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는 세계사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 물류를 지배하는 자, 세계를 지배한다
다마키 도시아키 지음, 노경아 옮김 / 시그마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물류 (物流, Logistics)’는 ‘물적 유통’이 원어로 사전적 정의로는 ‘필요한 양의 물품을 가장 적은 경비를 들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원하는 장소에 때맞춰 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 활동. 자재 및 제품의 포장, 하역, 수송, 보관, 통신 등 여러 활동이나 재료나 제품 따위의 사회적인 흐름’을 의미합니다. 또한 전쟁을 치루는 데 중요한 요소를 꼽으라고 한다면 많은 것들이 있을 수 있지만 그중 가장 중요한 요소를 병참(兵站, military logistics)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실 현대적인 물류 시스템의 기본은 바로 군대 병참 시스템에서 기원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물류는 당연하게도 세계사에 있어 많은 장면들을 바꾸어 왔을 것입니다. 하지만 세계사를 다룬 많은 저자들은 이러한 물류는 기본으로 생각하고 역사를 서술해왔는데 이러한 물류를 세계사의 주인공으로 서술한 대중 역사 서적 한 권이 출간되었습니다.


“물류는 세계사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다마키 도시아키 著, 노경아 譯, 시그마북스, 원제 : 物流は世界史をどう変えたのか)”가 바로 그 책입니다. ‘물류를 지배하는 자, 세계를 지배한다’라는 다소 거창하지만 타당한 부제를 달고 있는 이 책의 저자인 다마키 도시아키 (玉木俊明, 1964~)는 근세 유럽사 및 경제사 학자이며 교토산업대학 교수입니다. 이 책에서는 물류가 세계사의 장면을 바꾼 17개의 사건을 중심으로 개요와 전개 과정 등을 설명하고 있는데 두 장면 정도 소개 드리려고 합니다. 



“세계사를 크게 바꾼 민족 :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 왕국은 B.C. 2C에 처음 탄생하였고 아르메니아 정교회를 만드는 등 독자적 문화를 발전시켰지만 아르케사스 왕조, 사산 왕조 등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이후 지속적으로 국가를 건국하지만 서아시아의 여러 왕조에 의해 끊임없이 멸망하며 지배를 받게 되면서 근거지를 잃어버리고 떠돌게 되는데 이때부터 여러 나라에 흩어지게 되면서 아르메니아인들 중 많은 이들이 상업과 교역에 종사하게 됩니다. 즉 디아스포라(Diaspora, 유대인의 바빌론 유수와 같이 특정 민족이 자신의 근거지를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함)로 인해 아르메니아인의 민족적 네트워크의 폭이 넓어졌다고 볼 수 있는데 이를 활용해 ‘광대한 상업적 네트워크’를 구축했다고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밝히고 있습니다. 


아르메니아인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오스만 제국 내에서도 유력한 상인 집단으로 성장하였으며 16세기에는 비단 무역상으로 이름을 떨치게 되는데 당시 유럽에서 소비되는 비단의 80% 정도를 아르메니아인들이 교역한 물량이었을 정도였다고 책에서는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17~18세기 국제 무역의 주요 거점이었던 인도 역시 아르메니아인들에 교역을 의존하게 되는데 동인도 무역을 위해서는 유럽 각 국 역시 이러한 아르메니아인과의 협력이 필수불가결하였다고도 책에서는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북해와 발트해의 무역 네트워크 : 바이킹과 한자 동맹”



고대와 중세 해적의 대명사처럼 불리우는 바이킹은 사실 해적보다는 뛰어난 항해술을 바탕으로 한 상인에 가까웠습니다. (사실 근대에 이를 때까지도 일반적으로 해적과 무역상의 구분이 애매하긴 합니다.) 이러한 바이킹 중 스웨덴 바이킹의 경우 이슬람 세계와 적극적으로 교역하여 중동이나 중앙아시아의 은화를 동유럽과 북유럽에 수출하였고 비잔틴 제국과도 교역한 바이킹도 있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13세기 무렵 북부 독일에 상업 공동체가 형성되는데 이를 ‘한자 동맹(die Hanse, Hanseatic League)’이라고 합니다. 이들의 상권은 기존 바이킹이 영위하던 상권과 겹치는데 저자는 이를 바탕으로 추정하여 한자 동맹을 바이킹의 뒤를 이은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자는 이러한 한자 동맹을 각 도시들의 상업 연합으로 평가하고 있는데 이익을 놓고 영주나 국가와 충돌을 불사할 정도로 강력한 연합이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물류는 소비자의 눈에 그다지 띄지도 않고 사소한 것으로 치부되기 쉽지만 사실은 아주 중요한 인프라입니다. 오전에 X팡에서 주문한 상품을 당일 오후에 받아볼 수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물류의 힘입니다. 으레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이런 인프라는 그것을 구축, 유지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간과하기 쉽습니다. 책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정책이나 전략 입안자 역시 이러한 물류를 간과하는 경우를 세계사의 장면 곳곳에서 목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여지없이 해당 국가나 문명은 쇠퇴의 길을 걷거나 전쟁에서 패배의 쓴 잔을 맛보았습니다. 


한 권에 너무 많은 내용을 담아내려고 하다 보니 세계사의 각 장면들은 개략적인 소개 위주에 그치고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 경우가 많아 다소 아쉬운 점도 눈에 띄었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통해 세계사적 의미에서의 물류에 대한 여러 장면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 많고 물류의 중요성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좋은 독서 경험이 되었습니다. 


#물류는세계사를어떻게바꾸었나, #다마키도시아키, #노경아, #시그마북스,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책을 탈출한 미적분 - 일상 생활 속 숨은 미적분 찾기
류치 지음, 이지수 옮김 / 동아엠앤비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까지의 수학 교육 과정 중 미적분 분야는 가장 어려운 분야 중 하나입니다. 사칙연산, 방정식, 함수는 그나마 직관적이기라도 하지만 미적분은 처음 접하고 적응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사실 그런 것이 당연합니다. 바로 미적분은 변화를 다루는 수학이기 때문이죠. 변화하는 비율 혹은 양을 계산하는 것은 꽤나 어려운 난제 중 하나였다고 합니다. 미적분이 발명되기 전까지는요.



네, 미적분학은 뉴턴 (Sir Isaac Newton, 1643~1727)과 라이프니츠 (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 1716)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발명된 학문입니다. (누가 미적분학을 발명했는가를 두고 둘 간의 싸움은 수학사에서 꽤나 유명한 일화입니다.)


미적분학이 발명되고 난 이후 자연과 우주는 수학적으로 해석되기 시작했습니다. 케임브리지 대학 피터 헤인즈  (Peter H. Haynes, 1958~) 교수는 ‘미적분이야말로 자연을 읽는 언어’라고 이야기했다고 (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120509/46100124/1 ) 하며 심지어 김상욱 (1970~) 교수는 ‘우주는 미분으로 쓰여져 있다’고 이야기할 정도로 우주와 자연을 해석하는 데 중요한 학문 분야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미적분학을 중심으로한 대중 수학 서적인 “수학책을 탈출한 미적분 (류치 著, 이지수 譯, 정동은 監, 동아앰앤비, 원제 : 脑洞大开的微積分)”이 ‘일상 생활 속 숨은 미적분 찾기’라는 부제로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총 10개 장에 본문은 200여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에서는 일상 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고 그 상황을 통해 수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증명의 과정을 일상과 연결지어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축소 복사에 필요한 복사용지의 수량을 계산하는 사례를 들면서 (우리나라에서 지재권 위반일 것 같은데…하지만 일단 저자가 예시한 사례를 그대로 따라가겠습니다) 함수라는 수학적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과 나아가 다변수함수 형식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볼펜이라는 소도구를 활용하여 집합론까지 개략적으로 언급하여 수학적 개념에 보다 익숙해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저자는 밀가루 반죽을 통해 도함수와 미분을 설명하고 마을에 다리를 세우거나 옷 한 벌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천의 양을 구하기 위해 적분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책의 중간 중간마다 심화 문제를 제공하여 해당 장에서 익힌 수학적 개념에 보다 익숙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각 장 마지막에 ‘수학적 사고’라는 코너를 통해 재미있는 수학 상식을 들려주고 있습니다. (7장부터는 ‘수학적 사고’코너가 없어져서 얼마나 서운하던지요.)



이 책은 대중 수학서이고 비교적 얇은 두께이지만 마냥 쉽지만은 않습니다. 또한 ‘미적분학’에 대한 대중적 접근에 책의 목적이 있어 실제로 책을 따라 증명과 수식을 따라가야 ‘미적분’에 대한 재미를 좀더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s. 그런데 심화 문제의 풀이를 생략해버리면 어쩌자는거죠? 수치에 따라 답이 변한다 하더라도 예시는 들어줘야 맞춰보죠. /엉엉



#수학책을탈출한미적분, #류치, #이지수, #정동은, #동아엠엔비, #수학, #미적분학, #문화충전200, #서평이벤트, #도서이벤트, #서평단


※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증외상센터 : 골든 아워 1~5 세트 - 전5권
한산이가 지음 / 몬스터(다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역 의사가 쓴 데다 16000매에 달하는 내용 중 엄선하여 5권으로 압축하였다고 하니 대단히 기대되는 소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모 에렉투스의 유전자 여행 - DNA 속에 남겨진 인류의 이주, 질병 그리고 치열한 전투의 역사
요하네스 크라우제.토마스 트라페 지음, 강영옥 옮김 / 책밥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석 연구에 의하면 우리보다 우월한 신체와 두뇌를 가졌다고 밝혀진 네안데르탈인은 왜 멸종해버렸을까요? 아니 애초에 많은 인류 종들이 등장하였지만 이제는 전부 사라져버리고 지구 상에는 호모 사피엔스라는 현생 인류, 단 한 종만 살아 남았을까요? 최근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일부 아프리카에 거주하는 호모 사피엔스를 제외하고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미소바인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들이 밝혀지는 것을 보면 애초에 다른 종이었을까요? 이런 의문들을 떠올린다면 고인류학은 매우 흥미롭고 매력적인 학문입니다. 


“호모 에렉투스의 유전자 여행 (요하네스 크라우제, 토마스 트라페 共著, 강영옥 譯, 책밥, 원제 : Die Reise unserer Gene: Eine Geschichte uber uns und unsere Vorfahren)”에 의하면 고고학, 고생물학과 비슷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하던 인류학 분야에서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성되면서 비교 기준인 현생인류의 DNA 지도가 만들어지자 DNA 레벨에서 고인류를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정립되면서 고인류학 연구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이 책은 시베리아의 알타이에서 보내온 한 고인류의 손가락뼈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면서 밝혀낸 놀라운 사실들부터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그 손가락뼈는 바로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원시 인류의 것이었는데 바로 데니소바인(Denisovan, Homo denisovans)입니다. 데니소바인은 네안데르탈인, 그리고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생존 시기가 겹치며 이들과 자손을 낳기도 하였습니다. 

바로 이 프로젝트를 진행한 사람 중 한 명이 저자인 요하네스 크라우제 (Johannes Krause, 1980~)입니다. 그는 인간의 진화, 전염병 연구로 유명한 생화학자이자 고인류 DNA 학자로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의 유연관계를 밝혀낸 업적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염병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아프리카에서 시작하여 기후변화에 직면하여 멸종하면서도 유럽과 아시아로 끈질기게 이주를 시도하다 결국 현생 인류가 그 이주에 성공하여 문명을 만들어냈고 살아남는 모습에 대해 DNA 분석과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여줍니다. 그리고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고인류 뿐 아니라 언어학자의 연구와 문명의 발달에 따른 사회 및 경제 구조의 변화까지 추적하여 독자들에게 들려주고 있습니다.


 또한 그가 최근 연구하고 있다고 알려진 DNA 연구로 밝혀낸 전염병과 팬데믹의 역사에 대해서도 이 책에서 자세히 들려주고도 있습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를 서문에서 밝히고 있습니다. 그가 고인류학 연구에서 밝혀낸 사실을 통해 유럽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난민 문제, 인종 갈등 등에 대해 인류라는 종 자체가 이주를 통해 문명을 발전시켜 왔고 종(種)을 구분할 수 없는 단일종임을 독자에게 알리고 이주와 다문화적 가치에 보다 개방적이 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분명 새겨들어야 할 주장일 것 같습니다. 


그동안 고인류학과 관련한 여러 서적들을 읽어봤지만 현재까지의 고인류 화석이나 유물 등으로는 빈틈이 너무 많아 학자들의 논리적인 추정에 기대고 있어 풀리지 않는 의문들은 아직도 많은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고인류학 분야에서 새롭게 밝혀낸 놀라운 사실들, 고인류의 수십만 년 간의 환경과 질병과의 투쟁을 고인류학자이자 DNA 학자의 글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므로 매우 유익하고 재미있는 독서 경험이었습니다.


#호모에렉투스의유전자여행, #요하네스크라우제, #토마스트라페, #강영욱, #책밥,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더커버
아마릴리스 폭스 지음, 최지원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소녀가 있습니다. 그녀는 대학교 입학 전 태국으로 건너가 국경 난민 수용시설에서 버마 (현 미얀마) 난민을 돕기 위한 자원 봉사를 시작합니다. 그러다 버마의 반체제 작가와 친분을 쌓게 되고 그의 부탁으로 버마의 반체제 시위를 촬영하기 위해 아마추어 영화 감독과 신혼 부부로 위장하여 버마에 입국합니다. 하지만 시위 계획은 군사 정부에 의해 사전 발각되어 무산되어 실망하던 찰나 아웅산 수 치와의 인터뷰에 성공합니다. 그 후 우여곡절 끝에 버마에서 탈출하여 아웅산 수 치와의 인터뷰를 BBC, CNN 등에서 방송하게 됩니다.

이후 옥스퍼드 대학을 다니던 그녀는 버마에서의 경험과 자신의 영웅이었던 신문기자가 이슬람 테러리스트에게 참수당하는 장면에 충격을 받아 과거의 테러 공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테러리스트의 은신처를 찾아내는 알고리즘을 개발합니다. 이 알고리즘에 관심을 보인 CIA에서는 그녀를 채용하고 그녀는 혹독한 훈련을 거친 다음 현장 요원으로 선발됩니다. 현장 요원으로서 그녀는 911 이후 알 카에다 등이 핵배낭 등 전술핵무기, 생화학무기 등 대량살상무기를 활용한 테러를 계획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막기 위해 전력을 다합니다.  


이 이야기가 픽션이 아니고 실화라고 합니다. 사실 픽션이라고 하면 너무 허황되다 지적 받기 좋은 설정이지요. 하지만 언제나 현실은 픽션을 넘어서는 법. 바로 아마릴리스 폭스 (Amaryllis Fox, 1980~)의 회고록 “언더커버 (아마릴리스 폭스 著, 최지원 譯, 세종서적, 원제 : Life Undercover)”에 나온 내용입니다. 


저자는 어렸을 적 친구를 항공기 테러로 잃은 이후 국제 뉴스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면서 그녀의 세계에서는 마녀, 마법사, 나무꾼들이 사라지고 점차 카디피, 대처, 레이건, 고르바쵸프 같은 현실의 정치인들이 자리잡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특히 천안문에서 탱크를 가로막는 한 남자, 베를린 장벽의 붕괴, 소련의 개혁개방에 반대한 쿠데타 시도 등 당시 굵직굵직한 국제 뉴스는 어린 시절의 그녀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특히 옥스퍼드 대학 합격 후 1년 정도 자원 봉사 활동 도중 버마의 반체제 인사와 교류를 하고, 살벌한 당시 버마에 잠입하여 가택 연금 중인 아웅산 수 치와의 인터뷰를 따내고 BBC를 통해 인터뷰 방송을 내보내는 장면은 정말 혀를 내두르게 합니다. 



하지만 현장 요원으로서 장시간 위장 신분으로 살아가면서 한 순간도 방심할 수 없고, 진실된 자신의 모습을 보여줄 수 없어 회의에 빠지게 되는데 첫 딸의 출산 이후 이러한 회의는 심화됩니다. 그리고 결국 딸을 위해 CIA에서 은퇴를 결심하는데…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언더커버 (undercover)라는 말은 위장, 잠입수사, 위장신분 등을 의미하는 단어로 우리가 즐겨보는 영화나 소설의 소재로 많이 활용됩니다. 유덕화와 양조위가 주연했던 “무간도”가 대표적이며 한국영화로는 이정재, 최민식, 황정민 등이 주연한 “신세계”에서 이정재가 언더커버 중인 경찰로 등장합니다. 실제 저자는 현장 요원으로서 중국, 파키스탄, 이라크 등지에서 예술품 중개상이라는 언더커버로 10여년 동안 활약한 경험을 책에서 비교적 소상히 밝히고 있습니다. 


책을 읽기 전에는 제 1세계의 풍족한 집안에서 태어난 멋모르는 젊은 아가씨가 학력과 난민 활동이라는 자원 봉사 경력에다 CIA라는 독특한 악세서리를 가지고 케네디 일가에 들어간 이야기일 것이라는 편견이 있었는데 흥미진진한 실제의 첩보활동과 삶과 평화에 대한 저자의 진지한 태도와 마음가짐 등으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이후 그녀는 CIA를 은퇴하고 평화를 위한 여러 활동을 하다 로버트 케네디 3세와 결혼합니다. 픽션이었다면 마지막까지 욕먹을 설정이지 않나요?


#언더커버, #아마릴리스폭스, #최지원, #세종서적, #CIA, #테러와의전쟁, #첩보실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