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시대, 인간의 일 -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야 할 이들을 위한 안내서, 개정증보판
구본권 지음 / 어크로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롤리 (광차, 鑛車)가 선로를 따라 내려오고 있는데 트롤리가 진행하고 있는 선로 위에 다섯 명의 사람이 있습니다. 그리고 변경 선로 위에는 한 명의 사람이 있습니다. 당신은 선로 밖에서 선로변경기를 잡아당길 수 있는 유일한 사람입니다. 이때 선로를 변경하면 선로 위의 다섯 사람은 살겠지만 변경선로에 있는 한 사람은 확실하게 죽습니다. 만약 당신이 선로를 변경하지 않는다면 트롤리가 진행하고 있는 선로 위에 있는 다섯 명의 사람이 죽겠지요. 만약 당신이 그런 상황에 처해 있다고 하면 선로변경기를 잡아당기겠습니까? 아니면 그대로 놔둘까요?

위 문제는 트롤리 딜레마 (Trolley Problem)로 긴급 피난에 있어 선택의 문제에 대한 윤리학적 사고 실험의 대표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질문은 과거에는 윤리학적, 철학적 문제에 불과하였지만 자율주행자동차가 현실화되면서 실질적인 문제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트롤리 딜레마의 경우 극단적인 사고 실험이었지만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 운행 중에 언제나 맞닥뜨릴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되는데 이때 AI가 판단해야 하는 기준을 사전에 설정해 놓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보죠.

“운행 도중 브레이크 고장이 난 자율주행자동차 앞에 A, B 두 사람이 있습니다. 핸들을 돌리면 A가 살고 B가 죽습니다. 핸들을 돌리지 않으면 B가 살고 A가 죽습니다. 이때 AI는 누구를 선택해야 할까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3&aid=0003407327&sid1=001)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자동차는 자율주행기술 Level 1~2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는 주행 환경의 모니터링 및 통제의 주체가 사람이고 AI는 보조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지요. 하지만  테슬라, 구글,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많은 기업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고 이미  Level 3의 자율주행기술을 일부 기업들에 의해 선보이고 있습니다.  Level 3는 AI가 주행 환경의 대부분을 모니터링, 통제하고 사람에 의한 보조적 개입이 필요한 조건부 자동화(Conditional Automation)입니다. 이러한 Level 3의 자율주행기술부터 과연 운전자의 문제인가 아니면 AI, 즉 제조사의 문제인가를 다퉈야 하기 때문에 교통사고의 책임 문제는 조금 복잡하게 됩니다. 사람의 개입이 불필요하고 개입 자체가 오히려 위험할 수도 있는 상황이 되는 Level 5까지 발전하게 되면 (이때는 도로 및 교통 환경 자체도 자율주행자동차에 맞춰지게 되겠죠) 더욱 이런 문제는 중요한 문제가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앞서 이야기한 트롤리 딜레마를 비롯해 윤리적, 철학적 문제들이 AI에 있어 중요하고도 현실적인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수 천년간 인류가 고민해온 윤리, 철학이 고답적이고 현실에 유리된 질문이 아니라 AI로 인해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필요한 질문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지요.


이 뿐만 아닙니다. 인류사에 길이 남을 2016년 알파고 쇼크 이후 많은 사람들은 AI가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고 당장 내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 당장 21세기식의 러다이트 운동이라도 해야 하는 것인가 하는 고민도 있었지요. 그리고 우리 아이들은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가져야 하는지도 고민하고 있을 겁니다. 이러한 고민에 힌트를 줄 수 있는 “로봇 시대, 인간의 일 (구본권 著, 어크로스)”이 출간되었습니다. 


“로봇 시대, 인간의 일”은 이번에 새롭게 출간된 책은 아니고 2015년에 초판이 출간한 책인데 그간의 변화를 업데이트하였고, ‘인공지능 예술’, ‘인공지능 판사’ 등 2개 장을 추가하여 개정증보판으로 다시 출간된 것입니다. 저자인 구본권 박사는 한겨레에서 IT 전문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면서 사람과 기술, 디지털 문명의 조화롭고 건강한 관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디지털 인문학자로도 유명합니다. 아마 구본권 박사라는 이름을 들어보시지 못한 분들도 ‘잊혀질 권리’와 ‘디지털 리터러시 10계명’ 등은 한 두 번 정도 들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이 책은 AI 시대에 인간이 만나게 될 질문을 총 12개로 범주화하여 제시하고 그 답이나 힌트를 구본권 박사의 인사이트를 통해 풀어내고 찾아가는 과정을 기록한 책입니다. 구본권 박사가 고민하고 있는 질문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보도록 하죠.


1. 누구를 죽이고 누구를 살릴 것인지를 알고리즘에게 맡길 수 있는가?

2. 두뇌활동을 아웃소싱할 것인가?

3. 지식이 공유되고 정보의 유효기간이 점점 짧아지는데 대학이 필요한가?

4. 내 직업은 10년 후에도 살아남을 것인가?

5. AI가 만들어낸 문학, 회화, 음악은 예술인가?

6. 노동은 로봇이, 우리는 여가를? 

7. 로봇이나 AI와 사랑을 할 수 있을까?

8. 특이점에 달한 AI는 인간을 위협할 것인가?

9. 인간은 AI에 대해 어떤 경쟁력을 가지고 있나? 

10. AI에게 판결을 맡겨도 되나?

11. 더 이상 망각이 존재하지 않는 사회에서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12. AI와 소통하기 위해 그들의 언어와 생각을 배워야 하는가?


이미 우리가 신문이나 방송을 통해 한번씩은 접했던 질문들입니다. 하지만 그런 질문들을 이렇게 모아놓고 디지털인문학자의 시선과 인사이트를 따라가면서 스스로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는 흔치 않을 것입니다. 기술은 이미 우리 곁에 왔는데 그 기술을 맞이할 준비는 아직 되어 있지 않은 문화 지체 (Cultural Lag)의 상태에 우리는 놓여있는 것 같습니다. 그 기술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지, 그 기술과 어떤 관계를 맺어갈 것인지에 대한 준비와 고민을 이 책을 통해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로봇시대인간의일, #구본권, #어크로스, #인공지능시대를살아가야할이들을위한안내서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별의 벽을 넘어 세상을 바꾼 101명의 여성
줄리아 애덤스 지음, 루이스 라이트 그림, 김혜림 옮김 / 니케주니어 / 2020년 5월
평점 :
절판


큰 아이가 어디를 가든지 함께 하는 책이 있습니다. 바로 ‘Who?’ 시리즈의 “코코 샤넬”입니다. 어느 날 아이에게 “넌 왜 코코 샤넬이 좋아?”라고 무심코 물어봅니다. 아마도 내 머리 속에는 “패션 디자이너라 멋지잖아요”라는 대답이 미리 입력되어 있었을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아이에게서 돌아온 대답은 “여자가 바지를 입을 수 있게 해 주었잖아요”였습니다. 아이가 샤넬 코코라는 인물에게서 받은 감명이 그것 뿐은 아니겠지만 당시 남자만 입을 수 있는 ‘바지’라는 젠더 권력의 상징을 깨부순 샤넬 코코의 이야기가 아이에게는 큰 울림을 줬던 모양입니다. 


위인전하면 다소 고루한 느낌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것은 위인전을 읽는 내내 비슷한 구성에 비슷한 이야기로 울림을 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세상을 살았던 사람이 그 삶 속에서 행했던 노력과 쟁투가 아이들에게 조금이나마 울림을 줄 수 있다면 위인전은 흥미진진하고 충분히 보물과 같은 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 지워졌던 여성들의 업적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출판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덕분에 “있어빌리티 교양수업 : 역사 속 위대한 여성(사라 허먼 著, 엄성수 譯, 토트)”, “세계 여성의 역사 - 인류를 지탱해온 위대한 절반의 사라진 흔적을 찾아서 (로잘린드 마일스 著, 신성림 譯, 파피에)” 같은 책들을 최근에 읽었습니다.  


“차별의 벽을 넘어 세상을 바꾼 101명의 여성 (줄리아 애덤스, 루이스 라이트 共著, 김혜림 譯, 니케주니어)”는 그런 시도의 일환으로 아동용으로 나온 여성 위인 열전입니다. 


책은 101명의 여성 위인을 총 4개 장으로 구성하고 첫번째 장에서는 지도자와 운동가, 두번째 장에서는 과학자와 발명가, 세번째 장에서는 예술가와 작가, 네번째 장에서는 운동성수와 모험가에 대해 이야기해주고 있습니다. 


책에서 알게 된 그동안은 미처 알지 못했던 몇 명의 여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범법자로서 여기에 온 것이 아니라 입법자가 되기 위한 노력의 한 방편으로 온 것이다.”


첫번째로 소개할 분은 에멀라인 팽크허스트 (Emmeline Pankhurst, 1858-1928)입니다. 영국의 사회운동가이자 여성 인권운동가로 여성의 참정권을 위해 싸우셨던 분이에요. 당시 영국은 여성에게는 참정권이 없었고 일정 수준의 재산을 가진 사람에게만 투표권이 있던 나라였어요. 그리고 심지어 여성의 수입과 재산은 남편에게 귀속되는 법률도 있었다고 해요. 에멀라인은 여성선거연맹, 여성사회정치조합 등을 결성하고 “말이 아닌 행동”을 모토로 여성의 참정권을 위해 싸우면서 숱하게 투옥도 되었지요. 자신의 정치적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단식도 감행했는데 여론의 악화를 두려워한 정부로부터 49차례나 강제 식사를 당하기도 했답니다. 그녀의 노력은 30세 이상의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결실을 맺었는데 그녀는 그것에 만족하지 않고 남자와 동일한 투표권을 얻기 위해 노력하다 1928년 6월 14일 세상을 뜨게 됩니다. 하지만 그녀의 노력은 약 한달 후 영국에서 여성에게도 남성과 동등한 투표권을 부여하게 됨으로써 보상받게 되었답니다.


“하늘은 편견에서 자유로운 유일한 곳이다”


다음으로 소개할 분은 베시 콜먼 (Elizabeth "Bessie" Coleman, 1892~1926)입니다. 그녀가 태어난 1892년의 텍사스에는 여전히 흑백차별법이 시행되고 있었어요. (이 흑백차별법은 최종적으로 1965년 효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그런 환경에서 흑인과 아메리카 원주민 (인디언이라는 표현은 차별적이라 요즘은 사용해서는 안되는 말이라고 해요)의 딸로 태어났으니 얼마나 많은 차별을 받았겠어요? 하지만 그녀는 네일숍에서 일하면서 비행사의 꿈을 키웠어요. 하지만 미국의 어떤 비행학교도 그녀를 받아주지 않았습니다. 흑인이며 아메리카 원주민이기도 하고 여자이기도 했기 때문이지요. 그녀는 꿈을 포기하지 않고 프랑스로 건너가 1921년 결국 비행기 조종사 면허를 취득했답니다. 그녀는 최초의 흑인 여성 비행기 조종사이자 최초의 여성 아메리카 원주민 조종사가 되었답니다. 그녀는 많은 유색인종에게 희망이 되었고 그녀의 비행기 조종실력은 그녀를 ‘베시 여왕’이라는 칭호를 가져다 주었지만 그녀는 1926년 비행 도중 추락하여 세상을 뜨게 됩니다. 하지만 인종 차별을 극복한 그녀의 이름은 LA에 베시 콜먼 비행학교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게 되었다고 해요. 


“수학이 지닌 아름다움은 인내심이 많은 추종자들에게만 모습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분은 마리암 미르자하니 (Maryam Mirzākhāni, 1977~2017)입니다. 그녀는 바로 이란에서 태어난 수학자입니다. 이란이라는 나라는 예전에는 이슬람권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도 손에 꼽힐 만큼 성평등을 추구하던 나라였지만 팔레비 왕조가 무너진 이후에는 이슬람 근본주의 체계 하에서 성차별이 가장 심한 나라 중에 하나가 되어버렸어요. 하지만 마리암의 재능과 노력은 엄청난 것이어서 17살이 되던 해인 1994년 국제 수학올림피아드에 이란 대표로 출전하여 금메달을 땄고 다음 해에는 만점으로 금메달을 땄답니다. 이 사건이 대단한 점은 그 전에 이란에서는 여성이 대표로 출전한 적이 없었거든요. 그런데 마리암은 그에 굴하지 않고 학교와 정부에 본인을 출전시켜 주길 강력하게 요구해서 쟁취한 것이었기 때문이에요.

수학계에는 필즈상이라는 것이 있어요. 40세 미만의 탁월한 수학자에게 주는 상인데 4년마다 한번씩 수상하는 상이라 노벨상보다 수상하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마리암은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2014년에 필즈상을 수상했어요. 그것도 대한민국 서울에서요. (필즈상은 4년마다 열리는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시상을 하는데 2014년에는 서울에서 세계 수학자 대회가 열렸거든요)

하지만 그녀는 2017년 40세의 나이로 세상을 뜨게 됩니다. 그런데 이란에서는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마리암의 죽음을 애도하는 기사가 이란의 신문에 실렸는데 히잡을 쓰지 않은 미리암의 사진을 게재한 것입니다. 앞서 이란은 성차별이 가장 심한 나라 중 하나로 공공장소에서 히잡을 쓰지 않으면 처벌하고 신문이나 TV에서도 히잡을 쓰지 않은 여성의 사진을 게재하지 않는데 마리암은 대학 졸업 이후 미국에서 활동하다보니 히잡을 쓴 마리암의 사진을 구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히잡을 쓰지 않은 그녀의 사진을 게재한 것이지요. 국가적인 천재이자 영웅의 죽음 앞에 이란 정부도 원칙을 접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에요.




더 소개드리고 싶은 분들이 매우 많지만 책을 통해 확인하시기를 바라며 이 책을 이제 아이에게 양보해야 할 것 같습니다. 목빠지게 기다리고 있거든요.




#101명의여성, #차별의벽을넘어세상을바꾼, #줄리아애덤스, #루이스라이트, #김혜림, #니케주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험실의 쥐 - 왜 일할수록 우리는 힘들어지는가
댄 라이언스 지음, 이윤진 옮김 / 프런티어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기업에서의 성과관리 기법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BSC나 KPI 같은 성과 지표는 이제 낡은 것으로 치부되고 있으며 agile 기법이나 OKR 같은 성과 지표와 관련한 서적은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지고 경영 매거진들에서는 이와 관련한 아티클로 홍수를 이루며 많은 기업들은 이것이 마치 지상과제인 것처럼 앞다투어 도입하여 변화 관리를 소리 높여 외치고 있습니다. 


‘바뀌지 않으면 도태될 것이다’ 


이제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문화압으로 작용하고 있는 듯 합니다.


하지만 냉정히 생각해봅시다. 이런 흐름이 과연 맞는 방향일까요?


사실 우리는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실리콘 밸리의 기업들과소위 유니콘이라 말하는 “일하기 좋은 직장, 눈이 부신 성과를 자랑하는 기업들’에서 활용하는 기법이라고 하니 우리 회사의 상황과 여건은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도입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아니 애초에 그런 회사들의 성과가 애초에 저런 성과 관리 지표 때문이기는 할까요?


“실험실의 쥐 (댄 라이언스 著, 이윤진 譯, 프런티어, 원제 : Lab Rats: How Silicon Valley Made Work Miserable for the Rest of Us)”에서는 이런 현상을 직장인들이 마치 스키너 상자에 갇힌 쥐와 같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스키너 상자(Skinner box)는 동물 행동을 연구하는 데 사용하는 상자를 의미하며 실험용 동물에게 자극을 주어 나타나는 반응을 통해 특정 동작을 학습시켜 조건형성을 연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즉, 저자는 최근의 직장은 거대한 사회 심리학의 실험장으로 변하고 있으며 직장인은 마치 ‘실험실의 쥐’와 같이 조건형성과 같은 실험을 당하는 존재처럼 되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왜 직장에서 레고 블록이나 맞추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을 할 수 없습니다. 물론 세계 최고의 LSP (Lego Serious Play) 트레이너인 쥴리아는 내향적인 직장인들에게 ‘말할 수 있게 해’주고 경쟁적이며 공격적인 경영진이 ‘고압적이며 어리석게 구는 것을 멈추게’하여 ‘전체 조직을 변화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자신의 직업에 자부심을 드러내지만 저자는 이것이 사이비 종교나 유사 과학과 무엇이 다른 지 알 수 없다고 비판합니다.


이러한 직장 내의 실험은 직업의 불안정성을 키우고,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압력, 감시와 평가를 통한 비인간화의 경험으로 사람들은 불안감과 우울감을 상시로 느끼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고 합니다. 실제 직업 만족도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돈’은 소수의 투자자에게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점차 회사는 이러한 거대한 실험장으로 바꾸면서 점차 직원의 건강과 생명을 관리하는데 신경을 덜 써도 (회사 입장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주주나 투자자에게 더 많은 돈을 벌게 해주고 있습니다.


저자는 다년 간 저널리스트로 활약하다 50대 초반 스타트업 마케팅 전문가로 변신하였습니다. 하지만 그 회사에서 철저한 실패를 겪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책을 출간하고 드라마 시나리오도 집필하였습니다. 당시까지만 해도 자신만의 ‘예외적인’ 경험일 뿐이라 생각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멋진 신세계’에 환멸을 느끼고 실패를 경험한 사람이 저자만은 아니었다고 합니다. 저자는 자신의 실패와 유사한 경험을 다양한 산업에서 많은 직장인이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고 그 원인에 대한 탐구를 시작합니다. 그 결과물이 바로 이 책 “실험실의 쥐”입니다.   




Ps. 페이스북 내 노동자 감시 조직인 쥐잡이팀은 매우 상징적인 작명인 것 같습니다.


#실험실의쥐, #왜일할수록우리는힘들어지는가, #댄라이언스, #이윤진, #프런티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대성 이론이란 무엇인가? - 세상에서 가장 쉬운 물리학 특강
제프리 베네트 지음, 이유경 옮김 / 처음북스 / 202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하나, 우리는 자동차를 운전할 때, 비행기로 여행할 때, 모르는 길을 찾을 때 GPS의 도움을 받습니다.


둘, 킵 손(Kip S. Thorne, 1940~,)은 거대질량 블랙홀의 시각화를 위해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과 협업하여 태양질량의 1억 배가 넘는 거대질량 블랙홀을 모델링하였습니다. 그리하여 2014년, 우리는 영화 ‘인터스텔라’를 통해 스크린으로 강착 원반이 압도적인 거대질량 블랙홀 가르강튀아 (Gargantua)를 보게 됩니다. 


셋, 2015년 라이고 (LIGO, 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wave Observatory)에서 최초로 블랙홀 충돌 과정에서 발생한 중력파를 검출합니다. 이는 중력파가 실재함에 대한 최초의 직접 증거였습니다. 이의 공로로 레이너 바이스 (Rainer Weiss), 킵 손 (Kip S. Thorne), 배리 배리쉬 (Barry C. Barish) 세 사람은 2017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합니다. 


넷, 2019년 인류는 드디어 M87 처녀자리A 은하의 중심부에 자리 잡은 거대질량 블랙홀(태양질량의 약 65억배)의 모습을 촬영하는데 성공하고 같은 해 4월 10일 공개합니다.



이 네 가지 사례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증거하는 관측 혹은 활용 사례들입니다. 우주와 자연을 설명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론 중 하나가 상대성 이론이고 이러한 상대성 이론은 발표된 지 100여 년이 지나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들을 쌓아가고 있습니다.




“상대성 이론이란 무엇인가 (제프리 베네트 著, 이유경 譯, 처음북스)”은 이러한 상대성 이론에 대한 입문서로 독자들에게 보다 쉽게 상대성 이론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입니다. 기본적으로 책을 읽어나가는 데 있어 많은 대중이 어려워할 수 있는 수학적 접근은 최대한 지양하고 사례와 원리 위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냥 쉽지만은 않습니다. 상대성 이론이나 양자 역학의 경우 우주와 자연의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인간의 노력이지만 인간이란 직관과 상식에 지배 받고 있으며 그것을 활용하여 스스로의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우주와 자연은 인간의 직관과는 다른 원리에 의해 움직이고 있으며 과학자들을 포함한 인간은 그 동안 이런 우주와 자연에 대한 오해하여 왔고 이런 오해를 조금씩 벗겨낸 것은 100여년에 불과합니다. 

직관과 상식에 벗어난 우주와 자연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바라보는 나의 시선을 조금 다르게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과학 서적을 읽을 때 과학을 전공한 분들에게 가장 부러운 점은 바로 그들은 그런 도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바로 수학이죠. 

그러므로 과학 작가가 상대성 원리를 설명하면서 수학적 접근을 지양한다는 것은 매우 강력한 도구를 포기하고 대중을 이해시키려는 무모한 시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프리 베네트는 이 책을 통해 그러한 시도를 성공적으로 해냅니다.



그는 매력적인 천체 중 하나인 블랙홀을 통해 궤도 운동, 도플러 효과, 시간 지연 등 상대성 이론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설명을 모두 해내면서 독자의 흥미를 붙드는데 성공합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면서 독자들이 궁금해 할 만한 내용들을 콕콕 집어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을 해줍니다. 


특히 시간과 공간을 통합한다는 아인슈타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이자 일반 상대성 이론의 핵심 아이디어를 통해 우리가 우주와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어 줍니다. 



과학은 한 사람의 천재에 의해 만들어진 학문이 아닙니다. 누군가의 과학적 업적을 다른 과학자가 그 위에 조금씩 덧붙여 쌓아 올린 학문입니다. 그렇기에 뉴턴은 ‘내가 더 멀리 본 것은 내가 거인들의 어깨 위에 있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했을 것입니다. 아인슈타인 역시 인류가 가진 최고의 천재이긴 하지만 그 이전의 과학적 업적이 없었다면 우리는 아인슈타인을 통해 지금 바라보고 있는 우주의 비밀을 엿볼 수 없었을 지 모릅니다.




제프리 베네트라는 작가를 처음 알았는데 이 책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에 소개된 책이 없더군요. 다른 대중과학서는 대중의 흥미를 끌기 위해 과학적 사실에는 위배되지는 않지만 과학적, 수학적 증거는 없는 SF적 상상력(ex. 웜홀, 워프 항법 등)을 가미하는 경우가 많은 것에 반해 (그것이 나쁘다는 이야기는 결코 아닙니다. 상상력에는 제한이 없으니까요. SF적 상상력을 결합한 대중 과학서 저자의 대표 주자인 미치오 가쿠 역시 훌륭한 과학 작가입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증거가 확보된 엄밀한 과학적 사실 위주로 설명하지만 지루하지 않게 이야기를 이어 나가는 솜씨가 예사롭지 않았습니다. 2013년 과학커뮤니케이션상 수상자라고 하더니 그 이유를 분명히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 우주의 비밀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Ps. 책을 읽는 내내 다소 거슬리는 비문과 오역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하지만 허용 범위 안쪽이라 그냥 읽고 있는데 1g를 1그램으로 번역한 것은 너무 심했습니다. 가속도의 단위가 그램일 수 없죠. 보통은 그대로 1g라고 쓰는 것이 맞습니다. 아무리 과학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없는 번역가를 썼다고는 하지만, 초판이 2014년인데 6년 가까이 잡아내지 못한 것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다음 판본에는 해결되기를 바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책입니다.)




#상대성이론이란무엇인가, #세상에서가장쉬운물리학특강, #제프리베네트, #이유경, #처음북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있어빌리티 교양수업 : 역사 속 위대한 여성 - 나는 알고 너는 모르는 인문 교양 아카이브 있어빌리티 교양수업
사라 허먼 지음, 엄성수 옮김 / 토트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사 이래로 역사를 기록한 것은 대부분 남성이었습니다.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남성이 젠더 기득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많은 분야에서 여성의 업적은 자연스레 지워져 왔습니다. 


어렸을 적 읽었던 위인전을 한번 떠올려봅니다. 100권, 200권을 자랑하는 위인전 전집 대부분은 남성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여성 위인은 마리 퀴리 (그것도 퀴리 부인이라고 되어 있지 마리 퀴리라고 이름을 명시하지도 않았던 것 같습니다), 신사임당, 나이팅게일 정도만 기억나네요.

하지만 5천년에 가까운 역사 시대에서 위대한 여성이 정말 열 손가락에 들 정도로 얼마 없었을까요? 아마도 아닐 것 같습니다.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최초로 촬영한 로절린드 플랭클린은 확인된 사실에 의하면 노벨상을 받은 왓슨과 크릭에 의해 업적이 지워졌습니다.

에이다 러브레이스는 미처 만들어지지도 않은 찰스 배비지의 해석기관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인류 최초의 프로그래머가 되었습니다.

세실리아 페인은 태양이 수소로 이루어졌고 우주에는 수소가 가장 많은 원소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그녀의 박사논문을 통해 발표하지만 다른 남성 천문학자들에게 무시를 당했습니다. 심지어 지도 교수인 헨리 러셀은 논문을 발표하지 말라고 권유할 정도였습니다. 


저는 이 여성들을 30대에 들어서야 비로소 알게 되었습니다. 역사 속에는 얼마든지 위대한 여성이 있었지만 기록이 남겨져 있지 않거나 숨겨져 있어 지금까지 기억되지 못하고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매우 많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최근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역사 속 위대한 여성들을 발굴하는 출판 작업이 자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있어빌리티 교양수업 – 역사 속 위대한 여성 (사라 허먼 著, 엄성수 譯, 토트, 원제 : Who Knew: Women in History)”도 그런 작업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이 책은 세계사에 큰 자취를 남긴 103 분의 위대한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200여 페이지에 백 여분의 이야기를 다루다 보니 각각의 여성에 대해서는 아주 짧은 아티클이 될 수 밖에는 없습니다. 한 분의 업적을 이야기하는 데 한 권의 책으로도 모자라겠지만 그래도 한 분 한 분 우리가 몰랐던 위대한 사람을 알게 되었다는 데 의의를 두어야 하겠습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103명의 위대한 여성 중 세 분의 이야기만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리제 마이트너 (Elise Meitner)입니다. 그녀는 핵분열을 발견한 최초의 과학자이며 독일에서 정교수에 오른 최초의 여성이었지만 나치 독일에 의해 모든 것을 잃은 분입니다. 아시다시피 핵분열은 이후 원자폭탄, 핵발전소 등에 사용되는 주요 원리로 인류의 과학적 발견 중 매우 중요한 발견 중의 하나입니다. 하지만 노벨 위원회는 그녀에게 노벨상을 수여하지 않고 그녀의 공동 연구자인 오토 한에게만 단독 수상을 안겨 줌으로써 노벨상의 불공정성을 만천하에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리제 마이트너는 이러한 노벨 위원회를 두고 “(핵분열이) 어떻게 발생하는 것이고 왜 그렇게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인지를 밝히는 것은 (오토) 한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이야기”라며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다음은 빌리 진 킹 (Billie Jean King, 1943~)입니다. 빌리 진 킹은 무려 39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는 위대한 테니스 선수입니다. 또한 성차별 반대론자였던 빌리 진 킹은 스포츠계의 성차별을 견디지 못하고 여자 테니스 연맹 (WTA)를 결성하는 등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었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남성과 똑 같은 상금을 쟁취하였습니다. 

그녀를 더욱 유명하게 만든 사건은 윔블던 우승자인 바비 릭스 (Robert Larimore Riggs, 1918~1995)와의 세기의 대결입니다. 이 과정은 3만7천여명이 관람하여 가장 많은 관중이 모인 단일 테니스 경기로 약 40년 가까이 기록되었으며 TV로는 무려 9천만명이 지켜본 경기였습니다. 이 경기는 훗날 엠마 스톤 주연의 “빌리 진 킹: 세기의 대결(원제 : Battle of the Sexes)”이라는 제목의 영화로 제작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남녀 그랜드 슬래머 간의 대결은 여성인 빌리 진 킹이 세트스코어 3:0으로 이겼습니다.)


마지막으로 소개한 분은 바로 헤디 라마 (Hedy Lamar, 1914~2000)입니다. 아카데미상 후보에도 오른 바 있고 ‘삼손과 데릴라’의 데릴라 역으로 잘 알려진 배우입니다. 당시 헐리우드에서는 그녀를 두고 ‘백설공주의 현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 등으로 칭송하였지만 그것은 그녀의 관능적인 미모만을 염두에 둔 성고정적인 칭송이었습니다. 

사실 그녀가 칭송 받아야 했던 것은 위대한 배우이기도 했지만 탁월한 과학자이자 발명가였다는 점입니다. 특히 그녀의 발명 특허 중 하나인 ‘주파수도약’ 기술(책에서는 비밀통신 시스템으로 기재함)은 독일 잠수함에 의해 영국 여객선이 격침되자 발명한 기술로 그녀가 무상으로 미 해군에 양도하기도 하였으나 반려당합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나중에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술의 근간이 되어 무선 전화에서 활용되고, WIFI, 블루투스, GPS 등에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 되었습니다. 그녀가 세상을 떠난 한참 뒤인 2014년 그녀는 발명가 명예전당에 이름을 올리게 됩니다.


이제 조금 더 나아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딸들에게 여성으로서 자긍심을 고양하기 위한 독서를 위해 필요한 책들은 “역사 속 위대한 여성”을 비롯해 이제는 우리들의 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역사속위대한여성, #사라허먼, #엄성수, #토트, #있어빌리티교양수업,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