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카의 여행
헤더 모리스 지음, 김은영 옮김 / 북로드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카의 여행 (헤더 모리스 著, 김은영 譯, 북로드, 원제 : Cilka’s Journey )”을 읽었습니다. 


헤더 모리스(Heather Morris)의 전작 “아우슈비츠의 문신가 (박아람 譯, 북로드, 원제 : The Tattooist of Auschwitz)”을 읽어본 독자라면 실카라는 이름이 낯익으실 겁니다.  

나치의 홀로코스트에 맞서 살아남기 위해 싸웠던 사람들의 이야기, 그 이야기 속 주인공이었던 랄레가 이야기했던, 생존을 저항의 수단으로 선택했던 영웅, 바로 그녀가 십대의 소녀 세실리아 클라인, 즉 실카입니다. 


“1942년 4월부터 여기에서 무엇을 했지?”

“살아남는 일이요.”


실카는 아우슈비츠에서 살아남았지만 전후 다시 시베리아 수용소로 끌려가게 됩니다. 죄목은 살아남았다는 것. 무려 15년의 노역형.  아우슈비츠에서도 그랬지만 북극권에 있는 시베리아의 보르쿠타 굴라크는 엄청난 추위와 굶주림 그리고 과도한 노역으로 인해 살아남는 것 자체가 엄청난 투쟁입니다. 유폐 지옥이라 불리웠던 강제 노역 교화소, 굴라크 (ГУЛАГ). 하지만 실카는 그녀가 가진 용기, 그리고 연민을 무기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용감하고 영웅적인 일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입니다. 그리하여 실카는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지옥의 여정에서도 살아내고 삶을 살아가고야 맙니다.


“우리의 인생을 위하여”


우리가 평범하게 살아가는 삶은 보잘 것 없어 보이지만 그래도 누구나 영웅적 삶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소중한 책입니다. 


덧붙이는 말 : 실카는 끝끝내 살아남아 승리하였고, 2004년까지 나름의 행복을 누린 삶을 살았다고 합니다. 네, 전작과 마찬가지로 이 작품도 실존 인물의 실화를 바탕으로 구성한 소설입니다. 







#실카의여행, #헤더모리스, #김은영, #북로드, #리뷰어스클럽, #영미장편소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카의 여행
헤더 모리스 지음, 김은영 옮김 / 북로드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평범하게 살아가는 삶은 보잘 것 없어 보이지만 그래도 누구나 영웅적 삶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소중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 코스모스, 인생 그리고 떠돌이별
사라 시거 지음, 김희정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1년 4월
평점 :
절판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사라 시거 著, 김희정 譯, 세종서적, 원제 : The Smallest Lights in the Universe)”를 읽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 많은 과학자들은 외계 행성에서 산소의 흔적을 찾으려 합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생명체가 거주하는 행성, 바로 지구에서 대부분의 생명체가 산소호흡을 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한 과학자 그룹에서 산소가 아닌 수소로만 이루어진 대기에서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즉, 다른 행성에서 굳이 산소가 없는 행성에서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표면 온도가 400도가 넘어가는 금성.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수성보다 더 뜨거운 행성입니다. 하지만 이 행성의 대기에서 생명의 흔적, 포스핀을 발견합니다. 비록 그 양은 적지만 혐기성 미생물 같은 생명체의 활동이 아니고서는 설명하기 힘들다고 합니다. 생명체의 간접 증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화산, 번개, 운석 등 다양한 변수들을 함께 검토했지만 발견한 양만큼을 생산할 수 있는 변수들은 아니라고 합니다.


이 두 가지 과학적 발견을 한 연구 그룹은 한 사람의 리더에 의해 조직되고 운영되고 있습니다. 바로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의 저자 사라 시거 (Sara Seager, 1971~)입니다. 그녀는 외계 행성 탐사에 있어 권위있는 학자이기도 하지만 아내 그리고 어머니이기도 합니다.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은 그런 그녀의 인생을 담아낸 책으로 대중과학서가 아니라 에세이에 더 가깝습니다. 하지만 그녀의 인생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과학자로서의 삶이다 보니 그녀가 행성을 연구하는 내용이 빠질 수 없으므로 그녀의 인생을 이야기하면서 자연스럽게 그녀의 연구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젊은 나이에 과학자 그룹의 리더로 활동하고 있으며, 맥아더 펠로우상을 수상한 촉망받는 과학자의 삶이란 영광에 가득 차 있을 것처럼 보이지만 과학에 대한 열정을 빼면 평범하게 사랑하고 평범하게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네 이웃의 이야기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그녀의 우주와 인생이 어떻게 연결되고 움직여 가는지를 보면서 나의 우주와 인생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놀라운 책으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우주에서가장작은빛, #사라시거, #김희정, #세종서적, #리뷰어스클럽, #자연과학, #에세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 코스모스, 인생 그리고 떠돌이별
사라 시거 지음, 김희정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1년 4월
평점 :
절판


나의 우주와 인생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놀라운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봇 시대 일자리의 미래 - 세계 1위 미래학자가 내다본 로봇과 일자리 전쟁
제이슨 솅커 지음, 유수진 옮김 / 미디어숲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봇 시대 일자리의 미래 (제이슨 솅커 著, 유수진 譯, 미디어숲, 원제 : Jobs for robots : between robocalypse and robotopia)”를 읽었습니다.

 


최근 로봇과 자동화, AI에 대한 관심이 대단합니다. 특히 알파고 쇼크라 불리우는 사건 이래로 더욱 그 관심은 커진 것 같습니다. 인간 만의 영역이라 생각했던 분야에서의 패배라 더욱 충격이 컸죠. 많은 사람들은 로봇과 AI가 가져올 미래에 대해 궁금해합니다. 어떤 사람은 비극적 미래를, 어떤 사람은 낙원이나 천국과 같은 미래를 생각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저자는 그렇게까지 극단적인 미래는 오지 않을 것이라 주장합니다. 극단적인 미래는 너무 단순화한 측면이 있고 가장 유력한 미래는 로보칼립스와 로보토피아 사이의 어딘가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이제 곧 도래할 로봇 시대는 과거에 우리가 막연히 상상하던 시대와는 다를 것 같습니다. 우리가 전문직이라 생각했던 많은 직종은 이제 AI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정형적인 업무만을 수행할 것이고 비정형적이고 전문적인 업무는 여전히 인간의 영역으로 남아 있을 것이라 과거에는 생각했지만 AI의 발전으로 인해 그런 구도는 이제 무너지고 있습니다. 과연 우리에게 남아 있는 일자리는 어떤 것일까요? 


그 무엇도, 어느 누구도 미래를 단언할 수 없지만 저자는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붕괴를 막아낼 수 있는 전략을 세 가지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변하지 않는 산업에서 전문성을 쌓으라는 것, 

또 하나는 가치 있는 기술을 배워 미래를 대비하는 것, 마지막으로는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항상 움직이라는 것입니다.


사실 AI와 로봇이 가져올 미래는 막막하지만 결국 개인이 좀더 준비를 철저히 해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로봇시대일자리의미래, #제이슨솅커, #유수진, #미디어숲,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