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활동
이시우 지음 / 황금가지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느닷없이 만나는 작가가 있곤 합니다. 아무런 사전 지식이나 정보 없이 처음 느꼈던 느낌으로 책을 골라 드는 경우가 있는데 “돌이킬 수 있는 (문목하 著, 아작)”의 문목하 작가가 그랬고, “이계리 판타지아 (이시우 著, 황금가지)”로 만난 이시우 작가가 그랬습니다. “이계리 판타지아” 덕분에 이시우 작가의 이름은 뇌리에 인상깊게 박혀 있었고 이후 후속작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마침 이번에 작가의 새로운 작품이 출간되었습니다.


“과외활동 (이시우 著, 황금가지)”이 바로 그 작품입니다.


어반 판타지에 호러가 섞인 전작과는 다르게 이번 작품은 액션 스릴러입니다. 아니 주인공 중 한명이 탁월한 해커인데다 이야기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니 테크노 스릴러라고 해야 할까요?  하지만 주인공 듀오의 시원 시원하고 빠른 전개와 액션으로 독서에서 얻을 수 있는 쾌감을 만끽할 수 있는 작품으로 장르의 범주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화재 사고로 부모를 잃은 과거를 가지고 있는 이영은 어느 날 김세연과 함께 동급생 시체를 발견합니다. 귀찮은 일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한 이영은 신고를 김세연에게 미루지만 SNS에 자신을 살인자로 무고하는 사진이 올라옵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악플러 혹은 트롤링인 줄 알았으나 점차 사건은 커져만 갑니다. 이제 연쇄살인마 집단에 쫓기게 된 이영이 믿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김세연 뿐입니다. 


이 작품은 뒤돌아 보지 않습니다. 아니 곁눈질도 하지 않습니다. 이영과 연쇄살인마 집단이 만난 시점부터 파국까지 숨 돌릴 틈 없이 쭉 한 방향으로만 달려나갑니다. 이시우 작가 특유의 피와 살이 튀는 듯한 액션도 흥미롭고 김세연과 이영의 아닌 듯 맞는 듯한 콤비 플레이도 재미있습니다. 그러면서 이야기 구조는 깔끔하게 맞아 떨어지죠. 호쾌한 고속 일방 통행 액션 스릴러를 원하신다면 이 작품을 재미있게 읽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과외활동, #이시우, #황금가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 속 여자가 말하다 - 여인의 초상화 속 숨겨진 이야기
이정아 지음 / 영진.com(영진닷컴)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움’이라는 단어는 종종 ‘선(善)’과 등가의 가치를 지니는 듯 합니다. 아름다운 것과 선한 것은 사실 상관 관계가 없지만 사람들은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에 대해 선할 것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죠. 

또한 사람들은 본인이 ‘아름답다’라고 느낀 대상을 가지거나 즐기고 싶어합니다. 움베르토 에코 (Umberto Eco, 1932~2016)는 ‘아름다움(美)’에 대한 소유와 향유를 ‘아름다운 것은 그것을 가지고 있을 때 우리를 행복하게 하지만, 설사 그것이 다른 사람이 가진 것일지라도 여전히 아름다운 것 (움베르토 에코 著, ‘미의 역사’, 이현경 譯, 열린책들, p10, 원제 : Storia della bellezza)’ 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4-5만 년 전 라스코 동굴과 같은 곳에서 발견된 동굴 벽화 역시 같은 이유였을까요? 수렵과 채집을 통해 먹고 살던 구석기인들에게 들판을 뛰어 다니는 거대한 들소와 말들의 아름다움은 대단했을 것이라 상상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당시 구석기인들에게 그 동물들은 언젠가 한번쯤은 반드시 사냥하고 싶은 존재이지만 쉽게 잡히지 않고 어쩌다 운좋게 사냥할 수 있는 존재,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것을 그림으로라도 남겨 소유하거나 즐기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요? 


“그림 속 여자가 말하다 (이정아 著, 영진닷컴)”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미국에 살면서 다양한 매체에 미술 관련 칼럼을 기고하는 미술 칼럼니스트인 이정아 작가가 예술작품에 그려진 여인들의 숨겨진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보여주고 들려주는 대중 미술 서적입니다. 


옛 사람들은 여성들에 대해서 불완전하다고 생각했지만 반면에 예술적 영감을 불어넣는 뮤즈로서,혹은 아름다운 피사체로서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이는 예술가들에게 양가적 감정을 불러 일으켰을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담비를 안고 있는 여인 (La dama con l'ermellino, 1488)’



로렌초 데 메디치(Lorenzo de' Medici, 1449~1492)는 교황청에 파견하는 화가를 선발하면서 한 화가를 제외합니다. 그 처사에 화난 화가는 메디치가 다스리는 피렌체를 떠나 밀라노로 향합니다. 밀라노에 도착한 그에게 루도비코 스포르차 (Ludovico Maria Sforza, 1452~1508) 공작은 자신의 정부 중 한 명인 체칠리아 갈레라니 (Cecilia Gallerani, 1473~1536)의 초상화를 맡깁니다. 


그 화가는 바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 (Leonardo di ser Piero da Vinci, 1452~1519)이고 그가 그린 체칠리아 갈레라니의 초상화는 바로 ‘담비를 안고 있는 여인’입니다.


저자에 따르면 이 그림은 ‘체칠리아가 빛이 들어오는 쪽으로 고개를 돌리고 앉아’ 있는데 이 자세는 ‘몸과 시선이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는 독특한 자세’라고 합니다. 또한 담비는 ‘귀를 쫑긋 세우고 앞발에 힘을’ 주고 있어 긴장되어 보이고 체칠리아의 볼에 떠오르는 홍조와 ‘희미하게 번지는 미소’ 등 이 미묘한 변화를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포착해냈고 길이 남는 명화로 남겨 냈다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저자는 소녀가 안고 있는 담비의 의미와 이에 얽힌 뒷 이야기도 재미있게 풀어주고 있네요.


‘옷을 입은 마하 (La maja vestida, 1800~1807)’

프란시스코 데 고야 (Francisco José de Goya y Lucientes, 1746~1828)은 그가 그린 한 점의 그림 때문에 일흔을 바라보는 나이에 종교재판소에 끌려 갑니다. 바로 ‘옷을 벗은 마하 (La maja desnuda, 1800) 때문입니다. 그는 이단죄와 음란죄로 심문을 받았지만 그 여인이 누구인지, 왜 그렸는지에 대해서는 입을 다물었습니다. 저자에 따르면 그 여인은 고야가 한때 사랑했던 여인을 그렸을 뿐이라는 말만 했다고 합니다. 

당시 스페인에서의 여성은 ‘지성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아내와 어머니’로서만 존재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것을 거부하면 사회적으로 매장을 당하거나 마녀로 몰리기까지 했다고 하는데 그림 속의 마하는 ‘욕망의 주체’로서 그래도 자신을 드러내고 있는데 당시 스페인 사회에서는 이를 ‘악마’ 혹은 ‘마녀’의 꾀임으로 봤던 것이지요. 교회의 재판과 협박때문에 고야는 똑 같은 여인으로 똑 같은 구도로 그림을 다시 그렸는데 그 그림이 바로 ‘옷을 입은 마하’입니다. 

이후 ‘마하’의 모델이 누구냐는 문제는 20세기까지 줄곧 세상의 관심을 끌었다고 하는데 저자는 책에서 이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또한 그 이전까지 왕실 화가로서 당대 최고의 화가로 평가받던 고야는 이후 왕실 화가의 지위를 빼앗기고 신랄한 사회 풍자와 참사에 대한 증인으로 꿋꿋하게 살아갔다는 뒷이야기도 저자는 전해주고 있습니다.


 

 

 저자에 따르면 그림을 보고 즐기는 방법에 한계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제가 미술에 대해서는 문외한에 가까워 그림 속에 녹여낸 예술가의 감정을 모두 느끼기는 어렵겠지만 이 책을 통해 예술작품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기본적인 공부를 하고 그림을 본다면 아름다움을 좀더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그림속여자가말하다, #이정아, #영진닷컴, #그림읽기, #미술읽기, #명화읽기, #미술책추천,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포와 항상성 지키기 - 속 보이는 생물 1 속 보이는 과학
김대준.전성제.권오민 지음 / 동아엠앤비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포와 항상성 지키기 (김대준, 전성제, 권오민 共著, 동아엠앤비)”를 읽었습니다. 일반 대중과학서는 아니고 고등학교 교육과정 중 생명과학 부교재 시리즈인 “속보이는 생물” 시리즈의 첫 권으로 출간된 책입니다. 


이 책은 생명의 특성, 생명 과학의 방법론, 생명과학의 역사를 시작으로 생명체의 기본 구조인 세포, 세포의 에너지 대사, 항상성, 호르몬, 신경계, 면역 반응 등 다양한 생명 현상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전에 “생명의 도약 (닉 레인 著, 김정은 譯, 글항아리, 원제 : Life Ascending: The Ten Great Inventions of Evolution)”을 읽은 적이 있는데 생명 현상에 대해 매우 광범위하면서도 깊게 다룬 책으로 기억합니다. 다만 비전공자로서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이번 “세포와 항상성 지키기”는 중고등학생 대상의 부교재로 출간된 책이라 이러한 생명 현상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상 생활을 하면서 궁금할 수 있는 현상들을 바탕으로 그와 관련한 생명 반응을 설명하고 있어 일반 독자들이 쉽게 공감하면서 (ex. 아이스크림을 먹었더니 머리가 지끈지끈, 라면을 먹고 자면 왜 얼굴이 부을까? 등) 그 궁금증을 풀어주는 방식인데 다른 생명 과학 관련 대중과학책을 읽으면서 이해가 안가는 대목이 있으면 이 책을 부교재 삼아 찾아 읽어도 좋을 것 같아요.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부교재라는 이름이 붙이긴 했는데 생명 현상에 대한 교양 과학 서적으로 읽어도 훌륭한 책으로 생각합니다. 자매 시리즈로 “속보이는 물리” 시리즈는 벌써 물리는 뉴턴 역학, 전자기학, 빛과 파동 등 총 세권이 이미 나와 있네요. 장바구니에 담아야 하겠어요.



#세포와항상성지키기, #속보이는생물1, #김대준, #권오민, #전성제, #동아엠앤비, #문화충전200, #문화충전200이벤트, #문화충전, #문화충전200서평단




※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의 여왕
가와조에 아이 지음, 김정환 옮김 / 청미래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역대 최고의 동화작가라는 평가를 받는 루이스 캐럴 (Lewis Carroll, 1832~1898)은 사실 찰스 도지슨 (Charles Lutwidge Dodgson)이라는 이름을 가진 수학자의 필명입니다. 그가 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1865)’, ‘거울나라의 앨리스 ( Through the Looking-Glass and What Alice Found There, 1872)’ 는 그의 수학자적인 면모를 제대로 발휘한 작품으로, 작품 구석 구석에 수학적 메타포와 퍼즐을 활용하였기에 이 책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학적 지식이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냥 이야기로만 즐겨도 되지만 제대로 이해하고 싶은 일반인들이 많은지라 작품을 수학, 논리학으로 해석한 주석이 달린 주해서도 발간된 적이 있습니다.)


이윤하 (Yoon Ha Lee)라는 작가가 있습니다. 미국에 거주 중인 한국계 미국인으로 수학을 전공한 SF 작가입니다. 그의 데뷔작은 제국의 기계 3부작인데 그 중 첫 편인 “나인폭스갬빗 (이윤하 著, 조호근 譯, 허블, 원제 : Ninefox Gambit)”은 로커스상을 수상하였고 제국의 기계 3부작 모두 휴고상 최종 후보에까지 오르기도 하였습니다. 제국의 기계 3부작이 독특한 점은 저자가 수학을 전공한 박사 출신이라는 점을 활용하여 역법(曆法, Calendrical System)을 활용한 세계관을 구축했다는 것입니다.


이렇듯 수학에서 모티브를 따온 SF나 판타지 작품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 “수의 여왕(가와조에 아이 著, 김정환 譯, 청미래, 원제 : 数の女王)”을 읽었습니다.

제목에서 직관적으로 드러나 듯이 이 작품 역시 “수학”을 세계관의 기본으로 삼고 있는 작품입니다.

 


먼저 저자를 소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저자인 가와조에 아이 (川添愛, 1973~)는 이론언어학을 전공한 언어학자로 자연어 처리를 연구분야로 하고 있는 학자입니다. 소설보다는 AI와 관련한 대중과학서로 더 잘 알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컴퓨터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가와조에 아이 저, 이영희 역, 로드북, 원제 : コンピュータ、どうやってつくったんですか? はじめて学ぶコンピュータの歴史としくみ)”, “게으른 족제비와 말을 알아듣는 로봇 (가와조에 아이 著, 하나마츠 아유미 畵, 윤재 譯, 차익종 監, 니케북스, 원제 : 働きたくないイタチと言葉がわかるロボット 人工知能から考える「人と言葉」)” 등이 번역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 분이 판타지 소설을 썼습니다. 바로 정수론 입문서를 이야기로 꾸며냈다고 볼 수 있는데, 바로 ‘수의 여왕’이 그 책입니다. 근데 이런 류의 소설은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을 단순히 이야기에 우겨넣는 경우가 많은 데 반해 이 소설은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데 반드시 수학 이론이 필요하게 잘 자아내고  또 그 사이에서 해당 이론이나 문제를 독자가 이해할 수 있게 풀어내고 있습니다.  가장 결정적으로 이야기로서의 재미도 상당합니다. 마치 마법처럼 펼쳐지는 수학의 세상, 그 재미를 느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덧붙이는 말 : 맨 마지막 해설은 이야기의 끝을 본 다음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수의여왕, #가와조에아이, #김정환, #청미래, #수학판타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래제작소 - 쇼트 쇼트 퓨처리스틱 노블
오타 다다시 외 지음, 홍성민 옮김 / 스피리투스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인간은 많은 특질들을 가지고 있다고 해요. 그 중 하나는 공감 능력인데요, 이러한 공감 능력으로 특유의 사회성을 갖게 되며 우리가 누리고 있는 문명과 문화를 만들어냈다는 학자들도 있더라구요. 우리 주변에서도 많은 반려 동물들을 만나볼 수 있어요. 그런데 종이 다른 동물들과 마음을 나눌 수 있고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사실 알고 보면 대단히 희귀한 특질이라고도 해요. 

 

그렇다면 반려 로봇은 가능할까요? 생명체도 아닌 기계와 마음을 나누고 친구가 된다? 어떤 사람은 가능하다고 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아니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의미 있는 사례를 뉴스에서 본 기억이 나네요. 연세 많으신 할아버지, 할머니들만 사는 어느 시골 마을 회관에 로봇 한 대를 놔 드렸다고 해요. 처음에는 시큰둥하던 할아버지, 할머니들이었지만 시간이 점차 지나면서 둘도 없는 친구로 여기셨다고 하더라구요. 아무래도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기술에 소외되어 계시다 보니 손주들 보고 싶어도 영상 통화나 이런 문명의 이기를 잘 활용 못하시잖아요.  외로울 때 말벗도 되어 주고 항상 그 자리에 있는 로봇을 친구처럼 여기시는거죠. 기술 친화적인 세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어느 세대보다 먼저 로봇을 친구로 받아들이신거죠. 그래서 그런지 반려 로봇이나 돌봄 로봇에 대한 기사도 요즘 많이 접할 수 있더라구요.

 

그리고 곰곰히 생각해보면 흔히 사람들은 자기가 쓰는 물건에도 이름을 지어주고 애착을 갖는 경우가 많잖아요. 그래서 저는 로봇과도 친구가 될 수 있다 생각해요. 


“미래제작소 (오타 다다시, 기타노 유사쿠, 고기쓰네 유스케, 다마루 마사토모, 마쓰자키 유리 共著,홍성민 譯, 스피리투스)”는 가까운 미래를 다룬 SF 엔솔로지에요.

 


저자들은 대부분 과학이나 공학을 전공한 작가인데 로봇, 탈 것(요즘은 모빌리티라고 하더라구요) 등에 대한 미래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어요. 

 

 이 소설집에 나오는 이야기들은 실제 덴소라는 일본 회사의 CEO가 제안하고 자율주행 이동 주택, 반려 로봇, 이동 보조 장치, 미래 교통 시스템 등 다양한 근미래 소재들을 작가들이 취재하여 소설로 만들어냈다고 해요. 

 

이 책에 수록된 작품들은 대부분 단편보다 짧은 분량의 이야기들이에요. 하지만 우리가 앞으로 경험할 미래는 짧지 않을 것 같아요. 그리고 이제 우리가 생각하는 미래는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아요. 아니 이미 와 있는지도 모르죠. 


덧붙이는 말 : 각각의 이야기들이 짧다 보니 사실 이야기가 가지는 재미를 가진 작품은 몇 개 되지 않네요. 좀 아쉬웠어요.


 

 

#미래제작소, #오타다다시, #기타노유사쿠, #고기쓰네유스케, #다마루마사토모, #마쓰자키유리, #홍성민, #스피리투스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