입니다. (네 무사 백동수, 그 사람입니다.)


정조는 이 세 사람을 직접 불러 ‘선배들의 아름다운 뜻을 이어받아 후세 사람들에게 비난받지 않도록무예에 대한 배움을 소중하게 정리하라’며 현실에만 머무르지 말고 과거와 미래를 아우르는 무예지를 편찬하기를 강조했습니다. 





정조의 이상향을 저자는 ‘통(通)’이를 한 글자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정조 당시 편찬되거나 개찬된 많은 책들의 이름에 ‘통’이 많이 붙어 있는데 이는 바로 정조가 꿈꾼 18세기 조선의 이상적 모습, 즉 비전을 담은 것이라 이야기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무예도보통지’를 바라보아야 이 무예서의 의미가 제대로 읽힌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무에로조선을꿈꾸다 #최형국 #인물과사상사 #문화충전 #문화충전200


 


 


※ 본 포스팅은 네이퍼 카페 문화충전200%에서 주관하는 서평단에 선정되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은 후 필자의 주관으로 솔직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자 조각가들 - 타이레놀부터 코로나19 백신까지 신약을 만드는 현대의 화학자들
백승만 지음 / 해나무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자 조각가들 (백승만 著, 해나무)”는 신약 개발과 관련한 현대적 의미의 연금술과 연금술사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대중과학서적입니다. 


저자는 이 책의 서두에 글리백 (이마티닙) 개발과 관련한 이야기를 피에타상과 대비하여 들려줍니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에 특효인 이 약은 처음 개발된 이후, 기대 수명이 4년 밖에 안되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가 생명을 이어나가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글리백의 주성분인 이마티닙의 분자 구조는 탄소 19개, 수소 22개, 질소 4개, 산소 한 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처음 미약한 활성을 찾아낸 최초의 화합물은 탄소 10개, 수소 9개, 질소 3개로 이루어져 있었고, 많은 화학자, 생물학자, 의사들이 달려들어 결국 이마티닙이라는 물질을 만들어냈습니다. 이 과정은 마치 조각가가 원석을 찾아 해메고, 또 원석을 하나 하나 깎아 내 위대한 예술작품을 만들어내는 과정과 비슷합니다. 아마도 이 약을 먹는 환자들에게 글리백은 피에타상 보다 더욱 아름다운 조각품일 것입니다. 


연금술 (鍊金術). 흔한 금속을 금(金)으로 만들어내기 위해 행해졌던 학문입니다. 현대 과학이 밝혀낸 사실에 의하면 원자 단위를 다룰 수 있어야 가능한 기술이어서 당시 기술로는 어림도 없는 시도였지만 한 때 뉴턴이 한창 빠져있기도 했을 만큼 당대 많은 학자들이 도전했던 학문이기도 합니다.  

현대에도 연금술에 도전하는 과학자들이 있습니다. 차이점은 중세 연금술사의 얼토당토 않은 그런 학문이 아니라 분자 단위 조작을 통해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내려 하고 있고, 실제로 성공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COVID-19는 우리 삶을 송두리째 바꿔 놓을 만큼 거대한 흐름을 만들어냈습니다. 대부분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지만 많은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들도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m-RNA 백신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COVID-19 이전에는 당분간 구현이 불가능한 기술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미증유의 사태로 인해 막대한 예산을 배정받을 수 있었고, 결국에는 성공해냈습니다. m-RNA는 개발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일단 개발하고 나면 다른 항원에 대해서도 쉽게 적용 가능한 플랫폼 백신으로 활용하기 쉽다는 매우 큰 장점이 있습니다. 즉, COVID-19 팬데믹 사태는 향후 감염병에 대해 인류가 대항할 무기 하나를 만들어내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디서도 접하지 못한 분자 조각 및 신약 개발과 관련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바로 이 책, “분자 조각가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자조각가들 #백승만 #해나무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