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와 소음 - 불확실성 시대, 미래를 포착하는 예측의 비밀, 개정판
네이트 실버 지음, 이경식 옮김 / 더퀘스트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호와 소음 (네이트 실버 著, 이경식 譯, 더퀘스트, 원제 : The Signal and the Noise: Why So Many Predictions Fail ? but Some Don't)”을 다시 읽었습니다.

제가 예전에 읽었던 “신호와 소음”은 2014년판이었으니 5-6년만에 개정판으로 다시 읽게 되었네요.



이 책은 수많은 데이터와 정보 속에서 유용한 신호를 걸러내고, 이를 통해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야기들을 들려주는 책입니다. 기본적으로 통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책이라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앞서 수많은 데이터라 표현하긴 했지만 IBM의 추정에 따르면 우리는 무려 250경바이트 정도의 데이터를 ‘매일’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상상도 안되는 엄청난 크기의 데이터인 것입니다. 이렇듯 엄청난 데이터 속에서 우리에게 미래를 예측하거나 예상하는데 필요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정보는 거의 찾아볼 수 없고 대부분은 우리에게 소음, 내지는 쓰레기입니다. 실제로 책에서 저자는 정보의 양이 엄청난 속도로 늘어나고 있지만 ‘유용한 정보의 양은 그렇게 빠른 속도로 늘어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자는 이 책에서 수많은 정보에서 신호와 소음을 구분하고 예측의 해법에 대한 주제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자 역시 예측의 해법이 ‘객관적’이고 ‘완벽’하다고 주장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그는 ‘언제나’ 주관적 관점으로 예측이 오염될 수 있다는 분명한 사실을 주지시킵니다. 거짓으로 판명될 수 없는 가설은 과학적 가설이 아니라 보왔던 칼 포퍼의 관점처럼 저자 역시 예측은 현실 속에서 검증이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 책을 처음 읽었던 당시에도 데이터 홍수에 대한 이슈는 있었지만 지금처럼 가짜뉴스에 대한 첨예한 이슈는 그다지 부각되지 않았던 때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정교한 가짜뉴스로 인해 제대로 된 ‘신호’와 ‘소음’을 구분하는데 매우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물론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그러한 가짜 정보를 ‘완전히’ 걸러낼 수 있을 수는 없습니다. 저자마저도 우리가 틀릴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고 하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우리가 현상과 정보를 바라볼 때 그 이면과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를 예측해보는 훈련을 해 본다면 어떨까 합니다. 




#신호와소음, #네이트실버, #이경식, #더퀘스트,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11-17 22: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화이트블러드
임태운 지음 / 시공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이트블러드 (임태운 著, 시공사)”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SF의 서브 장르 중 좀비 아포칼립스와 스페이스 오페라를 결합한 독특한 SF소설입니다.


특수광견병이라 불리우는 좀비가 창궐하는 지구, 인류는 마지막 희망을 담아 세대 우주선 ‘게르솜’을 인류의 새로운 정착지 ‘카난’으로 쏘아보냅니다. 그러나 뒤따라 출발하기로 예정되었던 ‘엘리에셀’은 정체를 알 수 없는 공격을 받아 파괴되어 버립니다. 

‘방주에 올라타지 못할 바엔 함께 자멸하자는 거지. 무의미하다고? 인간은 타인을 파괴할 때 의미를 따지지 않아.’


인류는 겨우 남은 잔해와 부품을 모아 40여년 동안 수천명만 탑승할 수 있는 ‘엘리에셀’을 건조하여 ‘카난’을 향해 출발합니다. 그리고 좀비를 막아주던 대방벽은 무너집니다.


이도.

그는 속칭 좀비, 특수광견병 감염자에 대항하기 위해 백혈시술이라는 생체 시술을 받은 초인입니다. 백혈 시술. 몸 속에 나노봇을 투입하여 생체 능력과 재생 능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린 존재들. 하지만 그들의 생사여탈권은 인간들이 쥐고 있습니다. 또한 인간을 보호하지만 순혈인간이 아니라는 이유로 차별과 구속을 당하고 있기도 합니다.

카난을 향해 순항하던 ‘엘리에셀’에 무슨 이상이 생긴 게 틀림 없습니다. 그는 카난에 도착할 때까지 깨어나면 안되는데 두 명의 남녀 승무원이 그를 깨운 것입니다. 

반란이 일어난 것일까요, 아니면 태양돛이 찢어져 추진력을 읽어버린 것일까요?


40년 전에 출발했던 방주 게르솜을 통상 우주공간에서 발견한 것입니다. 계획대로라면 이미 카난에 도착하여 새로운 정착지를 일구고 있어야할 저 우주선이 왜 여기에 표류하고 있을까요? 이도와 카디야, 보테로 등 세 명의 백혈인간은 그 원인을 찾기 위해 게르솜에 투입됩니다.

그리고 발견한 것은. 여기에도 특수광견병이 발병한 것입니다. 방역에 실패한 것이죠.



작중에서 백혈인간은 순혈인간을 구원하는 혹은 보호하는 존재입니다. 하지만 생명과 자유는 자신의 피보호자에게 구속받고 있으며 차별당하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자신의 피보호자로부터 차별받는 절대자의 서사와 그로부터 파생되는 ‘인간의 자격은 누가 부여하는가’라는 물음은 홍정훈 작가가 쓴 “창세종결자 발틴 사가”가 언뜻 생각납니다만, 이 작품에서는 판타지 세계관이 아닌 우주와 거대한 우주선에 벌어지는 활극이 매우 흥미롭게 펼쳐집니다. 

최근 해외 작가의 SF보다 국내 작가의 SF가 더 많이 출간되고 있는데 국내 SF 작가의 장르적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것 같아 매우 기분 좋은 독서였습니다.



#화이트블러드, #임태운, #시공사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굉장한 것들의 세계 - 가장 크고, 가장 빠르고, 가장 치명적인 생물의 진화
매슈 D. 러플랜트 지음, 하윤숙 옮김 / 북트리거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진화’라는 단어를 사용하곤 하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생물의 진화는 놀라움을 넘어서는 것 같습니다. 어떤 생물은 우주 공간에 나가지도 않았지만 우주에서도 생존하는 녀석이 있는가 하면 초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생물도 있다고 합니다. 

이렇듯 자신의 능력을 극한으로 진화시킨 (사실 진화의 주체는 자연과 환경이지 생물은 아닙니다.생물은 단지 적응을 했을 뿐이지요. 하지만 표현을 이렇게 쓰는 것을 양해바랍니다.) 각종 생물에 대한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바로 “굉장한 것들의 세계 (매슈 D. 러플랜트 著, 하윤숙 譯, 북트리거, 원제 : Superlative: The Biology of Extremes)”입니다. 

 

인간만이 언어와 도구를 사용하고 감정을 느낀다고 여겨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학자들이 동물 역시 언어와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최근에는 석기를 제작하는 카푸친 원숭이에 대한 기사도 나왔었죠.)  감정과 자의식이 있다는 것도 속속 밝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간 이외의 자의식이 있는 생물종을 비인간 인격체 (Non-human Person)라는 용어로 지칭하기도 합니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인 ‘똑똑한 것들’에는 인간만이 지구상의 유일한 지성체라 믿는 것이 얼마나 허망한 것인지, 잘못된 믿음인지 잘 드러나는 에피소드들이 있습니다.


아니, 책 전체적으로 자그마한 유기물질로부터 수억년에 걸친 진화를 통해 정말 ‘극단적으로’ 거대하고, 작고, 오래 살고, 빠르고, 시끄럽고, 강인하고, 치명적이며 똑똑한 능력을 가진 생명체 (Extremes)에 대한 이야기들이 넘쳐 납니다. 누구나 충분히 재미를 느끼면서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굉장한것들의세계, #매슈D러플랜트, #하윤숙, #북트리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도시 이야기 허밍버드 클래식 M 5
찰스 디킨스 지음, 김소영 옮김 / 허밍버드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고의 시간이면서 최악의 시간이었다. 지혜의 시대였지만 어리석음의 시대기도 했다. 믿음의 신기원이 도래함과 동시에 불신의 신기원이 열렸다. 빛의 계절이면서 어둠의 계절이었다. 희망의 봄이었지만 절망의 겨울이기도 했다. 우리는 모든 것을 다 가진 것 같다가도 모든 것을 다 잃은 것 같았다. 다 함께 천국으로 향하다가도 지옥으로 떨어지는 것만 같았다. 지금도 물론 그런 식이지만, 언론과 정계의 목소리 큰 거물들은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그 시대가 극단적으로만 보여지길 원했다. (출처 : 허밍버드 클래식 M 判 두 도시 이야기)

It was the best of times, it was the worst of times, it was the age of wisdom, it was the age of foolishness, it was the epoch of belief, it was the epoch of incredulity, it was the season of Light, it was the season of Darkness, it was the spring of hope, it was the winter of despair, we had everything before us, we had nothing before us, we were all going direct to Heaven, we were all going direct the other way—in short, the period was so far like the present period, that some of its noisiest authorities insisted on its being received, for good or for evil, in the superlative degree of comparison only.  (출처 : https://en.wikiquote.org/wiki/A_Tale_of_Two_Cities)’


“두 도시 이야기 (찰스 디킨스 著, 김소영 譯, 허밍버드, 원제 : A tale of two cities)”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찰스 디킨스 (Charles Dickens, 1812~1870)는 무학의 대문호로도 유명한데 그의 작품은 당대에도 매우 큰 인기를 누려 독자들이그의 작품이 출간되기만을 기다렸다고도 전해집니다. 또한 BBC가 선정한 가장 위대한 영국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할 만큼 현대에도 그 이름을 크게 남기고 있습니다.

“두 도시 이야기”는 찰스 디킨스가 1859년 발표한 프랑스 혁명 시기를 다룬 역사 소설로 크리스마스 캐럴 (A Christmas Carol ), 위대한 유산(Great Expectations), 올리버 트위스트 (Oliver Twist) 등과 더불어 찰스 디킨스의 대표작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는 작품입니다. 또한 이 작품은 2007년 초연된 브로드웨이 뮤지컬이라던가 수 차례에 걸쳐 제작된 영화, TV 시리즈 등 대중문화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에 읽은 “두 도시 이야기”는 허밍버드 브랜드에서 뮤지컬이나 오페라의 원작이 되는 고전문학을 출판하는 시리즈 ‘허밍버드 클래식 M’으로 선보인 번역 판본입니다.)

자비스 로리는 프랑스로 떠나는 배를 타기 위해 도버행 우편 마차에 타고 있습니다. 그런 그에게 ‘도버에서 아가씨를 기다리길’이라는 짧은 편지가 도착합니다, 그는 편지를 읽고 난 후 ‘되살아남’이라는 ‘별난’ 답장을 전합니다. 
그 후 로리는 도버에서 마네트양을 만나서 자신과 마네트양의 아버지와의 인연을 이야기해줍니다. 그리고 충격적인 비밀을 털어놓는데, 바로 마네트양의 아버지, 마네트 박사가 살아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네트 박사를 프랑스에서 구출하여 영국으로 데려오려는 ‘비밀 작전’을 수행하려고 한다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모든 정보는 ‘되살아남’이라는 문장에 담아…

찰스 디킨스는 대격변의 프랑스 혁명 시기, 파리와 런던 두 도시를 오가며 펼쳐지는 역사 속에서 펼쳐지는 그 이야기 속에 사랑과 숨겨진 비밀들을 세밀한 묘사와 마치 낭독하는 듯한 문체로 시간을 건너 우리에게 들려줍니다. 고전(classic)이 왜 고전인지, 그 이유를 알 수 있는 소설이었습니다. 

‘그녀가 그의 입술에 입 맞추고, 그도 그녀의 입술에 입을 맞춘다. 그들은 서로를 엄숙하게 축복한다. 그의 손을 놓아도, 그녀의 손은 떨리지 않는다. 선한 얼굴은 오직 달콤하고 환한 결심으로 가득하다. 그리고 그녀는 그보다 먼저 나가고.. 떠나간다.  (출처 : 허밍버드 클래식 M 判 두 도시 이야기)’


#두도시이야기, #찰스디킨스, #김소영, #허밍버드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쉽게 따라하는 행동경제학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오타케 후미오 지음, 김동환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동경제학은 행동주의 심리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제한적 합리성을 전제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경제학 이론입니다. 

기존의 경제학 이론이 이론이 ‘합리적 경제인이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최선의 판단’을 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이론을 전개한 것과는 기본 가정이 다릅니다. 이러한 행동경제학은 경제학 분야에서 그간 비주류 취급을 받아왔지만 2002년과 201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면서 대중의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또한 최근 발전하고 있는 심리학이나 신경과학의 이론을 행동경제학 이론에 받아들이면서 통제 변인을 엄격하게 관리하는 실험이 불가능한 사회과학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넛지 이론 (Nudge theory)이 바로 이 행동경제학 이론의 일부이기도 합니다. 


앞서 행동경제학은 ‘제한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는 언급을 했는데 이는 현실적 인간상, 즉 인간의 의사결정에는 현재바이어스, 사회적 선호, 전망 이론, 휴리스틱스 등 습관적 특징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인간의 의사결정은 합리적으로 추론하여 예측할 수 있는 것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므로 행동경제학적 특성을 활용하여 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넛지 (Nudge)라고 합니다. 


“쉽게 따라하는 행동경제학 (오타케 후미오 著, 김동환 譯, AK커뮤니케이션즈, 원제 : 行動経済学の使い方)”은 행동경제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활용하여 넛지를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 책입니다. 저자인 오타케  후미오 (大竹文雄, 1961~)은 노동경제학과 행동경제학을 주로 연구하는 일본의 경제학자로 현재 오사카 대학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 중이라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먼저 행동경제학의 핵심 개념과 기초 지식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중 의사결정의 가정을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과의 차이를 4가지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불확실성 하에서의 의사결정 방식의 차이입니다.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에서 인간은 불확실성 하에서 의사결정은 발생 가능한 여러 상황에서의 만족도에 대한 가중 평균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을 취하고 있는 반면 행동경제학 이론은 전망이론 (prospect theory)에 따라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입니다. 

두번째로 의사결정 시점의 차이입니다.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에서는 의사결정 시점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실의 인간은 될 수 있는 한 지금 싫어하는 일은 뒤로 미루는 경향이 강한 현재 바이어스 (present bias)를 가지고 있습니다.

세번째로 인간의 이타성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있습니다.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에서 인간에게 이타성은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이기적인 인간들만 있더라도 시장이 충분히 경쟁적이면 사회 전체의 풍요는 증가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행동경제학에서는 이타성과 호혜성이 중요한 가정을 이룹니다.

네번째로 직관에 대한 관점 차이입니다. 전통적인 경제학에서 인간은 뛰어난 계산 능력을 상정하지만 행동경제학에서는 휴리스틱 (heuristics), 즉 일정 패턴을 가지는 직관적 의사결정을 가정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1장에서는 이러한 행동경제학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기본 개념들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책의 2장에서는 넛지에 대한 설명을 이어갑니다. 넛지는 앞서 이야기했듯이 행동경제학적 특성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리처드 세일러 (Richard H. Thaler)는 이를 ‘선택을 못하게 하거나 경제적 인센티브를 크게 바꾸지 않고도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 가능하게 바꾸는 선택 설계의 제반 요소’를 의마한다고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바꾸려 할 때에는 법이나 제도를 통해 특정 행동을 금지하거나 제한하여 선택 자체를 못하게 하거나 금전적 인센티브를 활용하지만 행동경제학적 수단을 활용하면 이러한 것들 없이도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책의 3장부터는 넛지를 설계하고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기술되어 있기도 해서 행동경제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되는 책이 될 것 같습니다.


#쉽게따라하는행동경제학, #오타케후미오, #김동환, #AK커뮤니케이션즈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