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SG 파이코노믹스 - 사회적 가치와 이윤을 동시에 창출하는 전략
알렉스 에드먼스 지음, 송정화 옮김, 이우종 외 감수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5월
평점 :
“ESG 파이코노믹스 (알렉스 에드먼스 著, 송정화 譯, 이우종, 정아름 共監, 매일경제신문사, 원제 : Grow the Pie: How Great Companies Deliver Both Purpose and Profit)”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알렉스 에드먼스 (Alex Edmans) 교수는 런던비즈니스스쿨 재무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특히 공익을 위한 기업 개혁의 권위자라고 합니다. 많은 연구와 다양한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왔으며 사회의 구성원 중 하나인 기업의 역할 그리고 중요성을 설파해왔다고도 하네요.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해왔던 사회적 가치와 이윤을 동시에 창출하면서 기업이 보다 위대해질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최근 부와 소득의 불평등으로 인해 발생한 불공정과 사회적 부조리로 인해 자본주의에 대한 의구심이 그 어느 때보다 커져 있는 상태이며 이미 위기에 처해져 있다고 많은 사람들은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즈니스 자체 역시 일반적으로 작은 기업이나 보통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작동하지 않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되어버렸다는 것 역시 많은 사람들에게 상식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파이 쪼개기 식 사고방식에서 기업이 파이를 더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다른 사람의 파이를 줄이거나 빼앗는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또한 비즈니스는 제로섬 게임이라는 사고에 매몰되므로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경쟁사를 줄이고, 사회로부터 부를 착취하는 방법 밖에는 파이를 늘릴 방법을 떠올리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그렇게 하지 않으면 주주에게 해를 끼치게 되므로 언제나 파이를 빼앗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파이 쪼개기 식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파이 키우기 식 사고방식을 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합니다. 저자는 기업은 주주와 사회 모두를 위해 존재할 수 있으며 파이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를 위해 책에서 저자는 파이를 키워야 하는 이유, 파이를 키울 수 있는 동인, 파이를 키우는 방법을 그의 연구 결과와 실증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업이라는 존재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자본주의의 위기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책입니다. 특히 책임 있는 자본주의(responsible capitalism)에서 기업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 아젠다 세터(agenda setter)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자칫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 Capitalism)로 대표되는 최근의 흐름은 주주 중심의 기존 주주 자본주의(Shareholder Capitalism)와 상충되는 것으로 이해되기 쉬운데 이 책에서는 파이 자체를 키워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의 윈-윈 접근법(win-win approach)을 추구하는데 있어 기업의 역할을 정의하는데 많은 장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강조되던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이 우리나라에서도 매우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데 이에 대한 이해와 대안 도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합니다.
#ESG파이코노믹스, #ESG, #알렉스에드먼스, #이우종, #정아름, #송정화, #매일경제신문사, #문화충전, #문화충전200
※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단 자격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