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 위의 중국사 - 한 상 가득 펼쳐진 오천 년 미식의 역사
장징 지음, 장은주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한 딸기를 겨울철에 맛볼 수 있고, 칠레에서 잡은 생선이나 이스라엘에서 재배한 오렌지를 우리나라 마트에서 사시사철 구매할 수 있는 지금에야 음식을 문화와 연결시키는 것은 직관적이지 않습니다만 신선식품의 보관이 여의치 않았던 현대 이전에는 음식이라는 것은 결국 그 지방에서 나는 산물을 바탕으로 만들어질 수 밖에는 없었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 나라, 혹은 지역의 문화사를 살펴 보는 도구로써 ‘음식’이나 ‘조리법’은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식탁 위의 중국사 (장징 著, 장은주 譯,  현대지성, 원제 : 中華料理の文化史)”는 춘추전국시대부터 명청(明淸)까지 각 시대별로 주로 먹은 음식, 요리, 그리고 식문화에 대해 다르고 있는 책입니다. 


보통 중국의 음식을 중화요리라고 하고 5천년의 역사라는 수식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저자는 5천년 역사도 과장이고, 중화요리도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저자에 의하면 각 시대별로 봤을 때 현대에 주로 언급되는 중화요리 중 일부가 나타나는 것은 겨우 송대에 이르러서라고 합니다. 또한 광동요리, 사천요리, 산동요리 등의 특징이 분명하고 너무 달라 이를 묶어 중화요리라 통칭하지도 않는다고도 이야기합니다. 특히 중화요리는 역사 속에 많은 변화를 거쳐왔으며 많은 이민족의 문화가 융합된 ‘잡종의 식문화’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역사(歷史) 분야를 가만히 들여다 보면 참으로 방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류는 기록을 남기기 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참으로 많은 것을 이루어냈고 그것을 하나 하나 살펴보려면 한 사람의 인생으로는 어림도 없을 만큼 많은 아카이빙이 쌓여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심지어 우리가 심상하게 받아들이는 냉장고나 펜 같은 경우도 역사책 한 권 분량이 나올 정도니까 말이죠. “식탁 위의 중국사”는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중화요리를 주제로 중국사를 관통하는 음식의 문화사를 펼쳐내고 있습니다. 문화사에 관심이 많은 독자에게 일독을 권해드립니다.




#식탁위의중국사, #장징, #장은주, #현대지성, #중국문화, #문화사, #역사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탁 위의 중국사 - 한 상 가득 펼쳐진 오천 년 미식의 역사
장징 지음, 장은주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탁 위의 중국사”는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중화요리를 주제로 중국사를 관통하는 음식의 문화사를 펼쳐내고 있습니다. 문화사에 관심이 많은 독자에게 일독을 권해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날, 그곳에서 안전가옥 오리지널 7
이경희 지음 / 안전가옥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던 추락이 끝나고, 해미의 다이브가 시작되었다.’


고리1호 원전의 방사성 물질 유출사고로 어머니를 잃은 해미. 

그녀는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숱한 실패에도 불구하고 ‘그날, 그곳으로’ 다이브를 합니다. 





“그날, 그곳에서 (이경희 著, 안전가옥)”을 읽었습니다. 


이경희 작가는 재작년 “테세우스의 배 (그래비티북스)”를 통해 알았고 작년 “SF, 이 좋은 걸 이제 알았다니 (구픽)”로 다시 만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 출간한 “그날, 그곳에서”는 이경희 작가의 두 번째 장편 소설입니다. 첫 작품인 “테세우스의 배”를 통해 복제인간과 기억, 그리고 실존 문제를 건드렸다면 이번에는 시간여행 장르를 들고 와 패러독스의 쾌감을 독자에게 전해줍니다. 또한 전작 “테세우스의 배”에서도 그랬듯이 이 작품 역시 가볍지 않은 주제에도 불구하고 속도감 있으면서 오락성을 잃지 않는 작가 특유의 장르적 장점이 제대로 살아 있는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최근 2년 사이에 김초엽, 문목하, 이경희, 천선란과 같은 훌륭한 작가들을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SF 문학의 (첫) 전성기가 시작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최근, 그 중 가장 두드러진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작가들을 이렇게 동시대에 만날 수 있는 것도 정말 크나큰 행운인 것 같습니다. 특히 최근 이경희 작가님의 페이스북에서 “그날, 그곳에서”가 올해 ‘첫’ 장편소설이라는 글을 봤는데 올 한해 정말 작가님의 다음 작품을 손꼽아 기다리겠습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덧붙이는 말 : 첫 문장에서 당황해버렸습니다. 매우 눈에 익은 문장이었거든요. 페이지가 좀 지나서야 이경희 작가의 “루프 트립”을 장편으로 디벨롭했다는 것을 깨달았지 뭐에요. 생각해보니 몇몇 등장인물의 이름도 낯이…. 익더라구요.  











#그날그곳에서, #이경희, #안전가옥, #몽실북클럽, #몽실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이트메어 앨리 스토리콜렉터 91
윌리엄 린지 그레셤 지음, 유소영 옮김 / 북로드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트메어 앨리 (윌리엄 린지 그레셤 著, 유소영 譯, 북로드, 원제 : Nightmare Alley )”를 읽었습니다. 


저자의 이름이 낯섭니다. 호기심에 윌리엄 린지 그레셤 (William Lindsay Gresham, 1909~1962)에 대해 찾아봤는데 특별히 많은 정보를 얻을 수는 없었습니다. 미국 태생의 소설가이자 논픽션 저자라는 점, 과작(寡作)으로 그가 남긴 작품은 몇 작품 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는 점 정도만 찾을 수 있었습니다.


열가지 쇼 극단에서 마술 공연을 맡고 있는 스탠 칼라일은 살아있는 닭을 물어 뜯는 기인을 바라보며 어떻게 저런 일이 가능할 지 궁금합니다. 변사 클렘 호에틀리에게 그 궁금증을 털어놓습니다. 클렘은 쓸데없는 것을 묻지 말라면서도 그런 기인은 찾는 게 아니라 만드는 것이라며 비밀을 털어 놓습니다. 알코올중독자에게 일주일 정도 술과 숙소를 챙겨주다 일주일이 지나 쫓아내려고 하면 그 알코올중독자는 무슨 일이든 한다는 것입니다. 

스탠은 이 이야기에서 ‘파이 안에서 줄톱을 발견한 제소자’와 같은 미소를 띄며 자신의 깨달음을 축하합니다.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던 저자가 자국 송환을 기다리던 중 기괴한 알코올 중독자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 기괴한 알코올중독자의 이야기가 뇌리를 떠나지 않자 그 이야기를 바탕으로 써 내려간 소설이 바로 이번에 읽은 이번에 읽은 “나이트메어 앨리”라고 합니다. 집필 기간 중 저자는 타로카드에 깊이 빠져 있었는데 소설의 주요 모티브이자 이야기 구조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무려 75년 전에 출간된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낡거나 진부한 느낌이 전혀 없이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소설입니다. 하드보일드 느와르 장르를 좋아하는 분들에게 충분히 추천할만한 소설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 소설은 출간 당시 (1946년) 범죄적이며 충격적인 언어의 구사로 그 뒤로 수십년간 금지되고 검열 당한 작품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출간된 지 1년 밖에 지나지 않은 1947년 영화화가 될만큼 인기를 얻기도 하는데 이번에 다시 기예르모 델토로 (Guillermo del Toro Gómez, 1963~)감독에 의해 브레드리 쿠퍼, 케이트 블란챗을 주연으로 영화화 된다고 합니다.  소설을 흥미롭게 읽어서 곧 개봉할 영화도 기대되는군요.







#나이트메어앨리, #윌리엄린지그레셤, #유소영,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 속의 시간 시간 속의 역사
고석규 지음 / 느낌이있는책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속의 시간, 시간 속의 역사 (고석규 著, 느낌이있는책)”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시간’이라는 주제를 역사 속에서 살펴보는 책입니다. 저자는 역사를 전공한 역사학자로서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학문인 역사가 밀접하게 관계를 가지고 있는 시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시간에 대한 여러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인 것이지요. 저자는 시간은 철학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과학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책을 통해 인류의 역사 속에서 시간에 대한 철학과 과학이 어떤 상호 관계를 가지고 변화하였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고도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역사에 시간이 빠지면 그것은 역사가 아니라 옛이야기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줍니다. 즉 역사에는 시간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겠지요. 헤로도토스를 역사의 아버지라 부르는 이유 역시 역사에 시간을 부여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고 있습니다.  


시간은 무엇일까?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되는 단어이지만 이를 정의내리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어떤 사람은 물리량으로 정의내리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어떤 사람은 시적 어휘를 동원하여 정의내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정의내리기는 어렵지만 과거부터 권력자들은 시간을 지배하려고 했었다는 점입니다. 

특히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권에서는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역서의 편찬 권한은 오직 황제국에게만 있었다고 합니다. 이렇듯 시간의 흐름을 관장하고 나타내는 것은 왕조의 정통성을 입증하고 권위를 부여하는 것이 믿었습니다. 번국이 책력을 만드는 것은 감히 할 수 없는 행위였고 심지어 사사로이 책력을 만드는 행위는 참형을 당할 수도 있는 범죄로 취급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조선은 매년 관상감을 통해 다음 해의 역서를 편찬하여 나누어 주었다고 합니다. 바로 ‘동지 책력’입니다. 심지어 임진왜란 중에도 책력을 만들어 배포할 정도였다고 하니 책력을 만들어 배포하는 것은 조선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겉으로는 제후국이지만 안으로는 자주국으로 자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라 저자는 주장하면서도 실질적인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고 넌지시 이야기해줍니다. 

중국에서 배포하는 책력은 중국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실정과는 맞지 않는 부분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맞춤형 역사가 필요했고 성리학적 국제 질서 하의 원칙에는 맞지 않지만 현실적 필요에 의해 자체적인 책력을 배포할 수 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더구나 농업이 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농업국가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하였을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책력 뿐 아니라 시계, 시간 측정, 그리고 시간의 철학적, 과학적, 역사적 의미까지 주제별로 살펴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역사 속의 시간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추천드리고 싶은 책입니다.



#역사속의시간시간속의역사, #고석규, #느낌이있는책,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