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무제 - 중국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다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요시카와 고지로 지음, 장원철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楚)의 항우와의 대결에서 승리한 유방이 세운 한(漢)나라는 동아시아에서는 유럽의 로마 제국과 비슷한 위상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춘추전국시대에 꽃을 피웠던 제자백가 시대의 여러 사상들이 융합되면서 동양 철학의 기반을 만들었고, 오늘날의 한자(漢子)의 형태가 정립되는 등 동아시아 문화 전체의 틀을 다진 국가로 평가 받고 있는 한(漢)나라는 시황(始皇)이 세운 진(秦)이 몰락하면서 자칫 분열할 수도 있었던 중국의 통일 왕조를 굳건히 하였으며 중국 통일 왕조로서는 이례적으로 긴 400여년을 존속했던 국가이다 보니 동아시아 문명 전체에 끼친 영향력은 엄청난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한(漢)을 대표하는 군주로는 제 7대 황제인 한 무제 (漢武帝, BC 157~BC 87)가 있습니다. 한(漢)의 전성기를 열어 한무성세(漢武盛世)라 불리우는 시대를 만들어낸 명군이면서 온갖 토목공사와 사치, 폭정으로 인해 폭군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는 한 무제 (漢武帝)는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흥미를 자아내는 여러 측면을 가지고 있는 입체적인 인물입니다. 


“한 무제 (요시카와 고지로 著, 장원철 譯,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원제 : 汉の武帝)”에는 이런 다양한 한 무제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저자인 요시카와 고지로 (吉川幸次郞, 1904~1980)는 공자의 삶을 존경하며 유생임을 자처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중국문학 연구에 있어 권위를 인정받는 일본의 학자입니다. 그의 저서 중 “공자와 논어 (조영렬 譯, 뿌리와이파리, 원제 : 中國の知惠 : 孔子について)”, “독서의 학 (조영렬 譯, 글항아리, 원제 : 讀書の學)”, “중국 강의(조영렬 譯, 글항아리)” 등 우리나라에도 번역 소개된 책들도 상당합니다. 


“한 무제”에서 저자는 한 무제의 삶을 매우 역동적이며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는데 이러한 작업이 가능했던 것은 동 시대의 역사가인 사마천(司馬遷, BC 145?~ BC 86?)이라는 존재가 있었기에 가능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 책에는 많은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있는 그 중 새롭게 안 사실이 하나 있어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동아시아 문화권에는 독특한 기년법 (紀年法, 햇수를 헤아리는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연호 (年號)라는 것이지요. 황제의 제위 기간 동안 그 황제가 지정한 연호를 사용하는데 그 나라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를 종주국으로 받들고 있는 주변 국가 역시 동일한 연호를 사용하곤 합니다. 우리나라 역시 역사의 많은 시기 동안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곤 했습니다. 

이러한 연호가 사용된 것은 바로 한 무제 때가 처음이었다고 합니다. 물론 그 뒤에 정착된 것처럼 한 명의 황제가 하나의 연호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었고 한 무제 때는 6년에 한 번씩 연호를 바꾸었다고 하지만 연호를 처음 사용한 황제가 한 무제였다는 것은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이었습니다. 연호 하나만 보더라도 한 문제가 만들어놓은 기틀이 수 천년 동안 동아시아 문화와 저통으로 자리 잡아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에 다시 한 번 놀라움을 감출 수가 없군요.  



저자는 한 무제 시대를 ‘중국 역사상 최초의 대전환기’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중국의 사상사나 문학사를 포함해 사회사, 경제사, 정치사의 영역에서도 획기적인 시대라는 이야기이지요. 한 무제는 여러 원정을 통해 영토를 넓혔는데 이는 단순히 영토가 넓어진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인이 생각하는 ‘세계’가 넓어진 것이라고 저자는 평가합니다. 또한 유교라는 사상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인류 보편의 윤리로 발전시켰으며 그때까지 여러 시대를 거치면서 자라온 여러 사상과 문물이 한 무제에 이르러서 비로소 열매를 맺고 결실을 보게 된 시대라고까지 이야기합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단순히 한 무제의 시대를 추상적으로만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삶과 업적, 그리고 어두운 그림자까지 생생한 여러 사건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어 매우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한무제, #요시카와고지로, #장원철, #AK,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처, 비디오, 사이코 게임 킴스톤 2
안젤라 마슨즈 지음, 강동혁 옮김 / 품스토리 / 202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여성 형사의 활약이 돋보이는데다 빠른 호흡과 시원 시원한 전개로 읽는 쾌감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처, 비디오, 사이코 게임 킴스톤 2
안젤라 마슨즈 지음, 강동혁 옮김 / 품스토리 / 202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상처, 비디오, 사이코 게임 (안젤라 마슨즈 著, 강동혁 譯, 품스토리, 원제 : Evil Games)”을 읽었습니다. 이 작품은 작가가 창조해낸 형사 킴 스톤 시리즈의 두 번째 책입니다. 

전작에서 충격적인 연쇄살인 사건을 밝혀내며 새로운 영웅의 탄생을 알렸던 형사 킴 스톤. 이번에는 과연 어떤 사건으로 찾아왔을까요? 


(이하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그냥 게임을 하나 하려는 거란다. 아가야.”


“개자식”


아동 성추행범을 체포하는데 성공한 킴 스톤. 큰 프로젝트를 이제 막 끝낸 킴 스톤이지만 새로 발견된 시체는 그녀에게 새로운 사건을 시작하게 합니다. 이번에 발견한 시체는 앨런 해리스. 강간으로 복역한 적이 있는 성범죄자입니다. 그는 끔찍한 사건을 일으켰던 피해자라 내키지 않습니다만 경찰은 피해자를 골라서 수사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를 살해한 범인을 체포하였습니다. 바로 앨런 해리스의 강간 피해자였던 인물입니다. 이렇게 사건이 종료된 것처럼 보였지만….



이 작품의 특징은 여성 형사의 활약이 돋보이는데다 빠른 호흡과 시원 시원한 전개로 읽는 쾌감을 극대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런 류의 이야기는 하나나 둘 정도의 사건으로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데 반해 이 작품은 여러 사건들을 병렬로 진행시키면서 메인이 되는 사건의 긴장감을 더욱 끌어올리는 구조로 진행됩니다. 특히 중간 중간 킴 스톤의 트라우마가 드러나는데, 악역의 주특기가 심리 조종인지라 더욱 긴장되는 부분입니다.


이 멋진 시리즈의 작가인 안젤라 마슨즈 (Angela Marsons)는 몇 편의 단편소설 후에 출간한 시리즈 ‘형사 킴스톰’으로 스타 작가로 발돋움한 영국 출신의 범죄 소설 작가입니다. 

1년에 두 편 정도 꾸준히 출간하면서 벌써 14편까지 나온데다 시리즈가 지금도 나오고 있는 작품인데다 워낙 인기작이라 이를 출간하는 출판사 역시 대형 출판사의 임프린트인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1인 출판사이라는 점에서 매우 놀랐고, 바로 이 시리즈 때문에 출판사를 설립했다는 이야기에 또 놀랐습니다. 

바로 옮긴 분이신 강동혁님의 이야기입니다. 강동혁님이 옮긴 작품을 찾아보니 정말 좋은 작품들이 많았고 최근에 읽은 작품으로는 “프로젝트 헤일메리 (앤디 위어 著, 강동혁 譯, 알에이치코리아, 원제 : Project Hail Mary)”도 있더군요. 반드시 이 시리즈의 마지막까지 출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좋은 작품 만나볼 수 있도록 해 주신 역자님의 열정에 정말 감사합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두번째 이야기 밖에 소개되지 않았으니 앞으로 킴 스톤 형사를 더 만날 수 있겠죠? 



 


#상처비디오사이코게임, #안젤라마슨즈, #강동혁, #품스토리, #리뷰어스클럽, #장르소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페인 여자의 딸
카리나 사인스 보르고 지음, 구유 옮김 / 은행나무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페인 여자의 딸 (카리나 사인스 보르고 著, 구유 譯, 은행나무, 원제 : La hija de la española)”을 읽었습니다. 이 작품은 공권력의 폭력이 넘쳐나게 되면서 오히려 무정부의 상태에 가까워진, 그리고 경제 공황의 만성화로 인한 극도로 피폐해진 베네수엘라의 현실을 실감나면서도 현실감 있게 묘사하고 있는 소설입니다. 


작가인 카리나 사인스 보르고 (Karina Sainz Borgo. 1982~)는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출신으로 20대에 스페인에 정착하여 활동하고 있는 저널리스트하고 합니다. “스페인 여자의 딸”은 작가의 첫 소설로 “타임”지에서 선정한 가장 중요한 책 100권에 선정되기도 한 작품이기도 합니다.


이 책, “스페인 여자의 딸”의 주인공, 아델라이다는 어머니와 함께 살아가던 베네수엘라의 평범한 여성입니다. 어머니도 이제 돌아가시고 난 다음, 이제 철저히 혼자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베네수엘라의 지옥 같은 현실은 그곳에서 혼자 살아가는 주인공에게 녹록치 않습니다. 생리대를 사는데 수만 볼리바르를 지불해야 살 수 있습니다. 안정적으로 거래하기에는 달러화가 좋지만 이제 외화로 거래하는 것은 불법이 되어 버렸습니다. 외화를 소지하기만 해도 반역죄와 같은 죄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국가기관의 구성원은 아무 집에나 들어가 약탈을 해댑니다. 오늘도 제복을 입은 남자들 무리가 이웃집을 털었습니다. 그들은 어깨에 장총을 지고 전자레인지, 컴퓨터를 비롯해 숱한 약탈물을 들고 아파트에서 빠져 나갑니다. 집에서조차 안전을 장담할 수 없습니다. 언제 누가 약탈을 하러 들어올지 모르니까요.


어느날, 아델라이다의 집에 일군의 약탈꾼들에게 빼앗깁니다. 그들은 그냥 약탈꾼이 아니라 지역 보안관과 패거리입니다. 공권력을 등에 업고 폭력으로 사적 축재를 일삼는 무리입니다. 아니 애초에 그들에게 공권력은 그런 목적이었을지 모릅니다. 이제 아델라이다는 아무것도 남지 않습니다. 


 



한때 남미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였던 베네수엘라. 하지만 석유에 의존하던 베네수엘라 경제는 유가 폭락으로 인해 흔들리게 되고 정책적 실패와 부정부패, 그리고 쿠데타로 이어진 정치적 불안으로 인해 막장으로 치닫게 됩니다. 거기다 신자유주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빈부 격차는 극심해지기도 했고, 지속적인 경제 불안과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베네수엘라 국민들의 삶은 나락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빈부 격차가 극심한 상황에서 경제적 혼란이 지속되면 사회적 갈등이 심해지게 되면서 범죄율이 올라가는 경향성을 보이곤 합니다. 이 나라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치안 역시 매우 불안한 상황인데, 전 세계에서 가장 치안이 불안한 나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특히 살인률과 범죄율에 있어 최근 5년 간 세계 1위로 최악의 국가라는 오명을 안고 있는 나라입니다. 


이러한 나라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삶 자체가 현실의 지옥이겠지요. 하지만 이러한 참상은 사실 먼 나라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는 그냥 텍스트에 불과할 지 모릅니다. 하지만 그러한 참상이 개인의 경험과 이야기로 우리들에게 전해질 때 우리는 비로소 공감하고 그 나라의 현실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스페인여자의딸, #카리나사인스보르고, #구유, #은행나무, #몽실서평단, #몽실북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민족의 기원 - 기후학.고고학.언어학.유전학 관점에서 살펴본
엘리자베스 하멜 지음, 김재명 옮김 / 글로벌콘텐츠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 민족의 기원 (엘리자베스 하멜 著, 김재명 譯, 글로벌콘텐츠, 원제 : Das Werden der Völker in Europa: Forschungen aus Archäologe, Sprachwissenschaft und Genetik)”을 읽었습니다.


저자인 엘리자베스 하멜 (Elizabeth Hamel, 1952~)은 독일 출신 저널리스트이자 번역가로 활동하는 사람입니다. 우연한 기회에 유럽 민족 간의 혈연적 유연성에 관심을 갖게 되어 관련한 여러 학자와 교류하고 자료를 수집하면서 수년 간  연구한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이라고 합니다.


이 책의 구성은 크게 고고학, 언어학, 유전학을 통해 유럽 민족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각각이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고찰을 충실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유럽의 언어들 중 상당수는 인도유럽어족입니다. 하지만 이미 사라진 세미티드어라던가 유럽지역에 존재하지만 인도유럽어족이 아닌 언어들 (예를 들어 우랄어족이나 알타이어족 등) 같은 아티클 같이 전문 연구자가 아닌 독자의 입장에서는 언어학적  접근이 매우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이 책은 유럽의 여러 민족과 언어, 즉 문화적 공동체가 형성된 과정을 기후학(climatology), 고고학 (archeology), 언어학(linguistics), 유전학(genetics) 등을 통해 접근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특정 문화적 공동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역사적 관점이나 언어학적 관점 등 한 두 가지 학문적 배경에서 접근하는 경우는 많은데 이렇게 광범위한 학문적 배경을 통해 접근하는 경우는 드문 편입니다.

그래서 저자에 대한 궁금증이 많았는데 의외로 학문 연구에 종사하는 분이 아니라 저널리스트인 점이 더욱 놀라웠습니다. 만약 학문 연구에 종사하는 분이었다면 이렇게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통한 저술이 어려웠을 것이고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훈련을 받은 저널리스트였기에 이렇게 방대한 저술이 가능했지 않나 생각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저자의 독자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다양한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하였다고 볼 수 있어, 오히려 그러므로 유럽 내 많은 민족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이해를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부록에서 다루고 있는 어원, 유럽에서의 석기 시대 연표, 용어 설명 등은 다른 책들을 읽을 때 참고 사항으로 훌륭히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럽민족의기원, #엘리자베스하멜, #김재명, #글로벌콘텐츠, #인류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