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 서가명강 시리즈 14
박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이지 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박훈 著, 21세기북스)”는 ‘서가명강 시리즈’ 중 14번째 책입니다. 


저자인 박훈 교수는 서울대학교 동영사학과 교수이면서 일본 정치문화와 일본인의 대외 인식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그는 일본 역사에 대한 대중의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매체에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고 하네요.

저자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우리는 일본의 역사에 대해 그다지 아는 것이 많지 않습니다. 저자도 지적했듯이 일단 일본의 인명(人名)이 첫번째 장애물인 것 같습니다. 또 한가지는 일본의 식민 경험으로 인해 의식적으로 일본의 역사에 대한 무관심 내지는 증오로 인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일본은 우리의 이웃일 뿐만 아니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 중 일본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일본의 역사를 과도하게 무시하는 것은 일본이라는 나라를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필터로 작용할 것입니다.

특히 메이지 유신은 일본 국민 대부분이 일본 근대화의 ‘영광스런 출발’이자 ‘자랑스런 뿌리’로 인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기에 메이지 유신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일본의 현재 정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자 역시 ‘근대 일본을 아는 첫걸음은 메이지 유신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의 현재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도 이야기합니다. 

최근 1인당 GDP(PPP 기준)에서 우리나라가 일본을 앞섰습니다. 저자의 이야기처럼 이제 우리는 일본과 제대로 경쟁하는 위치에까지 올라왔습니다. 이제 일본과 제대로 경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쟁상대에 대해 잘 알아야 하겠지요. 현대에까지 이어지는 흐름을 보면 일본 근대사에 대한 이해는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책은 메이지 유신에서 큰 활약을 한 요시다 쇼인 (吉田 松陰, 1830~1859), 사카모토 료마 (坂本 龍馬, 1836~1867), 사이고 다카모리 (西郷隆盛, 1828~1877), 오쿠보 도시미치 (大久保 利通, 1830~1878) 등 유신지사 4명의 이야기를 통해 메이지 유신을 조망하고 있습니다. 메이지 유신을 다룬 다른 책과는 관점이 다릅니다. 그리고 각 개인의 활약을 통해 시대를 바라보는 줌아웃 Zoom Out의 역사 기술(記述)을 통해 근대 일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일본 역사를 잘 모르는 독자를 위해 들어가기 전 일본 역사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키워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으로 접근성을 용이하게 풀어줍니다. 이웃나라이지만 생소하고도 어려운 일본 역사, 그 중 가장 복잡하고 어렵다고 알려진 일본 근대사에 대해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이야기해주고 있어 일본 근대사에 대해 궁금한 독자들은 한번 읽어봐도 좋은 책일 것 같습니다. 


#메이지유신을설계한최후의사무라이들, #박훈, #21세기북스, #서가명강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 주인공에겐 없다 - 재미있는 영화 클리셰 사전 재미있는 영화 클리셰 사전
듀나 지음 / 제우미디어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 주인공에겐 없다 (듀나 著, 제우미디어)”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여자 주인공만 모른다 (듀나 著, 제우미디어)”의 후속편 성격의 책인데 영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클리셰를 모아 놓은 책입니다.


저자인 듀나는 현재 한국과학소설연대 대표이기도 하며 SF 작가, 영화를 비롯한 대중문화 평론가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20여년 넘게 작가와 평론가 활동을 하였지만 워낙 신원이 안 알려져 있는데 토끼 사진 혹은 토끼 인형을 아바타로 활용하여 대외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먼저 클리셰 Cliché라는 말의 정의부터 하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독창적이고 진지한 의미를 가진 생각, 문구, 영화적 트릭 등이었으나 지금은 생각없이 반복되는 것이라고 저자는 정의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이러한 정의 중 반복이 아니라 ‘생각없이’에 방점을 찍어 클리셰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원래 클리셰는 19세기 당시 인쇄공들이 활자판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미리 만들어 놓은 조판을 의미하는 인쇄 용어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지금도 워드프로세서에서 주로 활용하는 상용구 등이 이런 전통을 이어 받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단순히 반복한다고 해서 클리셰, 즉 진부함이라 폄훼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보통 클리셰는 작품을 따분하게 하고 재미 없게 하는데 저자는 이에 대해 ‘생각 없이’ 반복함으로써 작가의 진실성이 없어지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상당히 공감이 가는 주장입니다.


저자는 그동안 영화를 비롯한 영상물에 대한 남다른 조예와 깊이가 있는 많은 글들을 써왔는데 그 중 앞에서 설명하였던 대중 문화 작품 속에 등장한 클리셰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저자의 해박한 대중문화 지식으로 재미있으면서도 깊이 있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 바로 “남자 주인공에겐 없다”입니다. 한번 잡으면 책의 끝까지 읽어야 할 만큼 빠져드는 글들이지만 시간 날 때마다 한 두 편씩 짧게 짧게 읽어가도 좋은 책입니다. 


#남자주인공에겐없다, #듀나, #제우미디어, #여자주인공만모른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레인 3.0 - 뇌공학자가 그리는 뇌의 미래
임창환 지음 / Mid(엠아이디)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런 머스크(Elon Reeve Musk, 1971~)라 하면 수많은 회사를 설립한 괴짜 기업가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하지만 그는 인공지능 분야에 많은 인사이트를 불어넣은 사람 중 하나로 그동안 인공지능의 블랙박스적 성격, 지나치게 빠른 발전 속도, AI에 의한 여론 조작 가능성, 기술 발전으로 인해 진짜 뉴스와 구분하기 어려운 가짜 뉴스 등 인공지능의 위험성과 이에 대한 대비가 부족함에 대해 지속적으로 경고해왔습니다. 이에 대한 대비를 하지 않는다면 강인공지능이나 아니면 약인공지능이라 할 지라도 강인공지능과 구분이 안될 만큼 강력한 AI에 의해 인간이 종속적 존재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라는 경고였습니다. 일런 머스크는 이에 대비하기 위해 OpenAI나 뉴럴링크 (Neuralink) 같은 회사를 설립하고 관련 연구와 대비를 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 중 뉴럴링크는 생명 공학을 주 업종으로 하는데 그 중 핵심 연구 분야는 바로 BCI, 즉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입니다. 즉, 인공지능과의 우위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인간의 뇌를 전자 삽입물 (implant)을 통해 증강하겠다는 아이디어입니다. 뉴럴링크의 발표에 따르면 최근까지 실험은 매우 성공적이라고 합니다. 유인원을 활용한 실험에서 BCI를 통한 컴퓨터 조작이 성공하였고, 돼지를 활용한 실험에서는 뉴럴링크 임플란트의 삽입과 제거가 그리 어렵지 않음을 증명하였다고도 합니다. 그리고 신경 손상 환자에 대한 대규모 임상 실험을 곧 진행할 것이라는 계획도 있고 FDA로부터 승인을 받았다는 이야기도 들려옵니다. 

만약 뉴럴링크에서 상용화된 BCI를 출시하게 되면 이제 모든 것이 달라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하지만 구체적으로 현재의 기술 수준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알아 보고 싶었지만 단편적으로 제공되는 뉴스로는 갈증을 해결하지 못하던 차에 “브레인 3.0 (임창환 著, Mid)”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크게 3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번째 챕터는 우리가 가지고 태어난 두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두 번째 챕터는 우리가 만들어낸 외부의 뇌, 바로 인공지능의 발전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챕터에서 바로 브레인 3.0이라 일컬어지는 자연 지능과 인공지능의 결합 테크놀로지, 뇌공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또한 각 챕터 마지막 부분에 실제로 받은 질문에 대한 저자의 답변 형식으로 구성된 부분은 제가 그동안 궁금했던 사항에 대한 많은 답을 주고 있어 매우 유익했습니다. 



저자인 임창환 교수는 현재 한양대학교 생체공학과 교수이자 뇌공학연구센터 센터장에 재직 중인 뇌공학 전문가입니다. 더구나 그가 주로 연구하는 분야 역시 앞서 이야기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분야이니 이 책을 통해 제 궁금증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였고 그 기대에 충분히 부응한 독서 경험이었습니다. 



#브레인3, #뇌공학자가그리는뇌의미래, #임창환, #MID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석조 하늘 부서진 대지 3부작
N. K. 제미신 지음, 박슬라 옮김 / 황금가지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문에는 의도하지 않은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드디어 대단원의 막이 내렸습니다. 

“석조 하늘(N.K. 제미신 著, 박슬라 譯, 황금가지, 원제 : The Stone Sky)”은 “다섯 번째 계절(원제 : The Fifth Season)”과 “오벨리스크의 문 (원제 : The Obelisk Gate)를 잇는 ‘부서진 대지 트릴로지 (The Broken Earth Trilogy)’의 마지막 이야기입니다. 이 시리즈는 시리즈 내내 단 한 순간도 지루할 틈 없이 압도적인 이야기와 아름다움 언어(새삼 번역가에게도 감사드립니다)로 독자를 만족시켜 준 시리즈입니다. 

그렇기에 이 시리즈는 휴고상 (Hugo Award) 장편소설 부문 최우수상을 3년 연속 수상하였을 것입니다. (그리고 아직까지 시리즈 전체가 휴고상 장편소설을 수상한 유일무이한 시리즈로 남아 있습니다.)


지질학적 개념을 활용한 조산력이라는 생소한 능력을 비롯해 정교하게 씨줄과 날줄을 엮어 직조한 세계관, 그 세계관 안에서 살아 숨쉬는 듯 움직이는 등장인물들, 그리고 숨막힐 듯 규모를 알 수 없는 멸망의 계절,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와 복선, 이 모든 것을 엮어 들려주는 언어의 아름다움, 그리고 언어의 아름다움을 충분히 살린 번역까지 무엇 하나 빠질 것 없고 부족함이 없는 독서 경험이었습니다. 

드디어 주인공 일행의 여정이 마지막에 이르렀을 때 이야기를 더 들려 달라고, 이야기를 더 내놓으라고 조르고 싶을 정도로 이야기에 푹 빠져 있었습니다.


N.K. 제미신, 감사합니다.

이런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주어서….




#석조하늘, #부서진대지, #NK제미신, #박슬라, #황금가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빅니스 - 거대 기업에 지배당하는 세계
팀 우 지음, 조은경 옮김 / 소소의책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니스 (팀 우 著, 조은경 譯, 소소의책, 원제 : The Curse of Bigness)”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거대기업들에 경제력과 정치력이 집중되면서 벌어지는 부의 집중, 빈곤의 확대, 이로 말미암은 불평등의 확산, 삶의 질 저하 등을 지난 수십 년 간 벌어진 반독점과 독점의 역사를 통해 살펴보고 있습니다.


저자인 팀 우 (Timothy Shiou-Ming Wu)는 콜롬비아 대학교 법학 교수이며 최근 페이스북 해체 등 독점 금지 소송을 옹호하는 반독점주의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1980년대부터 급격하게 세를 확산하여 이제는 마치 노멀처럼 되어버린 신자유주의와 독점기업에 의한 경제력, 정치력의 집중을 경계하고 그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의 산업구조는 과거와는 다르게 더 적은 일자리로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정보 산업, 플랫폼 산업이 핵심으로 떠오름에 따라 양극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어떤 학자들은 이대로 가면 자본주의를 더 이상 지탱할 수 없을 것이라 이야기합니다.




사실 여기에는 과거에 만들어졌던 많은 조약이나 협의들이 민간 영역이 공적 영역 혹은 공적 권력에 비견할 만한 힘이나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생각 자체를 못하고 방치한 사이에 급격하게 민간 영역의 경제력과 사적 권력이 확대되면서 벌어진 일이기는 합니다. 그런 결과로 기업가가 정치인보다 더 많은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고, 법에 의해 인격이 부여된 기업이 자연인보다 더 많은 권리와 혜택을 받고 정치적, 경제적으로 보호받는 상황이 벌어져 버린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국가에서의 정책은 이에 대한 대안이 아니라 많은 국가들이 법인세를 인하하고 있는 등 오히려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법인세 인하가 마치 선(善)인 것처럼 여론을 호도하기도 합니다. 거대 기업은 수익을 독점하여 가져갈 뿐만 아니라 그 힘으로 더 많은 혜택을 얻어내고 있습니다. 저자는 아마존이 수익에 대해 미국 정부에 단 한 푼의 세금도 내지 않고 오히려 보조금을 받고 있다(2018년 기준)고 주장합니다.




저자는 민주주의를 위해서라면 사적 권력을 통제하는 방향으로 선회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것으로 봐서 이러한 사적 권력의 확대는 결국에는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오염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듯합니다. 궁극적으로 우리의 삶을 제대로 영위할 수 있게 유지하려면 독점 수익을 재분배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 체졔 내지는 자본주의의 수정이 필요할 것입니다. 신자유주의적 경제 사항이나 독점 자본주의적 방식이 올바르고 정의로운가를 떠나서 자본주의의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을 제대로 과연 유지시켜줄 수 있는가를 이제는 생각해봐야 할 대목인 것 같습니다.




“자유는 그것을 보호할 보호자가 없으면 결국 스스로를 파괴한다.”



#빅니스, #팀우, #조은경, #소소의책,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