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뭇 강펀치 안전가옥 쇼-트 7
설재인 지음 / 안전가옥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설재인 작가를 만나본 것은 이 작품집이 처음인데 이 책을 읽고 난 다음 작가의 다른 작품도 기대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뭇 강펀치 안전가옥 쇼-트 7
설재인 지음 / 안전가옥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뭇 강펀치 (설재인 著, 안전가옥)”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심너울 작가의 단편집 “떙스 갓, 잇츠 프라이데이”으로 시작한 안전가옥 쇼트라는 시리즈의 일곱번째 책이자 설재인 작가의 두번째 단편집입니다. 안전가옥 쇼트는 작가들이 기존에 발표한 작품으로 출간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가옥 PD와 협업하여 창작하는 독특한 시스템으로 출간된다고 합니다. 색다른 시도이기도 하고 그동안 출간된 안전가옥 쇼트 시리즈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운 독서를 경험했기에 믿고 선택하는 시리즈이기도 합니다.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이 책에는 세 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표제작인 ‘사뭇 강펀치’는 학생 체육계의 어두운 면과 함께 작가의 실제 복싱 체육관 경험에 비추어 감량의 어려움 같은 묘사가 매우 리얼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수록작 세 편 중 장르물적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데 권선징악의 통쾌함을 선사해주고 있습니다.

‘그녀가 말하기를’은 종교공동체에 억압받는 여성의 이야기인데 ‘세상 밖으로 (조금산 作)’의 느낌이 나는 작품입니다. 다만 다른 점은 영웅적인 면모를 보이는 등장인물은 전혀 등장하지 않고 현실적이거나 아니면 현실에 찌든 인간들만 등장한다는 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중간 중간 복선을 통해 후반 반전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앙금’의 처음 시작은 일상물처럼 가볍게 시작합니다만 후반부로 갈수록 심령물, 아니면 사이코물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그러다 반전은 정말… 마지막까지 예상하지 못했던 결말이니 기대하셔 좋을 것 같습니다.


설재인 작가를 만나본 것은 이 작품집이 처음인데 이 책을 읽고 난 다음 작가의 다른 작품도 기대되네요. 





#사뭇강펀치, #설재인, #안전가옥, #장르소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돈의 탄생 돈의 현재 돈의 미래 - 돈은 어떻게 세상을 지배하게 되었는가
제이컵 골드스타인 지음, 장진영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폐는 하나의 추상(抽象)이며 허구(虛構)라고 하면 동의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입니다. 돈은 실제로 만질 수도 있고 그것을 통해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으므로 구체이며 실질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을 지 모릅니다. 하지만 화폐는 교환의 수단이자 가치의 저장 수단으로 약속이자 권리를 나타내는 징표일 뿐입니다. 최근 현금의 사용이 급격히 줄어들고 신용카드나 직불카드, 더 나아가서는 XX페이 등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즉 이제는 현금이라는 실물로 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로 물건을 사고 있는 사람이 더 많아진 것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돈이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명확하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 것 같습니다. 


“돈의 탄생, 돈의 현재, 돈의 미래 (제이컵 골드스타인 著, 장진영 譯, 비즈니스북스, 원제 : Money: The True Story of a Made-Up Thing )는 돈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돈에 대해 탐구하는 책입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돈의 기원부터 현재 비트코인 열풍까지의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앞으로 돈의 모습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추론해보고 있습니다.


앞서 돈은 추상이자 허구라는 이야기를 했는데 저자 역시 머리말을 통해 돈은 기본적으로 가짜이며 허구라는 이야기를 통해 돈의 속성을 밝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돈은 공유된 허구 (shared fiction)으로 강력하며 영구불변한 사회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한 사회성이 돈을 강력하게 만들고 힘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즉 사회구성원이 돈을 돈으로 믿고 있기에 돈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그러한 믿음이 없다면 돈은 한낱 종이쪼가리 혹은 데이터 덩어리에 불과한 것입니다. 

또한 역사적으로 볼 때 돈은 항상 하나의 모습으로만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어떤 시대에는 돼지의 모습으로, 어떤 시대에는 금이나 은 같은 귀금속의 모습으로, 어떤 시대에는 종이나 얇은 플라스틱의 모습으로 존재했고 앞으로는 데이터로만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즉, 돈을 돈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은 외형도 아니고 돈 자체가 가진 본연의 가치도 아니며 단지 사람이나 사회의 약속과 믿음이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돈에 대해 불변의 가치를 지녔으며 영원히 존재할 것이라는 환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 역시 허구이자 가짜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돈의탄생돈의현재돈의미래, #제이컵골드스타인, #장진영, #비즈니스북스,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반도와 일본의 미래
강상중 지음, 노수경 옮김 / 사계절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반도와 일본의 미래 (강상중 著, 노수경 譯, 사계절, 원제 : 朝鮮半島と日本の未来)”를 읽었습니다.


강상중 (姜尙中, 1950~) 박사는 재일교포 2세로 도쿄대학 (東京大學) 교수와 세이가쿠인대학 (聖学院大学) 총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일본 내에서도 대표적인 비판적 지식인이자 정치학자로 유명합니다. 특히 박정희와 기시 노부스케 (岸信介, 1896~1987)를 제국의 귀태 (鬼胎)라 지칭하며 일본의 청산되지 못한 군국주의와 그 잔재에 대한 비판을 했었죠. 저자의 전작 “떠오른 국가와 버려진 국민 (노수경 譯, 사계절)”에서 저자는 기민(棄民)정책이라는 관점을 제시한 바 있는데 이를 통해 일본 정치나 그 국민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부분, 특히 정치적 순종성, 국민을 염두에 두지 않는 정치 등에 대해 이해도를 높였던 독서 경험이 있었습니다.


이 책, “한반도와 일본의 미래”는 한반도를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갈등의 기원부터 경과, 그리고 한일 관계의 한계와 향후 개선을 위한 제언 등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한일 관계 경색의 주된 원인인 2015년 ‘위안부 합의’을 비롯해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 지소미아 파기 등 최근 한일 관계에 있어 중요한 이슈들을 정리함으로써 한일 관계에 대한 현재를 제대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6.25 전쟁이 발발하던 해 태어난 강상중 박사는 한반도의 정전 상황이 자신의 삶에 부과된 일종의 저주처럼 여겼고 이를 극복하는 것을 인생의 주제라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전쟁의 종말을 목도하고 싶었고 그에 대한 책을 쓰고 싶어 했다는군요. 하지만 70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그의 생애 내에 통일을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체념 속에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는 위기 속에 기회를, 비관 속에 낙관을,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아내고 싶고 독자 역시 실감해주기를 바란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책은 20년 전 역사적 정상회담을 이끌어낸 고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존경으로서 세상에 내는 것이라 저자는 밝히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02주년 3.1절 기념사를 통해 일본은 경제, 문화, 인적교류 등 모든 분야에서 서로에게 매우 중요한 이웃이며 서로의 발전에 도움이 되어야 하는 미래에 대해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그 해법으로 과거의 문제와 미래의 문제를 분리하여 과거의 역사를 직시하여 교훈을 얻고 해결해나가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책에서 강상중 박사가 이야기하는 바와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습니다. 현재 풀리지 않는 남북관계, 악화되어가는 일본과의 관계, 그리고 앞이 보이지 않는 동아시아 정세 등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한번쯤 읽어봐야 할 책이라 생각합니다.  

 


#한반도와일본의미래, #강상중, #노수경, #사계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트] 완벽한 스파이 1~2 - 전2권
존 르 카레 지음, 김승욱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벽한 스파이 (존 르카레 著, 김승욱 譯, 열린책들, 원제 : A Perfect Spy, 전 2권)”를 읽었습니다.


존 르카레 (John le Carré, 1931~2020, 본명 : David John Moore Cornwell )작가는 정말 독특한 경력을 가진 작가입니다. 그는 전업작가로 전직하기 전까지 SIS (Secret Intelligence Service, 영국비밀정보부)와 MI6에 실제 근무하였으며 주독 대사관에서 대 동독업무를 담당한 실제 첩보원이었습니다. 그는 MI6에서 암약하던 소련의 이중 스파이 킴 빌비 (Harold Adrian Russell "Kim" Philby 1912~1988)에 의해 그의 신분이 탄로날 때까지 첩보원으로 근무하면서도 상당 기간 소설가로도 활동하였는데 마침 그때 그가 출간한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 (김석희 譯, 열린책들, 원제 : The Spy Who Came in from the Cold)”가 히트를 치자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그가 등장하기 이전까지는 007로 대표할 수 있는 이언 플래밍(Ian Fleming, 1908~1964)이 주도하는 낭만적 첩보물이 주류었으나 존 르카레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사실적인 첩보원을 묘사하면서 선악을 명확하게 묘사하지 않는 작품 스타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보통 첩보물은 장르소설로 분류하면서 오락으로 소비되지만 그의 작품은 문학성까지 인정받은 드문 경우로 괴테 메달 수상, 타임즈가 선정한 위대한 작가 50인에 선정된 적이 있습니다. 특이한 수상 경력으로는 인권 증진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상하는 올로프 팔메상을 문학을 통해 개인의 자유와 인류의 근본적 문제를 제기하여 인본주의적 여론을 형성한 공로로 수상한 적이 있습니다. 


그의 작품 중 상당수가 우리나라에서도 번역 소개되어 있었는데 그의 자전적 이야기를 다룬 1986년작 “완벽한 스파이”는 이번에 처음 소개되는 소설입니다. 


50대 초반이지만 소년처럼 보이는 열정을 가진 미남자인 매그너스 핌. 그는 영국 정보부의 비밀요원으로 오스트리아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의 장례식을 위해 런던으로 돌아왔지만 사라져버리고 맙니다. 그는 조국을 배신한 것일까? 쌓여가는 증거는 그가 이중첩자라는 점을 가리키고 있어 그를 뒤쫓는 잭 브라더후드의 마음은 착잡해집니다. 



많은 비평가들이 이 작품을 두고 존 르카레가 쓴 최고의 작품, 혹은 2차 대전 이후 영어로 쓰여진 최고의 소설 등의 수식어로 묘사하고 있는데 진정 존 르카레다운 작품의 명불허전을 느낄 수 있는 독서를 경험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완벽한스파이, #존르카레, #김승욱, #열린책들, #리뷰어스클럽, #영미장편소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