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퍼드 세계사
펠리페 페르난데스아르메스토 외 지음, 이재만 옮김 / 교유서가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옥스퍼드 세계사 (펠리페 페르난데스아르메스토 외 共著, 이재만 譯, 교유서가, 원제 :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World)”를 읽었습니다.

 역사를 다룰 때 특정 소재를 미시적인 관점에서 현미경처럼 아주 세밀하게 바라보거나 역사의 흐름을 망원경으로 바라보듯이 거시적으로 바라보는 등 여러가지 역사 기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중 이 책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은 (이 책의 표현을 빌리자면) ‘우주의 망대에 올라선 은하계 관찰자가 지구를 바라봤을 때 역사가 어떻게 보이는지를 염두에 두고 서술한 방식입니다. , 이 책은 인류가 태동한 시점부터 현대에까지 이르는 20만년의 역사를 거시적이면서도 넓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인류의 태동과 문명의 시작, 그리고 고대, 중세, 근대와 현대까지 인류 역사를 시대별로 5부로 구분하고 공저자들이 각 장을 맡아 기술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펠리페 페르난데스아르메스토 (Felipe Fernández-Armesto)를 대표 저자로 하고 데이비드 크리스천 (David Christian), 클라이브 갬블 (Clive Gamble), 마틴 존스 (Martin Jones), 이언 모리스 (Ian Morris), 제레미 블랙 (Jeremy Black) 등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역사학자, 고고학자들이 공저자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데 그 이름 하나 하나가 매우 대단합니다.

또한 원제(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World)에서 드러나듯 다양한 그림, 사진, 지도를 동원해 설명하고 있어 본문의 내용을 독자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본문만 650페이지가 넘는 두꺼운 책이지만 의외로 책 페이지는 쉽게 넘어갑니다. 다만 역사 서술의 관점으로 인해 이 책에서는 세계사의 큰 흐름을 짚어만 보고 있어 구체적인 역사적 사건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별도의 독서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인류가 탄생해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빅 히스토리적 관점에서 세계사를 살펴볼 수 있는 개괄서로는 이 책이 가장 좋은 선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옥스퍼드세계사, #교유서가, #이재만, #펠리페페르난데스아르메스토, #클라이브갬블, #마틴존스, #존브룩, #데이비드노스럽, #이언모리스, #마누엘루세나히랄도, #안자나싱, #데이비드크리스천, #파올로루카베르나르디니, #제러미블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라미터O
이준영 지음 / 황금가지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라미터 O (이준영 著, 황금가지)”를 읽었습니다. 


(이하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시설, 지구 상 모든 생명종들은 멸종하고 일군의 인간만 살아남아 삶을 이어가는 곳. 시설 바깥의 환경은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와 방사능으로 적대적이기만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외부 작업은 쉽지 않아 인간들은 기계종(機械種)들에게 의존하며 살아갑니다.

주인공 조슈는 탈주한 아이를 탐색하다 그 아이가 들고 있던 전파수신기를 발견합니다. 외부에 문명이란 문명은 전부 파괴된 상태에서 전파수신기는 알 수 없는 전파를 수신하는데.

조슈는 이것의 전파원(電波源)을 모종의 사건으로 시설 밖으로 도망쳐야 했던 자신의 엄마라고 확신합니다. 그리고 조슈는 엄마를 찾기 위해 외부 탐사에 나서는데, 발견한 전파원은 작동을 멈춘 기계종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옆에서 발견한 새로운 기계종. 그 기계종은 자신을 이브(EV)라 칭하며 조슈를 창조주라 칭합니다. 

조슈는 이브와의 대화를 통해 아무런 목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합니다. 모든 기계종은 인간에게 봉사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그것이 바로 목적인데 목적이 존재하지 않는 기계종이라니 믿을 수 없습니다. 일단 시설로 이브를 데려와 메모리를 검사해보지만 ‘파라미터 O’라는 의문의 단어 하나만 나타날 뿐입니다.  







문명과 생명의 멸망 이후에 대한 세계에 대한 세밀하고 정교한 묘사도 좋았고 새로운 기계종의 출현과 그들의 목적에 대한 탐색 등이 흥미롭게 이어지면서 인간 문명의 종말, 기계문명의 창세를 엮어 주제의식을 잘 드러낸 수작이라고 이 작품에 대해 평가하고 싶습니다. 

다만 주제의식에 비해 인물들이 다소 평면적이라던가 주인공과 엘라의 갈등이 다소 뜬금없었다는 점이 좀 아쉬웠던 부분이었는데 첫 장편소설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작가의 다음 작품을 기대해 봅니다.  




#파라미터O, #황금가지, #이준영, #SF, #포스트아포칼립스, #창세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여년 : 오래된 신세계 - 중1 - 양손에 놓여진 권력
묘니 지음, 이기용 옮김 / 이연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여년 中 1권 (묘니 著, 이기용 譯, 이연)”을 읽었습니다. 이 시리즈는 총 6권 출간 예정인데 이제 3권 (정확히는 중 1권)까지 출간되었습니다.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판시엔 (范閑)은 “경여년 上 2권”의 말미에 자객의 습격을 받아 가슴에 비수가 꽂힌 채 정신을 잃고 맙니다. 하지만 판시엔은 이미 그 자객의 신분을 충분히 추측할 수 있었고 그것이 너무나 무섭습니다. 차라리, 그대로 못 깨는 한이 있더라도 그 사실만은 마주하고 싶지 않습니다.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진 판시엔은 내고를 장악하기 위해 강남으로 향하고, 여기에서 새로운 인연, 샤츠페이 (夏栖飛)를 만나 그를 감사원 관원으로 끌어들이면서 준비를 차근 차근 해 나갑니다. 거기다 현공 사당에서 목숨을 구해준 3황자가 판시엔의 강남행에 동행하면서 점차 인연이 깊어집니다. 


드디어 양손에 권력을 거머쥔 판시엔, 하지만 그의 권력이 강대해질수록 그에게 가해지는 암습 역시 강대해집니다. 이제는 그를 총애하는 황제의 눈치조차 살피지 않는 도발을 감행해 옵니다. 아니 이 정도의 도발이면 황제에게 무슨 일이 생긴 것이 틀림 없습니다. 여기까지 생각이 미친 판시엔은 연화령, 1급 위험 구조 신호를 발동합니다. 그가 경국의 모든 군대를 운용할 수 있는 신호 체계, 하지만 판시엔은 군대가 올 수 없을까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최근 출간되는 중국 소설들은 웹소설 기반이라 그런지 한 권 한 권이 무시 못할 분량인데다 몇 권씩이나 되는 시리즈물이라 그 자체가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 듯합니다. 하지만 일단 읽기 시작하고 나면 페이지 넘어가는 줄 모르고 읽게 되는 재미가 있지요. ‘경여년’ 시리즈도 마찬가지로 재미면에서 매우 탁월한데 정치물과 무협물을 결합하고 SF나 판타지의 장르적 장치를 정교하게 배치하여 이야기를 풍성하게 엮어내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편에서 주인공이 새로운 권력을 차지해나가지만 그에 대해 반작용으로 더 큰 도발을 불러일으키는데 이렇듯 주고 받는 이야기를 흥미롭게 잘 이끌어나가고 있습니다. 이 시리즈의 출간 주기가 굉장히 빠른데 1월 중에 출간 예정인 “경여년 중 2권 : 천하를 바라본 전쟁”도 기대하겠습니다.


덧붙이는 말 : ‘경여년’ 시리즈는 2019년 드라마로 제작되어 엄청난 인기를 기록한 ‘경여년’의 원작 소설인데 드라마는 무려 66억 뷰 (상상조차 되지 않는 조회수네요)에다 당시 10대 우수드라마에도 선정되었다고 하니 그 인기를 짐작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경여년, #경여년중1, #양손에놓여진권력, #오래된신세계, #묘니, #이기용, #이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에 더 가까이, 탐험 - 오지에서 미지의 세계까지 위대한 발견 실화 80
제니 오스먼 지음, 김지원 옮김 / 이케이북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에 더 가까이, 탐험 (제니 오스먼 著, 김지원 驛, 이케이북, 원제 : The Little Book of Big Explorations)”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과학사에서 큰 업적을 남긴 80가지 탐험에 대한 기록입니다. 


우리의 문명을 이룬 여러 미덕 중에 호기심은 그 첫 손에 꼽을 만할 것입니다. 책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우리에게 호기심이 없었다면 인류는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기술이나 문명을 이루지 못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호기심은 우리는 미지와 미답의 영역을 인정하지 않게 합니다. 언제나 알고 싶어하고 가보고 싶어하지요. 그렇기에 아문젠 (Roald Engelbregt Gravning Amundsen, 1872~1928)이나 유리 가가린 (Ю́рий Алексе́евич Гага́рин, 1934~1963), 닐 암스트롱 (Neil Alden Armstrong, 1930~2012)처럼 미답지에 처음 발을 디딘 탐험가를 위대하다고 하는지도 모릅니다.   다만 인류의 위대한 도전 중 과학 지식의 발전에 공헌 하지 않은 탐험(ex. 마르코 폴로, 에드먼드 힐러리 등)은 이 책에서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우주 공간에 펼쳐진 수많은 별, 은하, 성운, 성단들의 화려한 사진의 대부분은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것입니다. 

지상에서 하늘의 천체를 관측한다는 것은 일정 왜곡을 감수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대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이런 대기의 왜곡을 보정하는 적응광학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천문학계여서는 우주 공간에 망원경을 띄우고자 하는 노력을 오랫동안 기울여 왔습니다. 1990년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에 실려 우주 공간에 나아간 망원경이 바로 허블 우주망원경입니다.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서비스 타임을 이어가고 있는 이 망원경은 우리가 우주에 대해 알았던 많은 것들을 바꿔왔다고 합니다. 

나선 은하에 존재하는 별들의 배열, 대마젤란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도 하고, M87의 중심에 있는 초거대질량 블랙홀의 증거를 발견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창조의 기둥에서 갓 태어나는 별들을 우리에게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허블 우주망원경의 위대한 업적 중의 하나는 우리가 빈 공간이라 생각하던 암흑 속에 수많은 은하들이 있는 것을 발견한 허블 딥 필드, 허블 울트라 딥 필드입니다. 이 허블 우주 망원경의 관측 결과로 최근에는 134억 년 전의 아기 은하까지 관측하였습니다. (책에는 빅뱅이 일어난 지 40억년 후라고 번역되어 있는데 아마 4억년의 오타인 것 같습니다.)


이렇듯 엄청난 활약을 한 허블 우주 망원경은 바로 우주가 팽창한다는 증거를 찾아낸 에드윈 허블 (Edwin Powell Hubble, 1889~1953)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에드윈 허블은 당시 정상 우주론과 우리 은하가 우주의 전부라는 주류 이론을 뒤엎을 만한 증거를 찾아내어 우주가 팽창하고 있으며 우리 은하는 우주에 있는 많은 은하 중 하나라는 사실을 밝혀낸 천문학자입니다.



과학은 이론만으로는 성립할 수 없습니다. 이론만으로 믿음을 강요한다면 그 자체로 더 이상 과학이 아닙니다. 과학은 언제나 실험이나 실증을 통해 그 이론이 옳음을 증명해야 합니다. 그렇기에 탐험은 과학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탐험은 오지, 미지에 대한 탐사를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과학적 사실들을 뒤바꾸어 놓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식에 대한 갈망, 호기심을 충족시켜 왔던 탐험의 역사에 대해 궁금하다면 한번 읽어봐도 좋은 책일 것 같습니다.





#제니오스먼, #과학에더가까이탐험, #김지원, #이케이북,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 번째 뇌 - 모방 욕망에 숨겨진 관계 심리학
장 미셸 우구를리앙 지음, 임명주 옮김 / 나무의마음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 번째 뇌 (장 미셸 우구를리앙 著, 임명주 譯, 나무의마음, 원제 : Notre troisième cerveau)”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거울신경세포, 즉 모방과 공감의 중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뇌신경 네트워크를 통한 다른 사람과의 관계 심리학에 관한 책입니다. 


저자인 장 미셸 우구를리앙 (Jean-Michel Oughourlian, 1940~)은 프랑스 출신의 의사이자 심리학자로 르네 지라르 (René Girard, 1923~2015)가 주창한 모방 이론를 연구하여 임상적 관점에서 발전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저서 중 모방 이론을 기반으로 사랑과 욕망, 질투를 설명한 “욕망의 탄생 (김진식 譯, 문학과지성사, 원제 : Genese du desir)”이 번역 소개되어 있으며 “세 번째 뇌”는 두 번째로 소개되는 책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세 번째 뇌가 어떤 것인지 알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뇌에는 영역별로 고유한 기능이 있고 각각의 기능이 뇌의 전체 활동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이런 뇌의 기능 중 책에서는 사고와 기억 기능을 담당하는 대뇌 피질을 첫 번째 뇌라 칭하고 감정의 기능을 담당하는 대뇌 변연계를 책에서 두 번째 뇌라 칭하고 있습니다. 책에 따르면 이 두 뇌의 기능이 그 동안 심리 작용과 심리 현상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해왔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저자는 사람 간의 관계, 상호성, 모방 같은 변수들이 정신 현상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정신 분석에서 바라보는 시각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합니다. 1990년대 발견한 거울신경체계가 바로 이 역할을 한다는 것인데 저자는 이것을 세 번째 뇌라고 부르기로 합니다.

(거울신경체계는 해부학적으로 볼 때 별도의 영역이 있는 것은 아니며 뇌 신경의 네트워크에 가깝다는 사실은 짚고 넘어가야 제목이나 명칭에서 불러일으킬 수 있는 오해를 피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듯 저자가 세 번째 뇌라 칭한 거울신경체계는 인간의 이성이 작동하기 전에 즉각적으로 모방하고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감정 체계와 의식 및 사고 체계 간 복잡한 상호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것이 바로 ‘공유망 가설’이라고 합니다. 특히 과학자들은 뇌에서 인지 작용이 미처 일어나기 전에 거울신경체계가 먼저 작동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뇌가 타인의 의도를 재현 혹은 모방하려고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행동에 대해 먼저 자율신경계에서 활성화되고 감정체계나 사고체계는 이에 뒤따라 반응한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 주제입니다. 

 또한 이러한 모방 메커니즘은 경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욕망이 동일한 대상을 향하는 것은 모방 메커니즘 상 필연적인데 이런 피드백을 거쳐 그 욕망은 강화되고 인정하게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대상이 공유할 수 있다면 욕망하는 주체는 상호간의 유대감이 늘어날 수 있지만 공유할 수 없는 무엇인가라면 오히려 경쟁관계에 놓인다는 것이지요.

그러나 인간은 이러한 경쟁적 모방 메커니즘이나 자아의 많은 부분이 타인에게서 왔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그 이유를 두 번째 뇌에서 그에 해당하는 감정을 찾아내고 다시 첫 번째 뇌에서 합리적 설명과 정당성을 부여한다고 이 책에서는 주장합니다. 뇌의 주요 기능을 발견한 것은 사고, 감정, 모방의 순서이지만 작용은 그 역순으로 진행된다는 것이지요.


거울신경세포라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은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작용을 하고 인간의 심리 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까지는 그동안 알지 못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거울신경체계에 대한 저자의 주장은 매우 흥미로웠으며 새로운 사실 역시 알게 되었습니다. 다만 심리학이나 정신분석학에 대한 조예가 깊지 않아서 잘은 모르겠지만 주장의 기저가 되는 많은 레퍼런스들이 다소 낡은 것들이라 저자의 모든 주장을 선뜻 받아들이지는 못하고, 관련하여 다른 독서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세번째뇌, #장미셸우구를리앙, #나무의마음, #임명주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