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의 집 밤의 집
올가 토카르추크 지음, 이옥진 옮김 / 민음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낮의 집, 밤의 집(올가 토카르추크 著, 이옥진 譯, 민음사, 원제 :  Dom dzienny, dom nocny )”을 읽었습니다.  


올가 토카르추크(Olga Tokarczuk, 1962~)는 폴란드 작가이자 사회운동가로 잘 알려져 있으며 2019년 노벨 문학상(2018년)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태고의 시간들 (최성은 譯, 은행나무, 원제 : Prawiek I Inne Czasy)”과 “방랑자들 (최성은 譯, 민음사, 원제 : Bieguni)”이 번역 소개되었으며 이번에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와 “낮의 집, 밤의 집 (이옥진 譯, 민음사, 원제 : Dom dzienny, dom nocny)’이 동시 출간되면서 모두 4작품이 출간된 상태입니다.


“낮의 집, 밤의 집”은 “방랑자들”과 같이 짧은 에피소드가 이어지면서 하나의 이야기의 흐름을 관통하는 연작 소설입니다. (찾아보니 우리나라에 “방랑자들’이 먼저 소개되었지만 원작으로는 “낮의 집, 밤의 집”이 거의 10년 가까이 먼저 출간된 책입니다.)


“그대의 집은 그대의 더 커다란 몸이다.

햇빛 속에서 자라고 밤의 고요 속에서 잠들며 꿈을 꾼다.

그대의 집은 꿈꾸지 않는가?

작은 숲이나 언덕 위에 머물기 위해 도시를 떠나지 않는가?”

(칼릴 지브란, Kahlil Gibran. 1883~1931)



작중 화자인 ‘나’는 R과 함께 노바루다 인근 피에트노 마을에 살고 있습니다. 그곳에서 ‘나’와 R은 마렉 마렉이 어떻게 목을 매었는지와 같은 이야기도 듣고, 지역 방송 노바루다를 통해 안나 카레리나 이야기도 만납니다. 그리고 그 마을에서 마르타를 알게 됩니다. 그녀는 항상 자기 자신에 대해 다르게 말합니다. 심지어 자기의 생일조차 매번 다르게 이야기하지요. 또한 ‘나’와 R은 마르타를 가장 처음 만난 것이 언제인지 기억 나지 않습니다. “나는 마르타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습니다. “그저 그녀 스스로 내게 드러낸 사실만을 알았을 뿐이”지요.


하지만 그녀는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을 좋아합니다. 갑자기 이유 없이 이야기를 멈추고 그 주제로 돌아오지 않을 때도 있지만 느닷없이 다시 그 이야기를 할 때도 있습니다. ‘나’는 그녀를 이해하지 못하지만 왜 이해해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보통의 연작 소설은 어느 정도 주제나 소재가 각각의 이야기 내에서도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방랑자들”이나 “낮의 집, 밤의 집”의 경우에는 전혀 다른 배경을 가진 전혀 다른 이야기가 파편적으로 흩어져있다 보니 일관되게 읽기가 곤란합니다. 그래서 올가 토카르추크의 작품을 읽고 난 이후에는 그동안 해제를 꼭 찾아 읽었습니다. 

올가 토카르추크 특유의 연작 소설 기법을 ‘별자리 소설 (Constellation novel)”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별은 밤하늘에 아무렇게나 흩어져 있지만 언제나 우리의 의식은 그 흩어진 별들 사이에서 어떤 패턴을 읽어내고 이야기를 만들며 법칙과 질서를 부여하듯이 올가 토카르추크 역시 많은 이야기를 던져 독자가 그 이야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겠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아마 익숙하지 않은 서사 방식이라 그런지 아직 저에게는 쉽지만은 않습니다. 

 



#낮의집밤의집, #올가토카르추크, #이옥진, #민음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
올가 토카르추크 지음, 최성은 옮김 / 민음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 (올가 토카르추크 著, 최성은 譯, 민음사, 원제 : Prowadź swoj pług przez kości umarłych)”를 읽었습니다.


올가 토카르추크(Olga Tokarczuk, 1962~)는 폴란드 작가이자 사회운동가로 잘 알려져 있으며 2019년 노벨 문학상(2018년)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태고의 시간들 (최성은 譯, 은행나무, 원제 : Prawiek I Inne Czasy)”과 방랑자들 (최성은 譯, 민음사, 원제 : Bieguni)”이 번역 소개되었으며 이번에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와 “낮의 집, 밤의 집 (이옥진 譯, 민음사, 원제 : Dom dzienny, dom nocny)’이 동시 출간되면서 모두 4작품이 출간된 상태입니다.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는 폴란드 외딴 고원에서 누군가 살해당하는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그 마을에 살고 있는 두셰이코는 전직 교사이자 별장 관리인으로 점성학을 좋아하는 할머니입니다. 그녀는 동물을 사랑하는 사람이며 사람들을 이름 대신 특징을 딴 별명으로 부르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런데 ‘왕발’이라 별명을 붙인 사람을 시작으로 살인 사건이 이어집니다. 단서는 피해자가 사냥 혹은 동물학대와 관계가 있다는 것 뿐….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는 기본적으로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에 속하는 작품이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익숙한 장르적 특성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보니 약간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도 있습니다. 마치 안 쓰던 근육을 강제로 쓰게 한다고나 할까요?  보통의 미스터리 장르는 ‘누가’ ‘혹은 ‘왜’에 집중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에서는 누가 범인이고 왜 범죄를 저질렀는지에 대한 이야기보다 사회적으로 약한 사람이 자신보다 더 약자와의 연대가 더 중요한 이야기로 보입니다.  



 “인간이 동물을 지옥으로 내모는 순간, 온 세상이 지옥으로 변한다”

 

#죽은이들의뼈위로쟁기를끌어라, #올가토카르추크, #최성은, #민음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국의 브로커들 - 일제강점기의 일본 정착민 식민주의 1876~1945 역사도서관 22
우치다 준 지음, 한승동 옮김 / 길(도서출판)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제 강점기 기간을 살펴 보면 우리는 보통 조선총독부와 조선 민중 사이의 대립만을 떠올립니다. 일제 강점기 한반도에 조선총독부로 대표되는 공적 기관과 그에 종사하는 일본인, 그리고 조선인만 있었을 리 없다는 것은 조금만 더 깊이 생각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일본 민간인들도 함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런 이야기를 듣지 못했습니다, 


“제국의 브로커들 (우치다 준 著, 한승동 譯, 길, 원제 : Brokers of Empire: Japanese Settler Colonialism in Korea, 1876-1945)”은 일제 강점기 시절 한반도에 건너 온 70만에 달하는 일본인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들의 숫자는 20세기 식민지 국가에 만들어진 공동체 중 규모가 가장 큰 것 중 하나였다고 합니다. (굳이 비교하자면 프랑스 식민지였던 알제리 정도에 비견될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일본이 패망하자 그들은 본국으로 대부분 송환되었고 역사에서 사라져 버렸고 일본인들은 이들을 가해자가 아니라 희생자로 간주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많은 정착민들은 자신의 개척에 대한 고투를 술회하지만 제국주의 정치와 자신과의 관계는 없다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과연 그들은 단지 자신의 터전을 떠나 이국 땅에 정착한 하층 계급으로 희생자로 열심히 살았을 뿐 제국주의와는 관련이 없었을까요?

이 책을 통해 저자인 우치다 준 (Jun Uchida)은 왜 그토록 많은 일본인이 조선으로 건너 갔는지, 그들은 조선인 그리고 총복부와 어떤 상호작용을 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자는 그들을 ‘제국의 보로커’라는 명칭을 사용함으로써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였지만 나아가 정착민의 단결을 유지하고, 본국 자본과 문화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제국의 식민 권력의 앞잡이 역할까지 수행한 그들의 성격을 잘 드러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그들은 언론, 상업회의소, 부협의회 등 다양한 기관을 활용하거나 스스로 만든 조직이나 기구를 활용하여 식민 정치의 주변부에만 머무르지 않고 조선 통치에 대한 영향력을 점차 넓혀 갔습니다. 


“제국의 브로커들”에서 저자는 앞서 이야기한 식민지 내의 일본인 정착민들의 개인의 삶을 고바야시 겐로쿠(小林源六)’의 사례처럼 자세히 살피면서도 전체적이고 거시적인 흐름도 놓치지 않는 방식으로 우리에게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 줍니다. 

저자가 일본 제국을 바라보는 관점은 완성된 제국으로서 식민지를 경영하기 시작한 서구 열강과는 다르게 미완의 제국이 조선을 침탈하면서 본격적으로 제국의 완성을 이루었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식민 정치에 적극적으로 관여한 일본인 정착민들의 역할 역시 제국의 형성에 관계가 있다고 보는 것이며 막연히 희생자만은 아니라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을 통해 우리가 지금까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조선 내 일본인 정착민에 대한 경계인적 성격을 가진 이야기를 접할 수 있는 독서 경험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제국의브로커들, #우치다준, #한승동, #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좁은 회랑 : 국가, 사회 그리고 자유의 운명 - 2024 노벨경제학상 수상작가
다론 아제모을루 외 지음, 장경덕 옮김 / 시공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COVID-19의 범유행(pandemic)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나마 COVID-19 대응에 있어 모범적인 국가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실제 확진자 규모나 치명률 등을 보면 우리나라가 상당히 잘 대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응 중 일부분은 비판을 당하고 있습니다, 바로 휴대폰이나 신용카드 사용 내역 등을 추적하여 동선을 확인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비판을 당했습니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공동체 전체의 안전과 이익을 위해 개인의 사생활을 노출해도 되는 것인지에 대한 비판이었을 것입니다. 팬데믹이라는 긴급하고 중대한 사안에서 개인의 사생활과 자유가 중요한지, 아니면 공동체 전체적인 안전이 중요한지에 대한 가치 판단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좁은 회랑 (대런 애쓰모글루, 제임스 A. 로빈슨 공저, 장경덕 역, 시공사, 원제 : The Narrow Corridor: States, Societies, and the Fate of Liberty”은 국가 권력과 개인의 자유의 균형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공저자인 대런 애쓰모글루 (Kamer Daron Acemoğlu, 1967~), 제임스 A. 로빈슨 (James A. Robinson, 1960~)은 전작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최완규 譯, 장경덕 監, 시공사, 원제 : Why Nations Fail)을 통해 국가의 실패에 대해 논증한 바 있습니다. 


저자들은 “좁은 회랑”에서는 어떤 나라는 구성원이 자유를 누리고 있으나, 또 어떤 나라는 독재나 무정부 상태가 되는지에 대해 전작에서 논증한 국가와 제도에 대한 이야기에 더해 개인의 자유와 균형을 논증하고 있습니다.

저자들은 이 책의 한국판 서문에서 독재적 리바이어던(Despotic Leviathan)의 완벽한 본보기로 중국을 예로 들고 있는데 최근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중국의 대응에서 그 증거를 찾았습니다. 또한 저자들은 그 반대의 사례 (즉, 국가 권력과 개인의 자유가 조화롭고 균형적인 사례)를 한국에서 찾았습니다. 즉, 위기에 대응하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어쩌면 독재가 아닐지 모른다는 증거가 바로 한국이 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명시적이지는 않지만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무정부 상태의 본보기는 아마 미국이라고 저자들은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저자들은 자유가 번영하려면 국가와 사회가 강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폭력을 억제하고 법을 집행함과 동시에 사람들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역량은 강한 국가와 사회에서 비롯된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사회가 국가를 견제하지 않는다면 국가의 권력은 괴물 (리바이어던, Leviathan)이 되어 무소불위로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독재체제가 되어버립니다. 저자들은 독재국가가 불어오는 억압, 국가의 부재로 나타나는 폭력과 무법 상태 사이에 자유로 가는 ‘좁은 회랑’이 끼어 있다는 이야기를 이 책을 통해 하고 싶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회랑은 혁명적으로 만들어지지도 않고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언제나 안정적으로 남아있지도 않습니다. 회랑은 국가 권력과 자유와의 균형은 끊임없이 경쟁하고 협력하고 싸우면서 유지해야 하는 것입니다. 또한 회랑은 최종으로 도달해야 하는 이상향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문’이 아니라 ‘회랑’이며 과정인 것이지요.

언뜻 떠올려봐도 이 회랑을 유지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닌 것처럼 보입니다. 그렇기에 ‘좁은’ 것입니다. 속성상 언제나 괴물이 되려는 국가를 사회가 견제하고 통제하면서 개인의 자유를 적절한 수준에서 보장하는 것이 쉬울 수는 없습니다. 

이 책에서는 정치 철학, 사회학, 역사학적 논증과 함께 이러한 좁은 회랑 안에서 괴물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이야기와 대안을 들려주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팬데믹 상황에서 동선 추적 및 공개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일부 정보를 익명화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과 자유를 과도하게 침범할 수 있다는 비판을 정부 당국이 수용한 것처럼 보입니다. 아마도 이러한 경우 역시 이 책 “좁은 회랑”에서 이야기한 ‘자유와 통제의 균형’의 사례가 아닐까 합니다.


#좁은회랑, #대런애쓰모글루, #제임스A로빈슨, #장경덕, #시공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괴물 백과 - 신화와 전설 속 110가지 괴물 이야기
류싱 지음, 이지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신화나 전설에 주로 영웅이나 신에 주목합니다. 하지만 그 반대편에는 보통 괴물이나 악마가 존재합니다. 신화나 전설에서 인간을 괴롭히는 괴물이 결국 영웅이나 신에게 패배를 당함으로써 영웅이나 신의 위대함을 부각하곤 합니다. 아마도 자연에 대한 인간, 혹은 인간이 믿는 신의 승리를 바라는 신화적 장치로 보입니다.

세계 괴물 백과 (류싱 著, 이지희 譯, 현대지성, 원제 : 驚奇與怪異:域外世界怪物志)”에서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은 이상한 생물의 출현을 하늘이 인간에게 보내는 경고 메시지 혹은 장차 재앙이 닥칠 징조로 보았으며 이러한 괴물에는 인간의 사상이나 관념이 반영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유럽의 괴물들은 지배적 종교인  기독교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기독교 성립 이전에 그리스나 로마의 경우, 중동 문화권과 밀접한 교류를 통해 영향을 주고 받음을 확인할 수 있어 괴물을 조사하다 보면 문명의 교류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동서양을 막론하고 괴물에는 일정 부분 인간으로서의 인식과 관념이 그대로 반영되는데 세계 각지의 괴물들에 유사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고도 알려주고 있습니다.

베헤못 (Behemoth)

베헤못 혹은 베헤모스로 알려진 이 괴물은 땅에 사는 거대한 짐숭으로 물에 사는 거대한 레비아탄, 하늘의 괴물새 지즈과 더불어 성경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진 괴물입니다. 책에 따르면 이 괴물은 실존 동물을 원형으로 상상한 괴물이 아닐까 하는데 그 원형이 되는 동물로는 하마, 코끼리, 코뿔소, 물소 정도로 추정한다고 합니다. 특히 꼬리에 대한 묘사로 볼 때 하마나 코끼리 꼬리와 비슷하다고 하네요.

하지만 모든 사람이 그런 것은 아닌데 어떤 사람은 이 괴물은 동물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앞서 이야기한 레비아탄, 지즈와 더불어 하늘, , 땅을 상징하는 존재이자 상상의 산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유대교에서는 이 베헤못을 보다 신격화하여 묘사했지만 중세 기독교에는 이러한 베헤못을 사탄이 타고다니는 짐승이나 악마로 보았다고도 하네요.

하나의 괴물이 시대에 따라 그 성격이나 특징도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이 아티클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두 꼬리 인어 (Two-tailed Mermaid)

, 바로 스타벅스 로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바로 그 괴물입니다. 이 두 꼬리 인어는 7세기 경부터 이미 출현한다고 하는데 이탈리아 페사로에 있는 대성당 모자이크 바닥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두 꼬리 인어는 교회의 장식물로 주로 사용되었는데 중세 교회가 규정한 악습을 반대하는 의미였다고 하네요. 또한 가문의 문장으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강인함 혹은 번영을 의미했다고 합니다. 또한 이후 지식을 상징하는 의미에서 출판계에서도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계영혼을 의미하는 상징이나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고 하니 하나의 괴물을 두고 바라보는 관점에서 정말 다르게 해석하는 경우도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은 세계 각지의 전설과 신화 속에 등장하는 110가지의 괴물들을 모아 놓은 일종의 박물지로 지금의 눈으로 해석하거나 평가하지 않고 과거에 그 괴물들을 상상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로 들려주고자 하는 책입니다. 읽다 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이야기와 비슷한 이야기를 갖는 괴물도 나오고 전혀 생소한 괴물도 나와 매우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세계괴물백과, #류싱, #이지희, #현대지성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